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327U - 자루걸레 - Google Patents

자루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327U
KR19980058327U KR2019970002725U KR19970002725U KR19980058327U KR 19980058327 U KR19980058327 U KR 19980058327U KR 2019970002725 U KR2019970002725 U KR 2019970002725U KR 19970002725 U KR19970002725 U KR 19970002725U KR 19980058327 U KR19980058327 U KR 19980058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p
support plate
mo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5885Y1 (ko
Inventor
문재순
Original Assignee
문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순 filed Critical 문재순
Priority to KR2019970002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88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8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한 자루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루용 손잡이대를 회전 시킴에 따라 손잡이대와 지지판을 결합시키는 연결구와 캡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루걸레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의 자루걸레는 주로 손잡이대가 지지판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기울기가 이루어 지는 관계로 바닥을 딱을때 걸레의 사용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걸레(20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20)의 상부 중앙에 손잡이대(10)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31) 중앙에는 결합공(32)과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이 형성된 안내부(30)와,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에는 삽지공(42)이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트임홈(43)을 갖는 덮개부(40)와, 삽지공(42)에 끼워지는 구면체(61)의 지지축(62) 상단에는 손잡이대(10)가 결합되는 연결구(60)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부(50)와, 상기 캡(41)의 저면 양측에 뚫려진 가이드공(44)의 내부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스토퍼(70)는 스프링(71)으로 탄지되어 안내부(30)의 걸림홈(33)에 안착되는 자루걸레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대(10)를 기울게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도중에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캡(41)이 회전되어 방향 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며, 손잡이대(10)의 방향이 지지판(20)의 폭이 넓은쪽과 폭이 좁은쪽 사방으로 자유롭게 전환되는 동시에 지지판(20)의 대각성 방향으로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하는 장소의 조건에 따라 손잡이대(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켜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루걸레
본 고안은 실내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한 자루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루용 손잡이대를 회전 시킴에 따라 손잡이대와 지지판을 결합시키는 연결구와 캡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루걸레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의 마루바닥이나 방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자루걸레는 주로 걸레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대는 주로 지지판의 중앙에 힌지 결합되어 손잡이대가 사용자 방향으로 소정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루걸레는 주로 손잡이대가 지지판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기울기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바닥을 딱을때 걸레의 사용 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걸레가 착탈되는 지지판은 주로 그 일측이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내지는 타원형의 판재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걸레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지지판의 폭이 넓은 쪽으로 손잡이대의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작된 경우에는 폭이 넓은면을 이용하여 넓은 바닥을 청소하기는 용이하나 폭이 좁게 형성된 구석된 곳이나 협소한 통로의 청소 작업은 상당히 불편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지지판의 폭이 좁은 쪽으로 손잡이대의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넓은 실내를 청소하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지판에 결합되는 손잡이대가 자유롭게 회동 및 정지되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기가 아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자루걸레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측 방향이 길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걸레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대가 결합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상부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안내홈 중앙에는 결합공이 뚫려지고 그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캡의 내부에는 상협하광식의 삽지공이 형성되고 그 외측면 일측에는 트임홈을 갖는 덮개부와, 상기 삽지공의 내부에 끼워지는 구면체 상부의 지지축 상단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손잡이대의 하부가 나합되는 연결구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지지홈을 갖는 지지체가 결합공의 하부를 통해 캡의 삽지공 하부에 삽착 고정되어 구면체의 하부를 지탱하는 지지부와, 상기 캡의 저면 양측에 뚫려진 가이드공의 내부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스토퍼는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안내부의 걸림홈에 안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루걸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손잡이대20:지지판
20a:걸레30:안내부
31:안내홈31a:입벽
32:결합공33:걸림홈
34:수납홈40:덮개부
41:캡42:삽지공
42a:요홈43:트임홈
44:가이드공50:지지부
51:좌판52:지지체
52a:돌기53:유도홈
60:연결구61:구면체
62:지지축62a:나선부
70:스토퍼71:스프링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은 일측 방향이 길게 형성된 판재로 되어 있고, 이 지지판(20)에는 걸레(20a)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어 일정기간이 지나면 새로운 걸레(20a)를 교체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0)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대(10)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20)에 손잡이대(10)가 결합되고 걸레(20a)를 지지판(20)에서 착탈시키도록 하는 자루걸레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상 가장 중요한 특징은 지지판(20)과 손잡이대(10)를 연결시키는 안내부(30)와 덮개부(40), 연결구(60), 지지부(50) 및 스프링(71)으로 탄지되는 스토퍼(70)의 기술구성에 있다.
상기 안내부(30)는 지지판(20)의 상부 중앙에 입설된 원형의 입벽(31a)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31)과 이 안내홈 중앙을 관통하여 뚫려진 결합공(32) 및 안내홈(31)의 주연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33)들에 의하여 구성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진 안내홈(31)의 내부에는 이와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캡(41)이 끼워져 회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에는 캡(4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상협하광(上狹下廣)식의 삽지공(42)이 형성되어 있고, 삽지공(42)의 내측면의 상부는 반구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연결구(60)의 구면체(61)가 밀착되어 삽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캡(41)의 상부 일측에는 일정폭을 갖는 트임홈(43)이 형성되어 삽지공(42)과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전술한 기술구성은 전체적인 덮개부(40)를 구성한다.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는 구면체(61)가 밀착되어 삽착되며, 구면체(61) 상부의 지지축(62)은 삽지공(42)의 상부를 관통하여 캡(41)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면체(61)를 회동시키면서 트임홈(43)을 따라 직각의 범위내에서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62)의 상단에는 나선부(62a)가 형성되어 손잡이대(10)의 하부가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구면체(61)와 지지축(62)은 전체적인 연결구(60)를 이룬다.
상기 캡(41)을 상·하로 관통하는 삽지공(42)의 하부에는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원통형의 지지체(52)가 삽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 지지체(52) 하부에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좌판(5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52)가 지지판(20)의 저면을 통해 결합공(32)에 끼워진 후 캡(41)에 뚫려진 삽지공(42)의 하부에 삽착 고정되면 지지체(52) 상부에 형성된 만곡형의 유도홈(53)이 구면체(61)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전체적으로 구면체(61)의 상·하부가 반구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캡(41)의 삽지공(42)과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유도홈(53) 사이에 밀착되어 구면체(61)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좌판(51)은 지지판(20) 하부면에 형성된 수납홈(34)에 삽지되어 좌판(51)이 지지판(20) 하부로 돌출되는 폐단이 방지되므로 지지판(20)에 부착되는 걸레(20a)의 사용에 문제점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52)의 상부 외주면에는 돌기(52a)가 형성되고 삽지공(42) 하부 내측면에는 요홈(42a)이 형성되어, 지지체(52)의 돌기(52a)가 삽지공(42)의 요홈(42a)에 결합되면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제적인 힘을 가하기 전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전체적으로 지지부(50)를 이룬다.
상기 캡(41)의 저면 양측에는 한쌍의 가이드공(44)이 뚫려져 있고, 이 가이드공(44)에는 반구형의 스토퍼(70)가 끼워져 스프링(7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공(44)에서 탄력적으로 설치된 반구형의 스토퍼(70)는 캡(41)의 회동시 안내홈(31)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눌르면서 회전되다가 안내홈(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33)에 위치되면 스토퍼(70)가 걸림홈(33)에 안착되어 캡(41)의 회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물론 강제적인 힘을 가하면서 캡(41)을 회전시키면 스토퍼(70)이 스프링(71)을 압박하면서 상승되어 걸림홈(33)에서 이탈되고 또 다른 걸림홈(33)에 안착되면 캡(41)의 회동이 정지되는 바, 원하는 걸림홈(33)의 위치에서 캡(41)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구면체(61)의 상·하부가 반구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캡(41)의 삽지공(42)과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지지체(52)의 유도홈(53) 사이에 밀착되어 구면체(61)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구면체(61)의 상부 지지축(62)에 결합된 손잡이대(10)를 경사지게 기울이면 구면체(61)가 아래로 회전되면서 지지축(62)이 캡(41)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임홈(43)을 따라 회동되어 기울어진다.
이때 손잡이대(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은 캡(41)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임홈(43)이 지지판(20)의 폭이 넓은 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넓은 쪽으로 기울어지고 지지판(20)의 폭이 좁은 쪽을 향하는 경우에는 좁은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트임홈(43)의 방향이 손잡이대(10)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트임홈(43)이 형성된 캡(41)을 회전시키면 손잡이대(10)의 방향을 전환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손잡이대(10)를 지지판(20)의 폭이 넓은 쪽으로 기울게하여 넓은 바닥을 청소하다가 협소한 통로나 구석진 곳을 청소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손잡이대(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트임홈(43)이 지지판(20)의 폭이 좁은 쪽을 향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아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대(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대(10)와 지지축(62)로 연결된 구면체(61)가 회전되는 동시에 지지축(62)은 트임홈(43)에 결려지므로 캡(41)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캡(41)이 회전되면 캡(41) 저면의 가이드공(44)에 탄력적으로 삽지된 반구형의 스토퍼(70)가 스프링(71)을 압박하면서 상승되어 안내홈(31)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홈(33)에서 이탈되어 안내홈(31)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눌르면서 회전되는 것이며 캡(41)이 원하는 방향에 위치되어 손잡이대(10)의 회동을 정지시키면 스토퍼(70)가 직하부에 위치된 걸림홈(33)에 안착되어 캡(41)의 회동이 정지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또다시 강제적인 힘을 가하여 캡(41)을 회전시키면 스토퍼(70)가 스프링(71)을 압박하면서 상승되어 걸림홈(33)에서 이탈되고 또 다른 걸림홈(33)에 안착되면 캡(41)의 회동을 정지시켜 계속적으로 손잡이대(1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판(20) 중앙의 안내홈(31)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홈(33)들은 안내홈(31)의 중심에서 동일한 반경내에 위치되어 스토퍼(70)의 회동반경과 그 위치가 일치됨은 당연하며, 상기 걸림홈(33)의 갯수는 약 8∼12개로 형성되는 바 손잡이대(10)의 방향이 지지판(20)의 폭이 넓은쪽과 폭이 좁은쪽 사방으로 자유롭게 전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판(20)의 대각선 방향으로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하는 장소의 조건에 따라 손잡이대(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켜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전환은 손잡이대(10)를 기울게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도중에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캡(41)이 회전되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걸레(20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20)의 상부 중앙에 손잡이대(10)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31) 중앙에는 결합공(32)과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이 형성된 안내부(30)와,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캠(41)의 내부에는 삽지공(42)이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트임홀(43)을 갖는 덮개부(40)와, 삽지공(42)에 끼워지는 구면체(61)의 지지축(62) 상단에는 손잡이대(10)가 결합되는 연결구(60)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부(50)와, 상기 캡(41)의 저면 양측에 뚫려진 가이드공(44)의 내부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스토퍼(70)는 스프링(71)으로 탄지되어 안내부(30)의 걸림홈(33)에 안착되는 자루걸레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대(10)를 기울게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도중에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캡(41)이 회전되어 방향 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며, 손잡이대(10)의 방향이 지지판(20)의 폭이 넓은쪽과 폭이 좁은쪽 사방으로 자유롭게 전환되는 동시에 지지판(20)의 대각선 방향으로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하는 장소의 조건에 따라 손잡이대(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켜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측 방향이 길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걸레(20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20)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대(10)가 결합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 상부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안내홈(31) 중앙에는 결합공(32)이 뚫려지고 그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이 형성된 안내부(30)와,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에는 상협하광식의 삽지공(42)이 형성되고 그 외측면일측에는 트임홈(43)을 갖는 덮개부(40)와,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 끼워지는 구면체(61) 상부의 지지축(62) 상단에는 손잡이대(10)의 하부가 결합되는 연결구(60)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체(52)가 결합공(32)의 하부를 통해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 고정되어 구면체(61)의 하부를 지탱하는 지지부(50)와,
    상기 캡(41)의 저면 양측에 뚫려진 가이드공(44)의 내부에 끼워지는 반구형의 스토퍼(70)는 스프링(71)으로 탄지되어 안내부(30)의 걸림홈(33)에 안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KR2019970002725U 1997-02-21 1997-02-21 자루걸레 KR200145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725U KR200145885Y1 (ko) 1997-02-21 1997-02-21 자루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725U KR200145885Y1 (ko) 1997-02-21 1997-02-21 자루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27U true KR19980058327U (ko) 1998-10-26
KR200145885Y1 KR200145885Y1 (ko) 1999-06-15

Family

ID=1949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725U KR200145885Y1 (ko) 1997-02-21 1997-02-21 자루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8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7931A1 (en) * 2001-12-07 2003-06-12 Dong-Hwan Kwak Feather duster for vehicle
CN114732320A (zh) * 2022-03-30 2022-07-12 深圳市铁腕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带烘干功能的地毯清洁机
CN114916883A (zh) * 2022-03-30 2022-08-19 深圳市铁腕创新科技有限公司 地毯清洁机
CN114931339A (zh) * 2022-03-30 2022-08-23 深圳市铁腕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地毯清洁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7931A1 (en) * 2001-12-07 2003-06-12 Dong-Hwan Kwak Feather duster for vehicle
CN114732320A (zh) * 2022-03-30 2022-07-12 深圳市铁腕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带烘干功能的地毯清洁机
CN114916883A (zh) * 2022-03-30 2022-08-19 深圳市铁腕创新科技有限公司 地毯清洁机
CN114931339A (zh) * 2022-03-30 2022-08-23 深圳市铁腕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地毯清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5885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4748B2 (ja) コンパクト型化粧ブラシ保有装置
US5813421A (en) Lipstick swivel mechanism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US4328899A (en) Crockery and glassware stand
KR19980058327U (ko) 자루걸레
US11766161B2 (en) Container holder, crockery basket and domestic dishwasher
US20090235469A1 (en) Washing device and mounting device for the same
US5080117A (en) Device for cleaning contact lenses
KR100790538B1 (ko) 가전기기용 받침대
KR0128427Y1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JPH0349010U (ko)
KR200145980Y1 (ko) 자루걸레
JP2000238821A (ja) 飲料容器の蓋体
JP3216974U (ja) キッチン用具スタンド
KR200175529Y1 (ko) 콤팩트형 화장솔 보유 장치
CN215226907U (zh) 一种煎烤设备
KR900006734Y1 (ko) 콘택트 렌즈 보관용 케이스
JPH0121604Y2 (ko)
CN210673228U (zh) 一种清洁工具
KR970006443Y1 (ko) 가변자루를 갖는 청소비
JPH041899Y2 (ko)
TWM597106U (zh) 保溫鍋的鍋蓋
JP2595729Y2 (ja) 二部材の枢支連結装置および物品収納ケース
KR940003320Y1 (ko) 고형분용기를 교체 사용케한 콤팩트 케이스
KR200304050Y1 (ko)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