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020U - 힌지용 베어링 구조 - Google Patents

힌지용 베어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020U
KR19980059020U KR2019970003509U KR19970003509U KR19980059020U KR 19980059020 U KR19980059020 U KR 19980059020U KR 2019970003509 U KR2019970003509 U KR 2019970003509U KR 19970003509 U KR19970003509 U KR 19970003509U KR 19980059020 U KR19980059020 U KR 19980059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earing
shaft
hinge shaft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2299Y1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2019970003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2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4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relating to the use of free balls as bearing-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에 사용되는 피봇힌지 또는 돌쩌귀에 설치되어 회전작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상부 힌지판의 마모를 방지하여 피봇힌지 또는 돌쩌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베어링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조립 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힌지용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문틀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부의 힌지축에 상부 힌지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 힌지부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시키는 피봇힌지 및 돌쩌귀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외주에 이탈방지홈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힌지축에 삽착되는 베어링의 케이스의 내경부에 힌지축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설됨과 동시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착되는 수개의 결착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베어링의 조립작업과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힌지용 베어링 구조
본 고안은 방화문에 사용되는 피봇힌지 또는 돌쩌귀에 설치되어 회전작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상부 힌지판의 마모를 방지하여 피봇힌지 또는 돌쩌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베어링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조립 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힌지용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화문의 경우는 철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이다. 따라서 방화문에 사용되는 피봇힌지 또는 돌쩌귀에는 방화문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주부싱이나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신주부싱의 경우는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되는 단점이 있어 내마모성의 베어링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공보 제 2237 호에 실린 공고번호 제 95-10340 호의 피봇힌지는 하부 힌지판의 구멍에 조립되는 힌지축을 2단으로 단턱지게 가공하는 구조로서 베어링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3단으로 가공된 힌지축의 경우는 작은 직경으로 된 하단부는 하부 힌지판의 구멍에 삽입되게 하면서 중간 직경의 중간부가 걸리게 하고 또 직경이 큰 상단부는 베어링의 상부를 눌러주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서 힌지판 위에 베어링을 올려 놓고 힌지축을 한차례 끼워주는 작업으로 베어링을 조립할 수 있어 베어링 조립작업에는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와 같이 조립된 힌지축의 하단부를 용접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베어링이 마모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베어링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베어링을 교체할 때 바닥에 고정시킨 힌지판을 완전히 철거해야 하기 때문에 베어링의 교체작업은 원천적으로 피봇힌지를 재시공해야 하는 것과 다를바가 없어 베어링 교체에 많은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어 실수요자인 건물입주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폐단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봇힌지 또는 돌쩌귀의 하부 힌지부에 힌지축을 고정시킨 다음 상기 힌지축의 상방에서 베어링을 조립하는 구조로서 베어링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 상기 힌지축에 일단 조립된 베어링은 기 설정된 조립위치에서 절대 자연적인 이탈현상이 방지되게 하므로서 상부 힌지부가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베어링이 마모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베어링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베어링의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문틀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부의 힌지축에 상부 힌지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 힌지부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시키는 피봇힌지 및 돌쩌귀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외주에 이탈방지홈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힌지축에 삽착되는 베어링의 케이스의 내경부에 힌지축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설됨과 동시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착되는 수개의 결착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피봇힌지에 적용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피봇힌지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돌쩌귀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 힌지부 2 : 힌지축
3 : 베어링 4 : 상부 힌지부
5 : 문틀 11 : 조립공
12 : 보강돌기 21 : 삽입단
22 : 돌출단 23 : 이탈방지홈
31 : 볼 32 : 상부 링
33 : 하부 링 34 : 케이스
35 : 결착돌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피봇힌지에 적용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을 피봇힌지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돌쩌귀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하부 힌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하부 힌지부(1)에는 힌지축(2)이 조립되는 조립공(11)에 형성되어 있으며, 문틀(5)에 용접되는 수직후레임과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후레임과의 절곡부 양쪽에 힘받이용 보강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2)은 상기한 조립공(11)에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삽입단(21)과 베어링(3) 및 상부 힌지부(4)를 수용하는 큰 직경의 돌출단(22)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단(21)을 조립공(11)에 삽입하게 되면 큰 직경의 돌출단(22)의 하단에 형성된 환형 걸림턱이 조립공(11) 주연부에 걸리게 되며, 이같은 상태에서 삽입단(21)의 하단을 확장시키는 리벳팅공정으로 힌지축(2)을 하부 힌지부(1)에 조립,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의 둘출단(22) 외주에는 이탈방지홈(23)이 미리 가공되어 있는 상태인데, 상기 이탈방지홈(23)은 조립공(11) 상면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게 한다.
한편 상기 힌지축(2)에 조립되는 베어링(3)은 다수개의 볼(31)과 이를 구속하는 상,하부 링(32)(33)이 케이스(34)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스(34)의 내경부에는 내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는 결착돌기(35)가 등간격으로 수개 돌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3)을 힌지축(2)에 삽입,조립하게 되면 상기한 결착돌기(35)가 이탈방지홈(23)에 결착되는 것이다.
이후 베어링(3) 위로 돌촐된 힌지축(2)에 상부 힌지부(4)를 조립하게 되면 상부 힌지부(4)는 베어링(3)의 상부 링(32)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하부 힌지부(1)의 조립공(11)에 힌지축(2)을 조립한 다음 상기 힌지축(2)의 상단부측에서 베어링(3)을 삽입하는데, 상기 베어링(3)의 케이스(34) 내경부에 돌설되어 있는 수개의 결착돌기(35)는 내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힌지축(2)으로의 삽입작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오히려 베어링(3)이 힌지축(2)에 안정되게 삽입되는 작용을 안내함과 동시 삽입시 결착돌기(35)들은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이탈방지홈(23)에 이르러서는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이탈방지홈(23)에 결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2)에 조립된 베어링(3)은 이탈방지홈(23)에 결착되는 결착돌기(35)에 의하여 힌지축(2)에 견고하게 조립됨과 동시 하부 힌지부(1)의 수평후레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서 상부 힌지부(4)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같이 상부 힌지부(4)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될 경우에는 베어링(3)의 볼(310 및 상,하부 링(32)(33)들이 편마모를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베어링(3) 자체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키는 특징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특징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인 피봇힌지는 물론 도 3의 돌쩌귀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피봇힌지 및 돌쩌귀를 장기간 사용하므로서 상,하부 힌지부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3)이 마모가 심하여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방화문을 들어 올려 힌지축(2)에서 상부 힌지부(4)를 해체시킨 다음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베어링(3)의 케이스(34) 밑에 강제로 끼워 넣은 후 베어링(3)을 들어 올리게 되면 이탈방지홈(23)에 끼어 있던 결착돌기(35)가 빠져나오게 되므로서 베어링(3)의 해체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이후 새것의 베어링(3)을 힌지축(2)에 재조립하므로서 베어링의 교체작업이 용이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부 힌지부에 고정되는 힌지축의 외주면에 이탈방지홈을 환설한 다음 상,하부 힌지부에 개재되는 베어링의 케이스 내경부에는 내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는 돌설된 수개의 결착돌기가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착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베어링을 힌지축에 안정되게 조립되게 함과 동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부 힌지부를 보다 안정되게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베어링 자체에 편마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주며, 특히 본 고안은 베어링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힌지축은 그대로 놔둔채 베어링만을 해체할 수 있게 하므로서 베어링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과 함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문틀에 고정되는 하부 힌지부의 힌지축에 상부 힌지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 힌지부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시키는 피봇힌지 및 돌쩌귀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외주에 이탈방지홈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힌지축에 삽착되는 베어링의 케이스의 내경부에 힌지축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설됨과 동시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착되는 수개의 결착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용 베어링 구조.
KR2019970003509U 1997-02-28 1997-02-28 힌지용 베어링 구조 KR200152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509U KR200152299Y1 (ko) 1997-02-28 1997-02-28 힌지용 베어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509U KR200152299Y1 (ko) 1997-02-28 1997-02-28 힌지용 베어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020U true KR19980059020U (ko) 1998-10-26
KR200152299Y1 KR200152299Y1 (ko) 1999-07-15

Family

ID=1949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509U KR200152299Y1 (ko) 1997-02-28 1997-02-28 힌지용 베어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2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21B1 (ko) * 2002-10-17 2005-06-07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372B1 (ko) 2012-05-03 2014-03-20 김송기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KR101966042B1 (ko) * 2018-02-12 2019-08-27 김동섭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21B1 (ko) * 2002-10-17 2005-06-07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2299Y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626B (zh) 防水油布悬挂装置
JP3116260U (ja) 旋回吊持具
US5490303A (en) Paint roller frame and cage assembly
US7918003B2 (en) Kingpin bushing installation tool
US6238096B1 (en) Press-alignable bearing assembly
US20070267591A1 (en) Slide Gate Valve Unit for Casting Machine
DE3521794A1 (de) Laufrolle
EP0298163A1 (en) A laterally swinging hinge device
KR200152299Y1 (ko) 힌지용 베어링 구조
ZA200602135B (en) A single axis hinge
EP0587299A1 (en) Wear resistant chain joint seal
KR0135945B1 (ko) 수동식 체인블럭
CN114364856B (zh) 车辆铰链和用于制造车辆铰链的铰链半叶的方法
EP1148198A2 (en) Bottom bracket for upward acting door
KR100493521B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101104347B1 (ko)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US3118171A (en) Hinge
KR2001466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KR200198329Y1 (ko) 볼 이탈방지형 스러스트 볼베어링 리테이너
KR200300592Y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DE102006051711B4 (de) Laugenbehälter mit Ballastgewicht für eine Waschmaschine
KR200393063Y1 (ko) 창문손잡이의 조립구조
KR100518195B1 (ko) 행거식 미닫이문
KR960005796Y1 (ko) 피봇힌지(Pivot hinge)
JPH09209642A (ja) 耐震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