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164U - 자동차 범퍼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164U
KR19980060164U KR2019970004181U KR19970004181U KR19980060164U KR 19980060164 U KR19980060164 U KR 19980060164U KR 2019970004181 U KR2019970004181 U KR 2019970004181U KR 19970004181 U KR19970004181 U KR 19970004181U KR 19980060164 U KR19980060164 U KR 199800601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reinforcement member
passer
bracket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4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164U/ko
Publication of KR19980060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164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범퍼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범퍼 패이셔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범퍼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범퍼 보강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후방 충돌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면의 범퍼 패이셔와, 범퍼 패이셔 내부의 범퍼 보강부재와 범퍼 패이셔와 범퍼 보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포움을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로서, 범퍼 패이셔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는 브라케트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의 양쪽 측면부상에 각각의 측단부가 결합지지되며, 브라케트는 평판 형상의 일자형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하 단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충돌시에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범퍼 보강부재와 범퍼 패이셔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범퍼는 차량의 주행시 자동차 또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시 그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차체에 충격량을 감소시켜, 차량 및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가 손상 또는 부상을 방지하고자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통상 설치된다.
자동차의 범퍼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범퍼 페이스는 차량의 가장 전방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으로,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으로 통상 제조된다. 범퍼 페이스의 내측 구조물은 AZDEL(폴리프로필렌+강화섬유)로 이루어진 보강물이며, 범퍼 페이스와 보강물 사이에는 에너지 업소버 포옴(form)이 위치된다. 범퍼 페이스는 플라스틱 체결구로 고정되며, 보강물은 나사부를 가지는 스테이에 체결되는 너트로 차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자동차 범퍼의 구조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상대방 차량과 직접 접촉하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범퍼 패이셔(1)와, 상기 패이셔(1)를 보강함과 아울러 패이셔(1)를 차체에 취부하도록 된 보강부재(2) 및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도록 상기 패이셔(1)와 보강부재(2)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포움(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범퍼 보강부재(2)는 ㄷ자형상으로 폐단부가 차체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보강부재(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의 상하부 브라케트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1)와 결합된다. 즉, 상기 범퍼 패이셔(1)의 상단부 부근에는 보강부재(2)를 향한 수직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상에 ㄴ자 형상의 상부 브라케트의 상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배열되어 파스너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브라케트의 수평한 하단면은 보강부재(2)의 상부면상에 겹쳐진 상태에서 리벳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범퍼 구조에 있어서, 범퍼 내부에 사용되는 범퍼 보강 부재의 강성향상에 따라 범퍼의 하중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범퍼 패이셔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의 처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범퍼 패이셔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범퍼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범퍼 보강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범퍼 페이스 및 범퍼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범퍼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범퍼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버퍼 보강구조가 브라케트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범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범퍼 페이스2:범퍼 보강부재
3:완충포움4:브라케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후방 충돌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면이 범퍼 패이셔와, 범퍼 패이셔 내부의 범퍼 보강부재와 범퍼 패이셔와 범퍼 보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포움을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로서, 범퍼 패이셔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는 브라케트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의 양쪽 측면부상에 각각의 측단부가 결합 지지되며, 브라케트는 평판 형상의 일자형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하 단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브라케트는 범퍼 보강부재와 범퍼 패이셔의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의 플랜지부가 범퍼 패이셔의 후면부와 범퍼 보강부재의 측면부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라 범퍼 보강구조(2)가 브라케트(4)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1)의 측면부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패이셔(1)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2)는 브라케트(4)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1)의 양쪽 측면부상에 각각의 측단부가 결합 지지되므로써 범퍼 패이셔(1)와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범퍼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범퍼 패이셔(1)와 범퍼 보강부재(2)의 양쪽 측면부를 결합시키는 브라케트(4)는 평판 형상의 일자형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하 단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라케트(4)는 범퍼 보강부재(2)와 범퍼 패이셔(1)의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의 플랜지부가 범퍼 패이셔(1)의 후면부와 범퍼 보강부재(2)의 측면부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나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의 구조에 의하면, 자동차 범퍼의 내부에 제공되는 범퍼 보강부재를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브라케트를 사용하여 양쪽 측단부에서 범퍼 패이셔와 함께 체결시키므로써 범퍼 보강부재의 증가에 따른 하중의 증가에 의해 범퍼가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 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전후방 충돌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면이 범퍼 패이셔와, 범퍼 패이셔 내부의 범퍼 보강부재와 범퍼 패이셔와 범퍼 보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포움을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로서, 범퍼 패이셔의 내부에 장착되는 범퍼 보강부재는 브라케트에 의하여 범퍼 패이셔의 양쪽 측면부상에 각각의 측단부가 결합 지지되며, 브라케트는 평판 형상의 일자형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하단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케트는 범퍼 보강부재와 범퍼 패이셔의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의 플랜지부가 범퍼 패이셔의 후면부와 범퍼 보강부재의 측면부상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구조.
KR2019970004181U 1997-03-07 1997-03-07 자동차 범퍼의 구조 KR199800601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181U KR19980060164U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 범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181U KR19980060164U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 범퍼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64U true KR19980060164U (ko) 1998-11-05

Family

ID=6968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181U KR19980060164U (ko) 1997-03-07 1997-03-07 자동차 범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1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6294B2 (en) Knee support for motor vehicles
KR19980060164U (ko) 자동차 범퍼의 구조
KR100200372B1 (ko) 범퍼 패이셔 고정구조
KR100203189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35747U (ko)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KR200154161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범퍼 처짐방지 구조
KR200188442Y1 (ko) 자동차용 리어부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9980060162U (ko)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200273605Y1 (ko) 자동차도어하단부의보강구조
KR19980036681U (ko)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지그 스테이 구조
KR19980035002U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KR19980034975U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KR100231994B1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56648A (ko) 차체 전방 프레임
KR19980059591A (ko) 자동차 범퍼
KR19980038286U (ko) 차량의 프론트 시트 크로스 멤버 보강구조
KR19980010496U (ko) 정면충돌 대응용 카울 업 플레이트 조립체(Cowl up plate assembly against head on collision)
KR19980059590A (ko) 범퍼 보강재
KR19980035787U (ko) 차체 프론트 프레임의 장착구조
KR20020043875A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