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781A - 광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781A
KR19980058781A KR1019960078117A KR19960078117A KR19980058781A KR 19980058781 A KR19980058781 A KR 19980058781A KR 1019960078117 A KR1019960078117 A KR 1019960078117A KR 19960078117 A KR19960078117 A KR 19960078117A KR 19980058781 A KR19980058781 A KR 19980058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isk
guide
tray
main chassis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7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781A/ko
Publication of KR1998005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81A/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그 내측 후면에 클램프 새시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광 디스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며 톱 플레이트를 갖는 메인새시와, 가이딩 수단을 통해 메인새시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트레이상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턴 테이블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 고무로 성형된 가이드 롤러를 통해 디스크를 이송시킴에 있어 발생되는 로딩이 불안정성을 트레이를 통한 로딩을 통해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8cm,12cm 광 디스크를 안정되게 가이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기기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Optical Disk Play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용이하게 가이딩 시킬 수 있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Optical Disk)는 자기 기록 테이프 및 LP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여 근래에 들어와서 이를 사용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로는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aser Disk Player),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등이 있는 바, 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중 특히 그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가 가장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즉, CDP는 별도의 플레이어로써 즉, 휴대용으로 또는 오디오 시스템과 조합되도록 보급되어 있거나 또는 근래에 들어와서 자동차의 고급화 추세에 따른 자동차용 CDP로 제안되어 있다.
도 1에는 이와같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메인 새시(1)의 내측면에는 구동모터(M)가 위치되고, 전면 일측에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군(G)이 위치된다. 이때 특히 최종의 기어(g)의 중심 면에는 그 타단이 기어(g)와 대응되는 측의 메인 새시(1)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회전축(2)의 일단이 압입 설치된다. 즉, 회전축(2)은 기어(g)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이 회전축(2)의 외주면상에는 이 회전축(2)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장구형 가이드 롤러(3)가 끼워 삽입된다.
한편, 메인 새시(1)의 전면 상측에는 가이드 롤러(3)에 의해 안내되는 광 디스크(D)의 상면과 접촉되어 이를 가압함으로써, 가이드 롤러(3)와 함께 광 디스크(D)를 가이드 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전면 상판(4)이 마련된다.
그리고 메인 새시(1)의 후면 상측에는 구동모터(M)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턴 테이블 상에 안착된 광 디스크(D)를 척킹(Chucking)시키는 척킹 플레이트(5)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메인새시(1)의 전면으로부터 광 디스크(D)가 삽입되게 되면, 구동모터(M)로 부터의 동력을 다수의 기어군(G)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는 가이드 롤러(3)와 전면 상판(4)간의 가압력에 의해 광 디스크(D)가 가이드 되어 턴 테이블 상에 안착되고 동시에 척킹 플레이트(5)에 의해 척킹되게 되어 턴 테이블과 함께 회전 구동되면서, 도시되지 않은 픽업 유닛(Pick-up Unit)에 의해 기록/재생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가이드 롤러(3)의 재질이 고무(Rubber)이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떨어져 장시간 사용할 때 광 디스크의 원활한 로딩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둘째, 회전축(2)과 가이드 롤러(3)간의 마찰계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야 하는 설계상의 까다로움과,
셋째, 전술한 문제점에 의해 회전축(2)과 장구형 가이드 롤러(3)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할 경우 로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출원 제 96-?호를 통해 개선된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안한 바 있다.
즉, 이는 크게 메인새시(10)와, 이 메인새시(10)의 내면에 위치되는 트레이(Tray;20) 및 이 트레이(20)를 메인새시(10)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메인새시(10) 후측 내면에는 그 중심 전면에 클램퍼(clpmper;11)가 마련된 클램프 새시(12)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특히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광 디스크(D)의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 홈(10a)이 절개 형성된다.
한편, 트레이(20)는 그 상면에 광 디스크(D)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대략 판(板)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트레이(20)의 후측 중심면에는 전면을 향해 소정폭의 홈(20a)이 형성된다.
전술한 가이딩 수단은,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즉 가이드 홈(10a)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메인새시(10)의 가이드 홈(10a)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이 가이드 홈(10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턱(21)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 홈(10a)이 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는 구동모터(M)와 이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군(G)이 위치된다.
또한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즉, 트레이(20)의 슬라이딩 이송방향으로 이송 스프링(30)이 위치되는 바, 이 이송 스프링(30)의 일단은 전술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다수의 기어군(G)중 최종의 기어(g)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메인새시(10)의 후측 내면에 위치된 가이드 브라켓(13)상에 공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 이송 스프링(30)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적어도 1개이상 복수개의 가이더(40,40')가 연장 형성되는 바, 이 가이더(40,40')들은 이송 스프링(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력을 부여받도록 끼워 삽입된다. 즉, 그 각각의 내면에 이송 스프링(30)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트레이(20)를 통해 광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된 것이어서, 종래 롤러를 통한 로딩 및 언로딩 작업에 비하여 안정화가 도모된 이점이 있는 반면,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 즉, 8cm,12cm광 디스크를 안정되게 가이딩 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용이하게 가이딩 시킬 수 있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그 내측 후면에 클램프 새시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광 디스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며 톱 플레이트를 갖는 메인새시와, 가이딩 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새시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상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턴 테이블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평면도 및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가이딩 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새시14 : 톱 플레이트
100,200 : 제 1, 2 가이드 레버쌍
110,120,210,220 : (각 가이드 레버쌍의)좌,우레버
111,121,211,221 : 기어112,122,212,222 : 가이드 봉
113,123,213,223 : 걸림턱300 : 랙 기어
400 : 절환레버410 : 원형몸체
411 : 기어부420,430 : 상,하 연장판
500 : 캠S : 스프링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가이딩 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새시(10) 후측 내면에는 그 중심 전면에 클램퍼(clpmper;11)가 마련된 클램프 새시(12)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특히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광 디스크(D)의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 홈(10a)이 절개 형성된다.
한편, 트레이(20)는 판(板)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 트레이(20)의 후측 중심면에는 전면을 향해 소정폭의 홈(20a)이 형성된다.
전술한 트레이(20)를 로딩/언로딩 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으로써, 메인새시(10)의 가이드 홈(10a)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이 가이드 홈(10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턱(21)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 홈(10a)이 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는 구동모터(M)와 이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군(G)이 위치된다.
또한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즉, 트레이(20)의 슬라이딩 이송방향으로 이송 스프링(30)이 위치되는 바, 이 이송 스프링(30)의 일단은 전술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다수의 기어군(G)중 최종의 기어(g)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메인새시(10)의 후측 내면에 위치된 가이드 브라켓(13)상에 공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 이송 스프링(30)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적어도 1개이상 복수개의 가이더(40,40')가 연장 형성되는 바, 이 가이더(40,40')들은 이송 스프링(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력을 부여받도록 끼워 삽입된다. 즉, 그 각각의 내면에 이송 스프링(30)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다.
한편, 이때 이송 스프링(3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어서 그 자체가 하방으로 처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새시(1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이송 스프링(30)을 감쌀수 있도록 ㄷ자형 브라켓(50)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20)상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를 즉, 8cm 광 디스크(D)와 12cm 광 디스크(D')를 선택적으로 턴 테이블(미도시)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이 마련된다.
이와같은 가이딩 수단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크게 제 1, 2 가이드 레버쌍(100,200)과 복수의 스프링(S) 및 해제수단으로 대별된다.
제 1, 2 가이드 레버쌍(100,200)은 각각 좌,우 레버(110,120,210,220)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20)의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그 일측은 트레이(20)의 하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또한 외주면에는 서로 이 맞물림되는 기어(111,121,211,221)가 형성된다.
또한 이 기어(111,121,211,221)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연장된 타측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D,D')를 슬라이딩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촉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봉(112,122,212,222)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봉(112,122,212,222)의 하단부로 부터는 각각 내측 방향을 향하여 광 디스크(D,D')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113,123,213,223)을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스프링(S)은 제 1, 2 가이드 레버쌍(100,200)들을 서로 이 맞물림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해제수단은, 광 디스크(D,D')가 가이딩 되어 재생되는 시점에서 이 광 디스크(D,D')와 가이드 봉(112,122,212,222)간의 접촉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랙 기어(300)와 절환레버(400) 및 캠(500)으로 대별된다.
랙 기어(300)는 메인새시(10)의 톱 플레이트(14)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즉, 광 디스크(D,D')의 슬라이딩 이송방향으로 소정범위내로 형성된다.
한편, 절환레버(400)는 트레이(20)의 중심 하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20)의 중심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광 디스크(D,D')의 가이딩 완료시점에서 톱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된 랙 기어(300)와 이 맞물림되도록 기어부(411)가 형성된 원형몸체(410)를 갖는다. 또한 이 원형 몸체(410)로 부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판(420,430)이 연장 형성되는 바, 이 상,하 연장판(420,430)은 제 1, 2 가이드 레버쌍(100,200)중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가이드 레버(120,210)와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캠(500)은, 전술한 절환레버(400)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하 연장판(420,430)과 대응되는 제 1, 2 가이드 레버쌍(100,200)의 좌,우레버(120,2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랙 기어(300)와 절환 레버(400)의 몸체(410)에 형성된 기어(411)가 이 맞물림되는 시점에서 절환레버(400)의 상,하 연장판(420,430)에 의해 연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통해 8cm 광 디스크(D)와 12cm 광 디스크(D')의 가이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8cm 광 디스크(D)의 가이딩 과정을 보면, 메인새시(10)의 전면으로부터 광 디스크(D)를 삽입하게 되면, 광 디스크(D)는 트레이(20)의 전면측에 위치된 제 1 가이드 레버(100)의 좌,우 레버(110,120)상에 형성된 가이드 봉(112,122)에 접촉되게 되고 동시에 이들을 외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의해 좌,우 레버(110,120)는 기어(111,121)간의 이 맞물림에 의해 각각 외측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의해 광 디스크(D)는 메인새시(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이와같이 어느정도 광 디스크(D)가 제 1 가이드 레버(100)의 좌,우 레버(110,120)에 의해 안내되어 메인새시(10)의 내측으로 이송된 상태에서는 다시 광 디스크(D)는 트레이(2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 2 가이드 레버(200)의 좌,우 레버(210,220)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 봉(212,222)에 접촉되어 더 이상 이송되지 않게된다. 즉, 광 디스크(D)의 가이딩이 완료된 시점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트레이(20)는 가이딩 수단을 통해 메인새시(10)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되게 되며, 동시에 이 트레이(20)의 하면에 위치된 절환레버(400)의 몸체(410)에 형성된 기어(411)가 톱 플레이트(14)의 하면에 형성된 랙 기어(300)와 이 맞물림되게 되어 상대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같이 절환레버(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서는 절환레버(400)의 상, 연장판(420,430)이 대응되는 위치의 좌,우 레버(120,2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캠(500)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의해 좌,우 레버(120,210)가 좀더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 1, 2 레버쌍(100,200)의 가이드 봉(112,122,212,222)와 광 디스크(D)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광 디스크(D)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12cm 광 디스크(D')의 가이딩 과정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레버(200)과 연동되는 것 외에는 모두 8cm 광 디스크(D)의 가이딩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통해 가이딩 되고 또한 제 1, 2 가이드 레버(100,200)의 가이드 봉(112,122,212,222)과 광 디스크(D')간의 접촉 상태 해제동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의하면, 종래 고무로 성형된 가이드 롤러를 통해 디스크를 이송시킴에 있어 발생되는 로딩이 불안정성을 트레이를 통한 로딩을 통해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8cm,12cm 광 디스크를 안정되게 가이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기기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그 내측 후면에 클램프 새시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광 디스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며 톱 플레이트를 갖는 메인새시와, 가이딩 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새시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0)상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D,D')를 선택적으로 턴 테이블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수단은, 상기 트레이(20)의 전,후면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그 일측단에는 트레이(20)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채 서로 이 맞물림되는 기어(111,121,211,221)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D,D')의 후면 양측 외주면이 접촉되는 가이드 봉(112,122,212,222)이 연장 형성된 좌,우 레버(110,120,210,220)를 각각 갖는 제 1, 2 가이드 레버(100,200)쌍과; 서로 이 맞물림된 상기 제 1, 2 가이드 레버쌍(100,200)들의 좌,우 레버(110,120,210,220)들을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S)과; 상기 제 1, 2 가이드 레버(100,200)쌍들의 가이드 봉과 상기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D,D')를 재생 시점에서 상호간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메인새시(10)의 톱 플레이트상(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랙 기어(300)와; 상기 트레이(2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일측 외주면에는 디스크(D,D')의 가이딩 완료시점에서 상기 랙 기어(300)와 이 맞물림되도록 기어부(411)가 형성된 원형몸체(410)와, 이 원형 몸체(41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2 가이드 레버(100,200)쌍중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좌,우 가이드 레버(120,210)와 인접되도록 연장된 연장판(420,430)을 갖는 절환레버(400)와; 상기 절환레버(400)의 연장판(420,430)이 연장된 부위와 대응되는 제 1, 2 가이드 레버(100,200)쌍의 각 레버(120,210)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랙 기어(300)와 절환 레버(400)의 몸체(410)에 형성된 기어(411)가 이 맞물림되는 시점에서 절환레버(400)의 연장판(420,430)에 의해 연동되는 캠(50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가이드 레버(100,200)쌍의 가이드 봉(112,122,212,222)의 하단부에는 상기 직경을 달리하는 광 디스크(D,D')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113,123,213,223)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960078117A 1996-12-30 1996-12-30 광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58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117A KR19980058781A (ko) 1996-12-30 1996-12-30 광디스크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117A KR19980058781A (ko) 1996-12-30 1996-12-30 광디스크 플레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81A true KR19980058781A (ko) 1998-10-07

Family

ID=6642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117A KR19980058781A (ko) 1996-12-30 1996-12-30 광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7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93743A1 (ja) 記録媒体再生装置
KR100558719B1 (ko) 정보디스크용체인저장치
KR10043711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9980058781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
US20030235132A1 (en) Disk loading apparatus for an optical disk player
KR100235066B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3749123B2 (ja) ディスク装置
EP1341171B1 (en) Disk insertion position setting device
KR100220600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KR200182550Y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US8074236B2 (en) Disk driv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209151B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WO2001088914A1 (ja) ディスク保持装置
JP2004022146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20202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 장치
KR19980022957U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51886Y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0151459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 장치
KR19980058824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JP3912974B2 (ja) ディスク搬送機構
KR10020943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장치
KR100258058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KR100267795B1 (ko) 복수매 디스크 재생장치
US568237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selectively playing an optical disc and a cassette-encased tape
KR19980050416U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