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950U - 의자가 부설된 책상 - Google Patents

의자가 부설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950U
KR19980059950U KR2019970003946U KR19970003946U KR19980059950U KR 19980059950 U KR19980059950 U KR 19980059950U KR 2019970003946 U KR2019970003946 U KR 2019970003946U KR 19970003946 U KR19970003946 U KR 19970003946U KR 19980059950 U KR19980059950 U KR 199800599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binding
desk
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7459Y1 (ko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정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창 filed Critical 정해창
Priority to KR2019970003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45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47B39/023Adjustable forms with adjustable spacing between table and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교의 교실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학생용의 의자가 부설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의 천판을 전·후이동시킬 수 있게 골조에 설치하므로 좌·우어느방향으로도 앉거나 일어나서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 등판에 기대앉은 자세에서 필기를 하거나 팔을 천판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게 하여 주기 위해, 골조(30)의 양선단 수평부를 감싸주게 U자형으로 만곡된 결착부 (41)와 이 결착부 양단에 천판(11)의 저면에 부착하게 수평으로 절곡되며 나사못 구멍(43)들이 각각 구비된 결착편(42)(42')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결착부재(40) 들과, 이 결착부재와 골조(30) 사이에 개재되게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결착부(41)가 결합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부(50)들로 천판(11)을 전·후 이동자재토록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가 부설된 책상
본 고안은 학교의 교실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학생용의 의자가 부설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공부를 할 수 있게 되는 의자가 부설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의자가 부설된 책상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책상(1)의 천판(1a)이 의자(2)의 등판(2a)으로부터 적정간격을 두고 고정착설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2)의 좌판(2b)에 앉거나 일어나서 벗어날 때 불편하지 않도록 천판(1a)의 일부분(1b)을 만곡되게 절개형성하였다.
따라서, 절개된 일부분(1b)만큼 천판(1a)의 면적이 감소되므로 공부할 때 필요한 책과 공책들을 펼쳐놓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게 되어 매우 불편하였으며, 또 제작시에는 일부분(1b)을 절단 제거하여야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재의 손실은 물론, 제작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앉거나 일어나서 벗어나는 방향이 일부분(1b)측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습관이나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반대쪽을 이용하려다가 걸려서 넘어져 다치게 되는 등 안전사고도 빈발하였다.
특히, 의자(2)에 앉은 자세에서 필기를 하거나 또는 팔을 천판(1a)위에 얹어놓을 때에는 이 천판과 몸 사이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몸을 천판(1a) 가까이 바짝 당겨 앉아야 되므로 등이 의자(2)의 등판(2a)으로부터 격리되어 등판이 몸을 받쳐주지 못하게 됨에 따라 앉은 자세가 편안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어 쉬 피로하게 되는 등의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천판의 제작이 용이하며 자재의 손실방지는 물론 장시간 앉아 있어도 피로하지 않게 되는 의자가 부설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의자에 앉거나 일어나서 벗어나는 방향이 어느 한쪽으로 한정되지 않게 되며, 또 몸을 천판측으로 당겨 앉지 않고 등판에 기대 앉은 상태에서도 필기를 하거나 천판에 팔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되어 장시간 앉아 있어도 피로하지 않게 되는 의자가 부설된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책상은 천판이 결착부재와 지지부재들에 의해 적정간격내에서 전·후수평이동가능토록 파이프로 되는 골조에 착설된다.
결착부재는 금속판재로 되며 골조를 감싸주면서 양측편이 나사못으로 천판의 저면에 부착되고, 지지부재는 합성수지로 되며 결착부재와 골조 사이에 이 골조를 감싸주는 상태로 개재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천판은 상기 결착부재들에 의해 골조에 착설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지지부재는 금속재로 되는 결착부재와 골조의 마찰을 방지하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하여 주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기 위해 서나 또는 일어나서 벗어나고져 할 때에는 천판을 앞쪽으로 밀어 이동시켜 주면 몸과 천판 사이의 간격이 많이 벌어지게 되어 좌·우 어느방향으로나 편리하게 들어가 앉거나 일어나 벗어날 수 있게 되며, 또 천판을 몸쪽으로 당겨 이동시켜 주면 등을 등판에 편안한 자세로 기대 앉은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필기를 하거나 팔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품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동 일부 발췌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동 사용상태측면도
도 5는 동 사용상태 요부 발췌 확대측면도
도6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일부 발췌 확대정면도
b는 동 일부 절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책상
11 : 천판
20 : 의자
21 : 등판 22 : 좌판
30 : 골조
40 : 결착부재
41 : 결착부 42,42' : 결착편
45 : 체결공 46 : 고정나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의자가 부설된 책상은, 책상(10)을 구성하는 천판(11)과, 의자(20)를 구성하는 등·좌판(21)(22)과, 상기 천판과 등·좌판들이 각각 착설되는 좌·우 한쌍의 골조(30)와 이 골조에 상기 천판을 전·후이동가능하게 착설하여 주는 결착부재(40)와, 이 결착부재와 상기 골조 사이에 개재되어 결착 상태와 전·후이동을 지지하여 주는 한쌍의 지지부재(50)들을 구비하여서 된다.
결착부재(40)는 금속판재로 되며 U자형으로 만곡된 결착부(41)와, 이 결착부 양단에 외측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연장되며 나사못구멍(43)들이 설치된 결착편(42)(42')들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착부(41)의 외측면에는 체결공(45)이 설치되며, 이 체결공에는 고정나사(46)가 체결된다.
지지부재(50)는 반원형상으로 되게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각 외주면에는 상기 결착부재의 결착부(41) 내주면이 결합되는 결합홈(51)들이 요입형성되고, 이 홈에 의해 외주면 전·후에는 걸림턱(52)이 빙둘러 설치된다.
따라서, 천판(11)을 파이프로 된 골조(30) 양쪽 선단의 수평부(31)위에 착설할 때에는 먼저 양단을 상기 수평부의 중간위치 내면에 용접부착시킨 횡봉(32)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전·후측에 한쌍의 지지부재(50)들을 양측에서 결합하여 수평부(31)을 감싸주는 상태로 합쳐준 다음, 각 외주면의 결합홈(51)에 결착부재(40)의 결착부(41)를 결합한 상태에서 그 양측단부의 결착편(42)(42')들을 각 구멍(43)을 통해 나사못(44)으로 천판(11)의 저면에 착설하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천판(11)의 저면 양쪽, 전후 4곳을 횡봉(32)을 기준으로 하여 결착시켜 주면 천판(11)은 양쪽수평부(31) 상면에 안정되게 착설됨과 동시에 전·후로 수평이동가능하게 된다.
또, 각 결착부재(40)의 구멍(43)을 통해 고정나사(44)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지지부재(50)가 골조(30) 외면에 완강히 밀착고정되므로 천판(11)은 임의로 이동 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나사는 4군데의 각 결착부재(40) 모두에 체결하여도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양쪽 2군데에만 체결하여도 된다.
또한, 전·후의 결착부재(40)들이 횡봉(32)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전·후측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천판(11)을 전·후로 이동시키게 되면 전·후의 결착부재(40)들이 횡봉(32)의 전·후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되므로 결국 천판(11)은 횡봉(32)과 이들 전·후측에 위치하게 되는 전·후 결착편(40)들 사이의 간격내 에서 전·후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50)들은 그 외주면 전·후단의 걸림턱(52)이 결착부재(40)의 결착부(41) 전·후단에 걸어져 있기 때문에 전·후이동과정에서 결착부재(4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의자가 부설된 책상을 사용하기 위해 좌판(22)에 앉고져 할 때에는, 먼저 고정나사(46)를 적절히 풀어서 결착부재(40)들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천판(11)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켜 주면 이 천판과 좌판(22)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벌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좌·우 어느쪽을 통해서나 좌판(22)에 편리하게 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앉은 다음에는 등판(21)에 등을 편안한 자세로 기댄 상태에서 천판(11)을 후방으로 당겨 몸에 근접시켜 준 다음 고정나사(44)를 조여서 결착부재(40)들을 고정시켜 주면, 천판(11)이 필기를 하거나 또는 팔을 올려놓기 적합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물론, 이때 고정나사(44)를 조여주지 않아도 결착부재(40)와 골조(30) 사이에는 지지부재(50)들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천판(11)은 적절한 힘을 가해 밀어 주지 않게 되면 사용중 임의로 밀려서 전진되지는 않게 된다.
한편, 좌판(22)으로부터 일어나거나 벗어나고져 할 때에는, 고정나사(44)를 풀어서 결착부재(4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준 다음 천판(11)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의자가 부설된 책상은, 천판을 적정범위내에서 수평으로 전·후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좌·우 어느방향을 통해서도 앉거나 일어나서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필기를 하거나 천판위에 팔을 올려놓고져 할 때에는 몸을 천판측으로 당겨 않지 않고 천판을 몸쪽으로 당겨서 후진시켜 주면 되기 때문에 몸을 편안한 자세로 등판에 기대앉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장시간 앉아 있어도 쉬 피로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파이프로 되는 좌·우 한쌍의 골조(30) 양쪽 선단 수평부에는 책상(10)의 천판(11)을 착설하고 양후단의 수직·수평부에는 의자(20)의 등·좌판(21)(22)을 각각 착설하여서 되는 의자가 부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골조를 감싸주게 U 자형으로 만곡된 결착부(41)와 이 결착부의 양단에 상기 천판 저면에 부착하게 수평으로 절곡연장되며 나사못구멍(43)들이 각각 구비된 결착편(42)(42')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결착부재(40)들과, 이 결착부재와 골조(30) 사이에 개재되게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결착부재의 결착부(41)가 결합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된 한상의 지지부재(50)들로 상기 천판을 골조(30)의 양선단 수평부에 전·후이동자재토록 착설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가 부설된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결착부재(40)의 결착부(41) 외측면에는 체결공(45)을 설치하고, 이 체결공에는 상기 결착부재를 골조(30)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나사(46)를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가 부설된 책상.
KR2019970003946U 1997-03-06 1997-03-06 의자가 부설된 책상 KR200157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946U KR200157459Y1 (ko) 1997-03-06 1997-03-06 의자가 부설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946U KR200157459Y1 (ko) 1997-03-06 1997-03-06 의자가 부설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50U true KR19980059950U (ko) 1998-11-05
KR200157459Y1 KR200157459Y1 (ko) 1999-09-15

Family

ID=1949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946U KR200157459Y1 (ko) 1997-03-06 1997-03-06 의자가 부설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4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22B1 (ko) * 2002-07-13 2004-11-17 도림산업 주식회사 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책걸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22B1 (ko) * 2002-07-13 2004-11-17 도림산업 주식회사 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책걸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459Y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2383A (en) Apparatus for attaching fabric to a chair frame
US4793654A (en) Chair with height-adjustable seat
FR2616308B1 (fr) Siege a elements demontables
KR200157459Y1 (ko) 의자가 부설된 책상
US20080148473A1 (en) Bathing chair with fixing device
JP4046393B2 (ja) 椅子
US2266641A (en) Toilet seat
US3271784A (en) Convertible commode chair
JPH0711629Y2 (ja) デスク
JP5047485B2 (ja) 実験台
CZ298306B6 (cs) Židle
WO2022172894A1 (ja) 椅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JPH0641473Y2 (ja) 事務机
KR200240463Y1 (ko) 좌변기 보조대
JP7081916B2 (ja) 椅子
ES2155554T3 (es) Respaldo para muebles de asiento.
JPS6314696Y2 (ko)
KR910002192Y1 (ko) 높이조절 자유로운 시이트부를 구비한 의자
JP7057998B2 (ja) 椅子
JPH0523100Y2 (ko)
KR200342422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920005978Y1 (ko)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KR960010188Y1 (ko) 유아용 그네
JPH09294645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