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649U -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 Google Patents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649U
KR19980058649U KR2019970003095U KR19970003095U KR19980058649U KR 19980058649 U KR19980058649 U KR 19980058649U KR 2019970003095 U KR2019970003095 U KR 2019970003095U KR 19970003095 U KR19970003095 U KR 19970003095U KR 19980058649 U KR19980058649 U KR 199800586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racket
vertical portion
front vertical
hook memb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2019970003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649U/ko
Publication of KR19980058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649U/ko

Link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공들의 간격이 서로 다른 장공지주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부착부에 복수개의 걸고리와 상·하부 버팀돌부를 일체적으로 형성시켜서 되는 선반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만 하나의 고정걸고리를 일체로 형성시킨 선반브라켓과; 상기 부착부에 돌설된 상·하부 버팀돌부 사이에 형성시킨 전면수직부와; 상기 선반브라켓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장공지주체의 장공에 삽입·결착되는 이동걸고리와 상기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하단을 협지하면서 상기 전면수직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협지홈이 마련되어 있는 걸고리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하측에 형성된 전면수직부를 수용하는 걸고리부재의 협지홈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수직부의 범위내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수직장공을 결속핀으로 결속하는 것과, 상기 선반브라켓의 전면수직부에 대향지게 형성시킨 후면수직부에 상기 걸고리부재의 협지홈에 관통되는 결속핀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본 고안은 장공들의 간격이 서로 다른 장공지주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싸이즈(Free-size) 선반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공지주체는 다수의 장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통상 단면이 ㄷ자형으로 된 찬넬타입의 주지체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또는 벽면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면이 T1 형으로 된 지주체 등이 소개되고 있는 바, 이러한 장공지주체는 여러 회사에서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장공지주체를 제작하는 회사들의 장공의 간격을 통일시키지 않고 조금씩 다르게 만들어 내고 있으며, 장공 간격의 차이는 작게는 1㎜ 내외 정도, 크게는 3~5㎜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대하여 종래 기술은 도 8에서 보듯이 선반브라켓(10)의 부착부(10a)에는 장공지주체(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킨 장공(21)에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개의 걸고리(11)(12)를 상·하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걸고리(11)(12) 각각의 밑에는 장공지주체(20)의 전면에 밀착되는 버팀돌부(13)(14)를 형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브라켓(10)은 상·하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고리(11)(12)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고리(11)(12)들의 간격과 일치하는 장공간격을 갖는 장공지주체(20)에만 설치가 가능할 뿐 장공간격이 조금이라도 차이가 있는 장공지주체(20)에는 적합하지 못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반브라켓(10)은 폭이 넓고 좁은 다양한 규격의 유리선반을 지지하는 것과 옷걸이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봉을 지지하기 위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상기 장공지주체(20)를 제작하는 회사에서는 다양한 규격 및 종류의 선반브라켓(10)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선반브라켓(10)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공급함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어느 회사의 장공지주체(20)를 사용하던간에 장공지주체에 알맞는 선반브라켓(10)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걸고리(11)(12)의 간격이 다른 여러 종류의 것을 미리 제작하고 있어야만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주문에 의한 선반브라켓을 제외한 너머지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선반브라켓을 제작하는 업체 또는 판매자에게 큰 손실을 가져다 주게 되는 비경제성 때문에 여러 종류의 선반브라켓을 구비할 수 없는 것이 현실정이므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종류의 선반브라켓을 가지고 장공들의 간격이 서로 다른 장공지주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착부에 복수개의 걸고리와 상·하부 버팀돌부를 일체적으로 형성시켜서 되는 선반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만 하나의 고정걸고리를 일체로 형성시킨 선반브라켓과; 상기 부착부에 돌설된 상·하부 버팀돌부 사이에 형성시킨 전면수직부와; 상기 선반브라켓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장공지주체의 장공에 삽입·결착되는 이동걸고리와 상기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하단을 협지하면서 상기 전면수직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협지홈이 마련되어 있는 걸고리부재와; 로 구성하여서도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하측에 형성된 전면수직부를 수용하고 걸고리부재의 협지홈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수직부의 범위내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수직장공을 결속핀으로 결속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는 상기 선반브라켓의 전면수직부에 대향지게 형성시킨 후면수직부에 상기 걸고리부재의 협지홈에 관통되는 결속핀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의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선반브라켓 부착부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반브라켓트2 : 고정걸고리
3 : 상부 버팀돌부4 : 하부 버팀돌부
5 : 전면수직부6 : 수직장공
6a : 후면수직부7 : 걸고리부재
7a : 협지홈7b : 이동걸고리
8 : 결속핀20 : 장공지주체
21 : 장공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의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선반브라켓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선반브라켓(1)은 장공지주체(20)에 부착되는 부착부(1a)와 유리선반 또는 옷걸이 봉 등을 지지하는 지지부(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1a)는 통상 장공지주체(20)의 장공(21)에 삽입되어 결착되는 걸고리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야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부착부(1a) 상단에 한개의 고정걸고리(2)만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걸고리(2) 밑으로 형성되는 상·하부 버팀돌부(3)(4) 사이에 전면수직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전면수직부(5)의 대향측에 수직장공(6)을 형성시켜서 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걸고리부재(7)는 상기 선반브라켓(1)과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전면수직부(5)를 수용하면서 상·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협지홈(7a)과 장공지주체(20)의 장공(21)에 삽입, 결착되는 이동걸고리(7b)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걸고리부재(7)가 협지홈(7a)을 관통하는 결속핀(8)은 상기 수직장공(6)에 구속된채로 상·하로의 이동을 허락받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브라켓(1)의 부착부(1a) 하단 즉, 전면수직부(5)를 협지하고 있는 걸고리부재(7)는 상기 전면수직부(5)와 수직장공(6)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예와 같이 장공지주체(2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장공(21)들의 간격(S1)(S2)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전면수직부(5)를 협지하면서 수직장공(6)을 관통하는 결속핀(8)으로 구속된 걸고리부재(7)가 상기 전면수직부(5)와 수직장공(6)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상·하로 이동이 자유로우므로서 선반브라켓(1)을 장공지주체(20)에 안정되게 결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선반브라켓(1)의 부착부(1a)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걸고리(2)를 상측에 위치한 장공(21)에 삽입시키면서 걸고리부재(7)의 이동걸고리(7b)는 그 하측에 위치한 장공(21)에 삽입될 수 있게 상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선반브라켓(1)을 결착시키게 되면 고정걸고리(2)와 이동걸고리(7b)는, 상·하로 인접한 두 개의 장공(21)에 삽입, 결착됨과 동시 상·하부 버팀돌부(3)(4)는 장공지주체(20)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힘받이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장공지주체(20)에 결착디는 선반브라켓(1) 및 이에 진열되는 상품의 하중은 상측 장공(21)에 결착되는 고정걸고리(2)와 상·하부 버팀돌부(3)(4)가 담당하고 하측 장공(21)에 결착되는 걸고리부재(7)와 이동걸고리(7b)는 상기한 하중을 지지하는 작용보다는 선반브라켓(1)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어 선반브라켓(1)는 좌·우로 흔들림 없이 장공지주체(20)에 결착된 상태를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실시예는 상기 선반브라켓(1)의 부착부(1a)에 형성되는 수직장공(6) 대신에 후면수직부(6a)를 형성시킨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걸고리부재(7)를 부착부(1a)에 착설시키는 결속핀(8)이 협지홈(7a)을 관통하면서 상기 후면수직부(6a)에 접동가능하게 결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역시 걸고리부재(7)가 전면수직부(5)와 후면수직부(6a)의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장공(21)의 간격이 다른 여러 종류의 장공지주체(20)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는 선반브라켓(1)의 전면수직부(5)측을 협지하는 걸고리부재(7)를 결속핀(8)으로 결속시키지 않는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선반브라켓(1)의 고정걸고리(2)를 결착시키고자 하는 장공(21) 바로 밑에 있는 장공(21)에 걸고리부재(7)의 이동걸고리(7b)를 삽입, 결착시킨 다음 도 5 및 도 6의 도시예와 같이 선반브라켓(1)의 고정걸고리(2)를 장공(21)에 삽입시키면서 부착부(1a)의 하단을 협지홈(7a)에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선반브라켓(1)을 설치하는 것이며, 이 경우 선반브라켓(1)의 부착부(1a) 하단이 걸고리부재(7)의 협지홈(7a)에 구속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만을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선반브라켓(1)의 지지부(1b)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때 부착부(1a)가 협지홈(7a)에서 빠질 염려는 없지 않지만 좌·우로의 흔들림은 완벽하게 방지하고 있어 선반브라켓(1)의 설치에 따른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는 특징으로 보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상단에 한 개의 고정걸고리만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선반브라켓과의 별개로 형성된 걸고리부재를 상기 부착부 하단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속시킨 한 종류의 선반브라켓를 이용하여 장공의 간격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장공지주체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선반브라켓의 이용범위를 넓혀주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선반브라켓의 제작업체나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부착부에 복수개의 걸고리와 상·하부 버팀돌부를 일체적으로 형성시켜서 되는 선반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만 하나의 고정걸고리를 일체로 형성시킨 선반브라켓과;
    상기 부착부에 돌설된 상·하부 버팀돌부 사이에 형성시킨 전면수직부와;
    상기 선반브라켓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장공지주체의 장공에 삽입·결착되는 이동걸고리와 상기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하단을 협지하면서 상기 전면수직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협지홈이 마련되어 있는 걸고리부재와;
    로 구성하여서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브라켓의 부착부 하측에 형성된 전면수직부를 수용하고 걸고리부재의 협지홈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수직부의 범위내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수직장공을 결속핀으로 결속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브라켓의 전면수직부에 대향지게 형성시킨 후면수직부에 걸고리부재의 협지홈에 관통하는 결속핀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KR2019970003095U 1997-02-25 1997-02-25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KR199800586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95U KR19980058649U (ko) 1997-02-25 1997-02-25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95U KR19980058649U (ko) 1997-02-25 1997-02-25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49U true KR19980058649U (ko) 1998-10-26

Family

ID=6967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095U KR19980058649U (ko) 1997-02-25 1997-02-25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64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1740C (en) Pegboard bracket retainer
US5758851A (en) Add-a-rod bracket assembly
US4026508A (en) Hanger bracket
KR960027073A (ko) 모듈형 교차접속 시스템
CA2440589A1 (en) Vertically stabilized shelf bracket assembly
EP3177180B1 (en) Modular cable wine rack system
US4834555A (en) Fixture for the attachment of a guide rail to the body of a piece of furniture
KR19980058649U (ko) 프리싸이즈 선반브라켓
ATE342679T1 (de) Regal
CN219048014U (zh) 一种裤类收纳架
JP2006345943A (ja) 棚板取付構造
KR200148381Y1 (ko)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고정장치
JPH04128632U (ja) 机における衝立パネルの取り付け装置
KR200222709Y1 (ko) 전시용 패널
KR100643162B1 (ko) 쇼케이스
KR100286432B1 (ko) 조립식 쇼우케이스 시스템
CN217633275U (zh) 一种立柱的安装结构
JPH06225819A (ja) 引出し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KR200160362Y1 (ko) 찬넬형 부착구
KR200401434Y1 (ko) 액자
JPH0515425A (ja) 収納装置
KR0132917Y1 (ko) 신문 진열대
KR100247014B1 (ko) 전화기의 고정장치
KR960008575Y1 (ko) 소품진열용 걸이대
KR0132395Y1 (ko) 주방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