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719A - 차량용 리어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719A
KR19980059719A KR1019960079062A KR19960079062A KR19980059719A KR 19980059719 A KR19980059719 A KR 19980059719A KR 1019960079062 A KR1019960079062 A KR 1019960079062A KR 19960079062 A KR19960079062 A KR 19960079062A KR 19980059719 A KR19980059719 A KR 1998005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runk
rear seat
impact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719A/ko
Publication of KR1998005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719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리어 시트로서, 정면충돌시, 트렁크에서 앞으로 쏠리는 트렁크 적재화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어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에 세워진 채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쿠션용 충진물이 충진된 등받이인 시트 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의 후면에 정면충돌시 관성력에 의하여 밀려들어오는 트렁크 적재화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하니컴구조의 컴구조의 충격흡수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시트
본 발명은 승용차의 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충돌시 트렁크에서 앞으로 쏠리는 트렁크 적재화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인 시트 백과, 체중이 실리는 시트 쿠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백은 세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프레임이 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내부에 승객의 안락한 착좌감을 위한 완충수단으로써 지그재그형 용수철이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 프레임과 완충수단은 시트 발포체로 싼 후, 시트 패드로 포장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발포체의 쿠션률과 상기 용수철의 탄성력으로 승객의 등을 자동차의 진동에 영향받지 않게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이다.
한편, 승용차의 리어 시트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2개가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이것은 통상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1)과 등받이인 시트 백(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어 시트는 최근에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시트 뒤쪽에 배치되는 트렁크를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시트 백(2)이 앞으로 젖혀져 실내측에서 트렁크(3)를 개방할 수 있게 설치되기도 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4의 평판 구조물은 트렁크(3)의 천정부를 이루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측에서 트렁크(3)를 사용할 수 있게 시트 백(2)이 앞으로 젖혀지는 리어 시트를 장착하고 있는 차량에서는 정면 충돌시에 트렁크의 적재된 화물이 관성력에 의하여 앞으로 쏠리면서 리어 시트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고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 트렁크에서 밀려들어오는 화물의 2차의 충격으로 실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상해를 가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리어 시트가 가진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리어 시트의 시트 백 뒷면에 정면충돌시에 관성에 의하여 앞으로 쏠리는 트렁크 적재화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시트를 제공하여, 정면충돌시 트렁크 적재화물로 승객의 상해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승용차의 리어 시트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어 시트 구조를 보인 리어 시트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리어 시트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충격흡수재만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쿠션 2 : 시트 백
3 : 트렁크 4 : 리어 패키지 트레이
5 : 충격흡수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 시트는,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어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에 세워진 채로 고정되며, 내부에는 쿠션용 충진물이 충진된 등받이인 시트 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의 후면에는 정면충돌시 관성력에 의하여 밀려들어오는 트렁크 적재화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재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허니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리어 시트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충격흡수재만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충격흡수재(5)가 구비된 리어 시트는 트렁크(3)의 전면을 이루는 리어 시트 후면에 충격흡수재(5)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채로 부착된다.
상기 충격흡수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집모양의 허니컴 구조를 가지며, 이는 충격홉수율이 좋은 합성수지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트렁크에 적재된 화물이 있을 경우, 상기 충격흡수재(5)가 관성에 의하여 앞쪽으로 쏠리게 되는 화물의 충격을 흡수하여 자동차 실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주행시, 트렁크에 적재한 상태에서 정면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충격흡수재가 관성에 의한 트렁크 화물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트렁크 적재화물에 인한 승객의 2차적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면충돌시 종래에 비하여 승객의 안전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에 세워진 채로 고정되는 시트 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의 후면에는 정면충돌시 관성력에 의하여 밀려들어오는 트렁크 적재화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시트.
KR1019960079062A 1996-12-31 1996-12-31 차량용 리어 시트 KR19980059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062A KR19980059719A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리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062A KR19980059719A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리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719A true KR19980059719A (ko) 1998-10-07

Family

ID=6642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062A KR19980059719A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리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7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2665A (en) Safety device for children in vehicles
US6652034B1 (en) Upholstery support
US6027167A (en) Method to safely restrain occupants in a crashing vehicle and a seat constructed to perform said method
KR101492410B1 (ko) 시트 쿠션 구조물
EP0677423B1 (en) Neck support for a vehicle seat
JPH0450052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US3951429A (en) Safety device for the occupants of vehicles, especially motor vehicles
US6663177B2 (en) Advanced elastomeric integral suspension seating system
US3366417A (en) Head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 back
US20160068088A1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US3961805A (en) Safety system for the occupants of vehicles, especially motor vehicles
US6921129B2 (en) Vehicle, especially a multipurpose vehicle
US3464751A (en) Safety seat structure
US4089545A (en) Vehicle safety seating
KR19980035833U (ko)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리어 시트
US4413838A (en) Passenger restraint system
KR19980059719A (ko) 차량용 리어 시트
US3837668A (e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passengers
US7150471B2 (en) Cushioned restraint system
US4756551A (en) Head restraint
GB2287646A (en) Attachment of child safety seat to a vehicle seat
WO2003104026A9 (en) GLOBAL PRIMARY SECURITY SYSTEM FOR VEHICLE
US2750203A (en) Occupant protection bar for automobile seats
KR200147871Y1 (ko) 사이드 에어백 장착 가능한 자동차 시이트 프레임
KR20030092950A (ko) 서브마린 방지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