KR19980060432A -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 Google Patents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432A
KR19980060432A KR1019960079790A KR19960079790A KR19980060432A KR 19980060432 A KR19980060432 A KR 19980060432A KR 1019960079790 A KR1019960079790 A KR 1019960079790A KR 19960079790 A KR19960079790 A KR 19960079790A KR 19980060432 A KR19980060432 A KR 19980060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everse
shaft
main shaft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상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432A/ko
Publication of KR1998006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432A/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가 5단 기어의 고속 회전으로 기어 소음이 크고 후진 기어가 카운터 샤프트의 보조 기어와 상시 치합되어 역회전되므로 기어 소음이 클 뿐 아니라 변속시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5단 기어(54d)와 후진 기어(54e)가 메인 샤프트(5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5단 기어(54d) 및 후진 기어(54e)에 치합되는 보조 기어(53a,53b)가 카운터 샤프트(53)에 외삽되어 회전되며, 5R단 싱크로나이저(55c)가 상기 카운터 샤프트(53)에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5단 기어(54d)와 후진 기어(54e)가 메인 샤프트(52)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므로 회전 속도의 차이에 의한 기어 소음이 저감되고, 후진 기어(54e)가 항상 후진 클러치 기어(53b)에 치합되지는 않게 되므로 변속시 조작감이 향상되는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본 발명은 후륜 구동형 자동차에서 사용되어 차속을 변화시키는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싱크로나이저의 일부를 카운터샤프트에 장착함으로써 변속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1)과, 추진축을 통해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샤프트(12)와, 상기 입력축(11)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11')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11')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드리븐 기어(13')와, 상기 드리븐 기어(13')의 중심축이 되고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보조 기어(13)가 설치되는 카운터 샤프트(13)와, 상기 메인 샤프트(12)에 외삽되고 상기 카운터 샤프트(13)의 보조 기어(13)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되는 변속 기어(14)와, 상기 메인 샤프트(12)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좌우 이동됨으로써 변속 조작을 하는 싱크로나이저(15)와, 리버스 기어 샤프트(16)에 외삽되어 후진 기어(14e)와 치합됨으로써 메인 샤프트(12)를 역회전시키는 후진 아이들 기어(16')와, 상기 샤프트(11,12,13)를 지지하는 베어링(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속 기어(14)는 그 직경에 따라 1단 기어(14a)와, 2단 기어(14b), 3단 기어(14c) 및 5단 기어(14d)와 후진 기어(14e)로 구분되고, 상기 싱크로나이저(15)는 그 위치에 따라 34단 싱크로나이저(15a)와, 12단 싱크로나이저(15b) 및 5R단 싱크로나이저(15c)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싱크로나이저(15)중 어느 하나가 이동되어 변속 기어(14)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메인 샤프트(12)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입력축(11)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11')에 의해 카운터 샤프트(13)가 회전되고, 상기 카운터 샤프트(13)의 보조 기어(13)에 치합된 변속 기어(14)가 회전중일 때 상기 싱크로나이저(15) 중 어느 하나가 변속 기어(14)와 결합되어 메인 샤프트(12)를 회전시킴으로써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속 기어(14)의 회전 속도는 치합된 보조 기어(13)의 직경에 따라 각각 다르게 된다.
따라서, 각 변속단에서는 다음에 도시된 표 1의 경로를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변속이 완료된다.
변속단 경 로
1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1단 기어→12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2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2단 기어→12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3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3단 기어→34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4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34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5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5단 기어→5R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후진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후진 아이들 기어→후진 기어→5R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즉, 4단 변속에서는 입력축(11)과 메인 샤프트(12)가 34단 싱크로나이저(15a)에 의해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후진 변속에서는 카운터 샤프트(13)의 보조 기어(13)와 후진 기어(14e) 사이에 후진 아이들 기어(16')가 치합됨으로써 메인 샤프트(12)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는 5단 기어(14d)가 메인 샤프트(12)에 외삽되어 고속 회전되므로 기어 소음이 크고, 후진 기어(14e)가 카운터 샤프트(13)의 보조 기어(12)와 상시 치합되어 역회전되므로 기어 소음이 클 뿐 아니라 변속시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5단 기어와 후진 기어를 메인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시킴으로써 5단 기어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어 소음이 저감되고 변속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후진 클러치 기어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입력축 51' : 드라이브 기어
52 : 메인 샤프트 53 : 카운터 샤프트
53' : 드리븐 기어 53 : 보조 기어
53a : 5단 보조 기어 53b : 후진 클러치 기어
54 : 변속 기어 54a : 1단 기어
54b : 2단 기어 54c : 3단 기어
54d : 5단 기어 54e : 후진 기어
55 : 싱크로나이저 55a : 34단 싱크로나이저
55b : 12단 싱크로나이저 55c : 5R단 싱크로나이저
56 : 리버스 기어 샤프트 56' : 후진 아이들 기어
57 : 베어링
58 : 콘(Cone) 부(후진 클러치 기어의)
59 : 싱크로 링(5R단 싱크로나이저의)
본 발명은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추진축을 통해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샤프트와,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보조 기어가 설치되는 카운터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외삽되고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보조 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되는 변속 기어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좌우 이동됨으로써 변속 조작을 하는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여 구성된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5단 기어와 후진 기어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5단 기어 및 후진 기어에 치합되는 보조 기어가 상기 카운터 샤프트에 외삽되어 회전되며, 5R단 싱크로나이저가 상기 카운터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51)과, 추진축을 통해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샤프트(52)와, 상기 입력축(51)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51')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51')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드리븐 기어(53')와, 상기 드리븐 기어(53')의 중심축이 되고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보조 기어(53)가 설치되는 카운터 샤프트(53)와, 상기 메인 샤프트(52)에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 샤프트(53)의 보조 기어(53)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되는 변속 기어(54)와, 상기 메인 샤프트(52) 또는 카운터 샤프트(53)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좌우 이동됨으로써 변속 조작을 하는 싱크로나이저(55)와, 리버스 기어 샤프트(56)에 외삽되어 후진 기어(54e)와 결합됨으로써 메인 샤프트(52)를 역회전시키는 후진 아이들 기어(56')와, 상기 샤프트(51,52,53)를 지지하는 베어링(5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 기어(54) 중 1단 기어(54a)와 2단 기어(54b) 및 3단 기어(54c)는 메인 샤프트(52)에 외삽되고, 5단 기어(54d)와 후진 기어(54e)는 스플라인 결합된다. 또, 12단 싱크로나이저(55b) 및 34단 싱크로나이저(55a)는 메인 샤프트(52)에 결합되고, 5R단 싱크로나이저(55c)는 상기 카운터 샤프트(53)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5단 기어(54d)와 후진 기어(54e)에 각각 결합되는 보조 기어(53a, 53b)는 상기 카운터 샤프트(53)에 외삽되어 회전된다.
또한, 상기 후진 기어(54e)와 치합되는 후진 클러치 기어(53b)에는 상기 5R단 싱크로나이저(55c)의 싱크로 링(59)이 접촉될 수 있도록 콘(Cone)부(58)가 형성되며, 상기 후진 기어(54e)와 후진 클러치 기어(53b)는 후진 아이들 기어(56')를 통해서만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는 후진 아이들 기어(56')가 이동되어 후진 기어(54e)와 치합될 경우에만 후진이 가능하게 된다.
입력축(51)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51')에 의해 카운터 샤프트(53)가 회전되고, 상기 카운터 샤프트(53)의 보조 기어(53)에 치합된 변속 기어(54)가 회전중일 때 상기 싱크로나이저(55) 중 어느 하나가 변속 기어(54)와 결합되어 메인 샤프트(52)를 회전시킴으로써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5R 싱크로나이저(55c)는 카운터 샤프트(53)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으므로 5단 보조 기어(53a) 및 후진 클러치 기어(53b)를 카운터 샤프트(53)의 회전 속도와 동기시켜 회전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각 변속단에서는 다음에 도시된 표 2의 경로를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변속이 완료된다.
변속단 경 로
1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1단 기어→12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2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2단 기어→12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3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보조 기어→3단 기어→34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4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34단 싱크로나이저→메인 샤프트
5단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5R단 싱크로나이저→5단 보조 기어→5단 기어→메인 샤프트
후진 입력축→드라이브 기어→드리븐 기어→카운터 샤프트→5R단 싱크로나이저→후진 클러치 기어→후진 아이들 기어→후진 기어→메인 샤프트
즉, 5단 변속에서는 카운터 샤프트(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5R단 싱크로나이저(55c)가 회전 도중에 5단 보조 기어(53a)와 결합됨으로서 메인 샤프트(52)에 스플라인 결합된 5단 기어(54d)를 회전시켜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후진 변속에서는 상기 5R단 싱크로나이저(55c)가 후진 클러치 기어(53b)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후진 아이들 기어(56')가 치합되어 후진 기어(54e)를 역회전시키게 되므로 메인 샤프트(52)가 역회전된다.
이때, 상기 후진 클러치 기어(53b)의 콘 부(58)에 상기 5R단 싱크로나이저(55c)의 싱크로 링(59)이 결합되어 후진 변속을 완료하게 되므로 후진 변속에 따른 기어 울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는 5단 기어와 후진 기어가 메인 샤프트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므로 회전 속도의 차이에 의한 기어 소음이 저감되고, 후진 기어가 항상 후진 클러치 기어에 치합되지는 않게 되므로 변속시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진 클러치 기어의 콘 부에 5R단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이 결합되어 후진 변속을 완료하게 되므로 후진 변속에 따른 기어 울림이 방지되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추진축을 통해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샤프트와,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보조 기어가 설치되는 카운터 샤프트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외삽되고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보조 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되는 변속 기어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좌우 이동됨으로써 변속 조작을 하는 싱크로나이저를 포함하여 구성된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5단 기어와 후진 기어가 상기 메인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5단 기어 및 후진 기어에 치합되는 보조 기어가 상기 카운터 샤프트에 외삽되어 회전되며, 5R단 싱크로나이저가 상기 카운터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단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후진 클러치 기어에 콘(Cone)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KR1019960079790A 1996-12-31 1996-12-31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KR19980060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790A KR19980060432A (ko) 1996-12-31 1996-12-31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790A KR19980060432A (ko) 1996-12-31 1996-12-31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432A true KR19980060432A (ko) 1998-10-07

Family

ID=6642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790A KR19980060432A (ko) 1996-12-31 1996-12-31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4040B2 (en) 2010-11-30 2014-05-06 Hyundai Motor Company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4040B2 (en) 2010-11-30 2014-05-06 Hyundai Motor Company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1301B2 (ja)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US5125282A (en) Motor vehicle two countershaft transmission change-speed gearbox and method
EP2126411B2 (en) Multiple-ratio dual clutch vehicle transmission
EP1959161A2 (en) Gear type transmission apparatus
EP0764246B1 (en) Motor vehicle gearbox
US5946970A (en) Manual transmission with synchronized reverse gear
JP3741355B2 (ja) 自動車用多段変速機
EP0733825B1 (en) Motor vehicle gearbox
JP3013363B2 (ja) 変速機の歯車打音防止装置
US4738150A (en) Compact manual transaxle transmission
KR980010032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후진동기 치합장치
GB2067250A (en) Change speed gear
KR19980060432A (ko) 후륜 구동형 수동 변속기
KR100364224B1 (ko) 수동 변속기
KR100578762B1 (ko) 전진 6단 후진 1단 수동 변속기
GB2081824A (en) Planetary range gear
JPH1194078A (ja) 平行軸式変速機
KR100187849B1 (ko) 후진동기치합장치를 갖춘 전륜구동형 차량의 5단수동변속기
KR19980082646A (ko) 자동차용 6단 수동 변속기
KR100262565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
JPH0545817B2 (ko)
JPH03117749A (ja) 変速装置
KR19980082643A (ko) 자동차용 6단 수동 변속기
KR950001341B1 (ko) 자동차용 변속기
JP3078026B2 (ja) 歯車式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