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600B1 -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600B1
KR100220600B1 KR1019960078121A KR19960078121A KR100220600B1 KR 100220600 B1 KR100220600 B1 KR 100220600B1 KR 1019960078121 A KR1019960078121 A KR 1019960078121A KR 19960078121 A KR19960078121 A KR 19960078121A KR 100220600 B1 KR100220600 B1 KR 10022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tray
main chassis
guide
releas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85A (ko
Inventor
서종원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60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이딩 수단을 통해 메인새시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수평구간과 서로 대응되는 상,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구간을 각각 갖는 상,하 가이드 장공이 형성된 판상의 트레이와; 상,하 가이드 장공 사이의 트레이 내측면과 인접되도록 지지축이 돌출 형성된 드라이빙 유닛과; 드라이빙 유닛상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상부 가이드 장공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이 연장 형성되고, 지지축이 끼워 삽입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된 상부 해제레버와; 드라이빙 유닛상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하부 가이드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이 연장 형성된 하부 해제레버;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종래 고무로 성형된 가이드 롤러를 통해 디스크를 이송시킴에 있어 발생되는 로딩이 불안정성을 트레이를 통한 로딩을 통해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이젝팅 모드나 로딩/언로딩 모드시점에서 드라이빙 유닛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척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기기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Optical Disk Play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업과 턴 테이블을 갖는 드라이빙 유닛(driving unit)을 광 디스크의 로딩/언로딩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플로팅(floating)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Optical Disk)는 자기 기록 테이프 및 LP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여 근래에 들어와서 이를 사용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로는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aser Disk Player),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등이 있는 바, 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중 특히 그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이하 CDP라 약칭함)가 가장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즉, CDP는 별도의 플레이어로써 즉, 휴대용으로 또는 오디오 시스템과 조합되도록 보급되어 있거나 또는 근래에 들어와서 자동차의 고급화 추세에 따른 자동차용 CDP로 제안되어 있다.
도 1에는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용으로 적용된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메인 새시(1)의 내측면에는 구동모터(M)가 위치되고, 전면 일측에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군(G)이 위치된다. 이때 특히 최종의 기어(g)의 중심 면에는 그 타단이 기어(g)와 대응되는 측의 메인 새시(1)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회전축(2)의 일단이 압입 설치된다. 즉, 회전축(2)은 기어(g)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이 회전축(2)의 외주면상에는 이 회전축(2)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장구형 가이드 롤러(3)가 끼워 삽입된다.
한편, 메인 새시(1)의 전면 상측에는 가이드 롤러(3)에 의해 안내되는 광 디스크(D)의 상면과 접촉되어 이를 가압함으로써, 가이드 롤러(3)와 함께 광 디스크(D)를 가이드 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전면 상판(4)이 마련된다.
그리고 메인 새시(1)의 후면 상측에는 구동모터(M)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턴 테이블 상에 안착된 광 디스크(D)를 척킹(Chucking)시키는 척킹 플레이트(5)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메인새시(1)의 전면으로부터 광 디스크(D)가 삽입되게 되면, 구동모터(M)로 부터의 동력을 다수의 기어군(G)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는 가이드 롤러(3)와 전면 상판(4)간의 가압력에 의해 광 디스크(D)가 가이드 되어 턴 테이블 상에 안착되고 동시에 척킹 플레이트(5)에 의해 척킹되게 되어 턴 테이블과 함께 회전 구동되면서, 도시되지 않은 픽업 유닛(Pick-up Unit)에 의해 기록/재생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가이드 롤러(3)의 재질이 고무(Rubber)이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떨어져 장시간 사용할 때 광 디스크의 원활한 로딩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둘째, 회전축(2)과 가이드 롤러(3)간의 마찰계수를 정밀하게 제어하여야 하는 설계상의 까다로움과,
셋째, 전술한 문제점에 의해 회전축(2)과 장구형 가이드 롤러(3)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할 경우 로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안한 바 있다.
즉, 이는 크게 메인새시(10)와, 이 메인새시(10)의 내면에 위치되는 트레이(Tray;20) 및 이 트레이(20)를 메인새시(10)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메인새시(10) 후측 내면에는 그 중심 전면에 클램퍼(clpmper;11)가 마련된 클램프 새시(12)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특히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광 디스크(D)의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 홈(10a)이 절개 형성된다.
한편, 트레이(20)는 그 상면에 광 디스크(D)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대략 판(板)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트레이(20)의 후측 중심면에는 전면을 향해 소정폭의 홈(20a)이 형성된다.
전술한 가이딩 수단은,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즉 가이드 홈(10a)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메인새시(10)의 가이드 홈(10a)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이 가이드 홈(10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턱(21)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 홈(10a)이 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는 구동모터(M)와 이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군(G)이 위치된다.
또한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즉, 트레이(20)의 슬라이딩 이송방향으로 이송 스프링(30)이 위치되는 바, 이 이송 스프링(30)의 일단은 전술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다수의 기어군(G)중 최종의 기어(g)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메인새시(10)의 후측 내면에 위치된 가이드 브라켓(13)상에 공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 이송 스프링(30)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적어도 1개이상 복수개의 가이더(40,40')가 연장 형성되는 바, 이 가이더(40,40')들은 이송 스프링(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력을 부여받도록 끼워 삽입된다. 즉, 그 각각의 내면에 이송 스프링(30)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트레이(20)를 통해 광 디스크를 로딩 및 언로딩 시키도록 된 것이어서, 종래 롤러를 통한 로딩 및 언로딩 작업에 비하여 안정화가 도모된 이점이 있는 반면, 재생(play)시점을 제외한 즉, 로딩 및 언로딩 시점과 이젝팅(ejecting) 시점에서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트레이에 안착된 광 디스크가 이탈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로딩 및 언로딩 시점과 이젝팅 시점에서 드라이빙 유닛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광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로딩/언로딩 시점과 이젝팅 시점에서 드라이빙 유닛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는, 그 내측 후면에 클램프 새시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 메인새시와; 그 상면에 광 디스크가 안착되며 가이딩 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새시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양측면에는 수평구간과 서로 대응되는 상,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구간을 각각 갖는 상,하 가이드 장공이 형성된 판상의 트레이와; 상기 메인새시의 내측면에 위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 장공이 사이의 트레이 내측면과 인접되도록 지지축이 돌출 형성된 드라이빙 유닛과; 상기 드라이빙 유닛상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 장공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이 연장 형성되고, 그 일측 하면에는 상기 드라이빙 유닛의 지지축이 선택적으로 끼워 삽입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된 상부 해제레버와; 상기 상부 해제레버의 하부측 드라이빙 유닛상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 가이드 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이 연장 형성된 하부 해제레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평면도 및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새시 20 : 트레이
60,70 : 상,하부 가이드 장공 61,71 : 수평구간
62,72 : 경사구간 80 : 드라이빙 유닛
81 : 지지축 92 : 요홈
90,100 : 상,하부 해제레버 91,101 : 가이드 축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새시(10) 후측 내면에는 그 중심 전면에 클램퍼(clpmper;11)가 마련된 클램프 새시(12)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특히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광 디스크(D)의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 홈(10a)이 절개 형성된다.
한편, 트레이(20)는 그 상면에 광 디스크(D)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대략 판(板)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트레이(20)의 후측 중심면에는 전면을 향해 소정폭의 홈(20a)이 형성된다.
전술한 트레이(20)를 로딩/언로딩 시키기 위한 가이딩 수단으로써, 메인새시(10)의 가이드 홈(10a)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이 가이드 홈(10a)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턱(21)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 홈(10a)이 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는 구동모터(M)와 이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군(G)이 위치된다.
또한 이 메인새시(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즉, 트레이(20)의 슬라이딩 이송방향으로 이송 스프링(30)이 위치되는 바, 이 이송 스프링(30)의 일단은 전술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다수의 기어군(G)중 최종의 기어(g)에 고정되며, 그 타단은 메인새시(10)의 후측 내면에 위치된 가이드 브라켓(13)상에 공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 이송 스프링(30)과 대응되는 트레이(2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적어도 1개이상 복수개의 가이더(40,40')가 연장 형성되는 바, 이 가이더(40,40')들은 이송 스프링(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력을 부여받도록 끼워 삽입된다. 즉, 그 각각의 내면에 이송 스프링(30)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다.
한편, 이때 이송 스프링(3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어서 그 자체가 하방으로 처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새시(10)의 일측면으로 부터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이송 스프링(30)을 감쌀수 있도록 ㄷ자형 브라켓(50)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전술한 가이딩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새시(10)의 타측 내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가이딩 수단을 통해 메인새시(10)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20)의 양측면에는 상,하 가이드 장공(60,70)이 형성된다.
이때 상,하 가이드 장공(60,70)은 각각 수평구간(61,71)과, 이 수평구간(61,71)으로부터 서로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즉,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구간(62,72)을 갖는다.
한편,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는 드라이빙 유닛(driving unit;80)이 위치되는 바, 이 드라이빙 유닛(80)의 양측면에는 전술한 상,하 가이드 장공(60,70) 사이의 트레이(20)의 내측면과 인접되도록 지지축(81)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드라이빙 유닛(20)의 양측면에는 상,하 해제레버(90,100)가 위치되는 바, 상부 해제레버(90)는 그 일단이 드라이빙 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타단에는 트레이(20)의 상부 가이드 장공(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91)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이 상부 해제레버(90)의 일측 하면에는 드라이빙 유닛(8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축(81)이 선택적으로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92)이 형성된다.
하부 해제레버(100)는 상부 해제레버(90)의 하부측 드라이빙 유닛(80)상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은 드라이빙 유닛(8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타단에는 트레이(20)의 하부 가이드 장공(70)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101)이 연장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것은 이젝트 모드(eject mode)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이젝트 모드시에는 드라이빙 유닛(80)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플로팅(floating) 여유를 부여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유닛(80)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축(81)은 상부 해제레버(90)의 일측 하면에 형성된 요홈(92)에 끼워 삽입된 상태이며, 또한 하부 해제레버(100)의 상부 일측면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다.
또한 이때 전술한 상,하부 해제레버(90,100)의 각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이드 축(91,101)은 트레이(2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60,70)의 경사구간(62,72) 최선단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트레이(20)에 의해 광 디스크가 슬라이딩 이송되고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턴 테이블상에 위치되는 시점에서 즉, 플레이 모드(play mode)시에는 외부로 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서도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즉 플로팅 여유를 부여하여야 하는 바, 이와같이 플로팅 여유의 확보는 상,하부 해제레버(90,100)의 연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트레이(20)가 메인새시(10)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되게 되면, 이 트레이(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60,70)상에 끼워 삽입된 상,하부 해제레버(90,100)으 가이드 축(91,101)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가압력을 받게된다.
따라서 상,하부 해제레버(90,100)는 드라이빙 유닛(80)에 축 지지된 부위를 중심으로하여 각각 외측으로 회동되게 되고, 동시에 상부 해제레버(90)의 요홈(92)상에 끼워 삽입되어 있던 드라이빙 유닛(80)의 지지축(81)이 이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또한 하부 해제레버(100)의 일측면으로 부터의 가압력을 받지 않게된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유닛(80)의 지지축(81)은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드라이빙 유닛(80)은 플로팅 여유를 부여받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에 의하면, 종래 고무로 성형된 가이드 롤러를 통해 디스크를 이송시킴에 있어 발생되는 로딩이 불안정성을 트레이를 통한 로딩을 통해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이젝팅 모드나 로딩/언로딩 모드시점에서 드라이빙 유닛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척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기기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그 내측 후면에 클램프 새시(12)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 메인새시(10)와;
    그 상면에 광 디스크가 안착되며 가이딩 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새시(10)의 내,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양측면에는 수평구간(61,71)과 서로 대응되는 상,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구간(62,72)을 각각 갖는 상,하 가이드 장공(60,70)이 형성된 판상의 트레이(20)와;
    상기 메인새시(10)의 내측면에 위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 장공(60,70) 사이의 트레이(20) 내측면과 인접되도록 지지축(81)이 돌출 형성된 드라이빙 유닛(80)과;
    상기 드라이빙 유닛(80)상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 장공(60)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91)이 연장 형성되고, 그 일측 하면에는 상기 드라이빙 유닛(80)의 지지축(81)이 선택적으로 끼워 삽입될 수 있는 요홈(92)이 형성된 상부 해제레버(90)와;
    상기 상부 해제레버(90)의 하부측 드라이빙 유닛(80)상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트레이(20)의 하부 가이드 장공(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축(101)이 연장 형성된 하부 해제레버(10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KR1019960078121A 1996-12-30 1996-12-30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KR10022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121A KR100220600B1 (ko) 1996-12-30 1996-12-30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121A KR100220600B1 (ko) 1996-12-30 1996-12-30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85A KR19980058785A (ko) 1998-10-07
KR100220600B1 true KR100220600B1 (ko) 1999-09-15

Family

ID=1949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121A KR100220600B1 (ko) 1996-12-30 1996-12-30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6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85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600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JP3995455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182550Y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KR100212536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58824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유닛 플로팅 장치
KR100209151B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30547A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3912974B2 (ja) ディスク搬送機構
JP2003059151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80050416U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KR19980022957U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0202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딩 장치
KR19980058781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
KR200151886Y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H0731403Y2 (ja) ディスク自動交換装置のディスク排出機構
JP2002048207A (ja) 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427175B1 (ko) 차량용 씨디플레이어의 구동장치
KR0151459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 장치
KR200145872Y1 (ko) 자동차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가이드장치
KR0181079B1 (ko) 자동차용 광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17227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38887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367041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4655787B2 (ja) ローディング機構およびこのローディング機構を用いたディスク再生装置
KR980009498U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