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980Y1 - 자루걸레 - Google Patents

자루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980Y1
KR200145980Y1 KR2019970006736U KR19970006736U KR200145980Y1 KR 200145980 Y1 KR200145980 Y1 KR 200145980Y1 KR 2019970006736 U KR2019970006736 U KR 2019970006736U KR 19970006736 U KR19970006736 U KR 19970006736U KR 200145980 Y1 KR200145980 Y1 KR 200145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ertion hole
cap
groove
m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408U (ko
Inventor
문재순
Original Assignee
문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순 filed Critical 문재순
Priority to KR2019970006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98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30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screwed sockets or ta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루걸레의 지지판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체가 덮개부의 삽지홈에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한편 사후 수리가 매우 간편한 자루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2725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출원은 지지체(52)를 캡(41)의 삽지공(42)에 삽착시킬 때 지지체(52)의 돌기가 삽지공(42)의 하부를 강제적인 힘으로 밀면서 삽입되어 요홈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지지체(52)를 끼우는 작업에서 가해지는 강제적인 힘에 의하여 돌기가 마모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으며, 일단 지지체(52)가 결합되면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 사후수리 등에 상당한 애로 사항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거레(20a)가 부착되는 지지판(20) 상부 안내홈(31)에 뚫려진 결합공(32)의 주연에는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을 갖는 안내부(30)와,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와 외측면에는 삽지공(42)과 트임홈(43)이 형성되고, 캡(41) 저면의 가이드공(44)에는 스프링(71)과 스토퍼(70)가 끼워지는 덮개부(40)와,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 삽지되는 구면체(61)의 지지축(62)이 손잡이대(10)에 결합되는 연결구(60)와,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체(52)의 하부에는 좌판(51)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부(50) 등으로 이루어진 자루걸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2)의 상부 외주면과 삽지공(42)의 하부 내측면에는 나선부(52a)(42a)들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부(50)의 좌판(51) 저면 양측에는 통공(51a)이 뚫려진 자루걸레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지지체(52)를 회동시키기만 하면 지지체(52) 상부의 나선부(52a)가 삽지공(42)의 나선부(42a)에 나사 결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조립작업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며, 좌판(51)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에서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사후수리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루걸레
본 고안은 자루걸레의 지지판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체가 덮개부의 삽지홈에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한편 사후 수리가 매우 간편한 자루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2725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판의 하부에는 걸레가 착탈식으로 부착되고 그 상부에는 손잡이대가 한지 결합되어 손잡이대가 사용자 방향으로 소정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토록 하는 자루걸레는 주로 손잡이대가 지지판의 상부에 한지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기울기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바닥을 딱을 때 걸레의 사용 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1997. 2. 21 일자 출원된 자루걸레(실용신안등록출원 제97-2725호 참조바람)에서, 걸레(20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20) 상부 중앙의 안내홈(31)에 뚫려진 결합공(32)의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이 형성된 안내부(30)와,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와 외측면에는 삽지공(42)과 트임홈(43)이 형성되고, 캡(41)의 저면에 뚫려진 가이드공(44)에는 스프링(71)과 스토퍼(70)가 끼워지는 덮개부(40)와,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 삽지되는 구면체(61)의 상부 지지축(62)이 손잡이대(10)에 결합되는 연결구(60)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부(50)로 이루어진 자루걸레에 의하여 손잡이대(10)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손잡이대(1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덮개부(40)의 캡(41)이 스토퍼(7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및 정지되어 손잡이대(10)의 방향 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루걸레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체(52)가 상협하광식으로 이루어진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어 지지체(52)와 캡(41)을 지지판(20)에 고정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지지체(52)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지공(42)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선출원은 지지체(52)를 캡(41)의 삽지공(42)에 삽착시킬 때 지지체(52)의 돌기가 삽지공(42)의 하부를 강제적인 힘으로 밀면서 삽입되어 요홈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지지체(52)를 끼우는 작업에서 가해지는 강제적인 힘에 의하여 돌기가 마모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으며, 일단 지지체(52)가 결합되면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 사후수리 등에 상당한 애로 사항이 발생된다. 특히 지지체(52)를 결합시킬 때마다 강제적인 힘을 가해야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과 불량률의 발생이 증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지판의 하부를 통해 덮개부의 삽지홈에 결합되는 지지체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되어 불량률이 감소되는 한편 사후 수리가 매우 편리한 자루걸레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걸레(20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20) 상부 중앙의 안내홈의 뚫려진 결합공(32)의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이 형성된 안내부(30)와,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와 외측면에는 삽지공(42)과 트임홈(43)이 형성되고, 캡의 저면에 뚫려진 가이드공에는 스프링과 스토퍼가 끼워지는 덮개부(40)와,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 삽지되는 구면체(61)의 상부 지지축(62)이 손잡이대(10)에 결합되는 연결구(60)와, 캡의 삽지공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체의 하부에는 좌판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부(50) 등으로 이루어진 자루걸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2)의 상부 외주면과 삽지공(42)의 하부 내측면에는 나선부들이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의 좌판 저면 양측에 뚫려진 통공을 이용하여 지지체를 회동시킴에 따라 지지체가 삽지공의 하부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루걸레의 지지판에 손잡이대와 걸레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분리한 상태의 일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대 20 : 지지판
20a : 걸레 30 : 안내부
31 : 안내홈 32 : 결합공
33 : 걸림홈 40 : 덮개부
41 : 캡 42 : 삽지공
42a,52a : 나선부 43 : 트임홈
44 : 가이드공 50 : 지지부
51 : 좌판 51a : 통공
52 : 지지체 53 : 유도홈
60 : 연결구 61 : 구면체
62 : 지지축 70 : 스토퍼
71 : 스프링 80 : 공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면체(61)가 반구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캡(41)의 삽지공(42)의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지지체(52)의 유도홈(53)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구면체(61)의 상비 지지축(62)에 결합된 손잡이대(10)를 경사지게 기울이면 구면체(61)가 아래로 회전되면서 지지축(62)이 캡(41)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임홈(43)을 따라 기울어지고, 이때 손잡이대(1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대(10)와 결합된 지지축(62)이 트임홈(43)에 결려져 캡(41)이 회전된다.
따라서, 캡(41)이 회전되면 캡(41) 저면의 가이드공(44)에서 스프링(7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반구형의 스토퍼(70)가 안내홈(31)의 외주면으로 탄력적으로 눌르면서 회전되고 캡(41)이 원하는 방향에 위치되어 손잡이대(10)의 회동을 정지시키면 스토퍼(70)가 복수개로 뚫려진 걸림홈(33)들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캡(41)이 정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함으로써, 손잡이대(10)의 방향을 자유롭게 회전시킴과 아울러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켜 청소하는 장소의 조건에 따라 손잡이대(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켜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이미 본인의 선출원에서 이미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 상부에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체(52)가 상협하광식으로 이루어진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어 지지체(52)와 캡(41)을 지지판(20)에 고정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지지체(52) 상부 외주면에는 나선부(52a)가 형성되고 캡(41)의 삽지공(42) 하부 내측면에도 나선부(42a)가 형성되어 지지체(52)가 삽지공(4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52)의 상부 외주면과 삽지공(42)의 하부 내측면에는 나선부(52a)(42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52) 하부에 구비된 좌판(51)의 저면 양측에는 통공(51a)이 뚫려져 있다.
따라서 사익 좌판(51)의 저면 양측에 뚫려진 통공(51a)에형으로 이루어진 공구(80)를 삽입시켜 좌판(51)과 지지체(52)를 회동시키기만 하면 지지체(52) 상부 나선부(52a)가 삽지공(42)의 나선부(42a)에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조립작업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에 나사 결합되는 본 고안은 스토퍼(70), 스프링(71) 등의 교체를 위하여 지지체(52)를 캡(41)의 삽지공(42)에서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전술한 공구(80)를 이용하여 좌판(51)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에서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사후수리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걸레(20a)가 부착되는 지지판(20) 상부 안내홈(31)에 뚫려진 결합공(32)의 주연에는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을 갖는 안내부(30)와,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와 외측면에는 삽지공(42)과 트임홈(43)이 형성되고, 캡(41) 저면의 가이드공(44)에는 스프링(71)과 스토퍼(70)가 끼워지는 덮개부(40)와,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 삽지되는 구면체(61)의 지지축(62)이 손잡이대(10)에 결합되는 연결구(60)와,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체(52)의 하부에는 좌판(51)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부(50) 등으로 이루어진 자루걸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2)의 상부 외주면과 삽지공(42)의 하부 내측면에는 나선부(52a)(42a)들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부(50)의 좌판(51) 저면 양측에는 통공(51a)이 뚫려진 자루걸레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지지체(52)를 회동시키기만 하면 지지체(52) 상부의 나선부(52a)가 삽지공(42)의 나선부(42a)에 나사 결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조립되는 것이며 조립작업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며, 좌판(51)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지지체(52)가 캡(41)의 삽지공(42)에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사후수리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걸레(20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지지판(20) 상부 중앙의 안내홈(31)에 뚫려진 결합공(32)의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홈(33)들이 형성된 안내부(30)와, 상기 안내홈(31)에 끼워지는 캡(41)의 내부와 외측면에는 삽지공(42)과 트임홈(43)이 형성되고, 캡(41)의 저면에 뚫려진 가이드공(44)에는 스프링(71)과 스토퍼(70)가 끼워지는 덮개부(40)와, 상기 삽지공(42)의 내부에 삽지되는 구면체(61)의 상부 지지축(62)이 손잡이대(10)에 결합되는 연결구(60)와, 캡(41)의 삽지공(42) 하부에 삽착되는 지지체(52)의 하부에는 좌판(51)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만곡형의 유도홈(53)을 갖는 지지부(50) 등으로 이루어진 자루걸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2)의 상부 외주면과 삽지공(42)의 하부 내측면에는 나선부(52a)(42a)들이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50)의 좌판(51) 저면 양측에 뚫려진 통공(51a)을 이용하여 지지체(52)를 회동시킴에 따라 지지체(52)가 삽지공(4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KR2019970006736U 1997-04-02 1997-04-02 자루걸레 KR200145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36U KR200145980Y1 (ko) 1997-04-02 1997-04-02 자루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736U KR200145980Y1 (ko) 1997-04-02 1997-04-02 자루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08U KR19980062408U (ko) 1998-11-16
KR200145980Y1 true KR200145980Y1 (ko) 1999-06-15

Family

ID=1949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736U KR200145980Y1 (ko) 1997-04-02 1997-04-02 자루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9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7931A1 (en) * 2001-12-07 2003-06-12 Dong-Hwan Kwak Feather duster for vehicle
KR102388229B1 (ko) * 2020-04-08 2022-04-18 이미나 회전구조를 갖는 싱글타입 수동식 청소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08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2349A (en) Pivotally adjustable electric hand tool
US6241108B1 (en) Modular shelving unit
EP0217763A2 (en) Hinge for spectacle frames
JPH0816413B2 (ja) ハンドル組立体
KR101996272B1 (ko)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200145980Y1 (ko) 자루걸레
CN211774211U (zh) 一种龙头安装结构及其龙头组件
CN214740524U (zh) 一种易组装的门把手结构
KR200283320Y1 (ko) 아이스크림 디셔
US20220389732A1 (en) Rotary Umbrella Seat for an Umbrella
US5706545A (en) Multi-positionable toothbrush
EP0332565A1 (en) Vehicle jack
KR200145885Y1 (ko) 자루걸레
ES2256804T3 (es) Pivote de bisagra.
KR19990075422A (ko) 틸트 토크가 가변되는 힌지부를 갖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CN213097593U (zh) 一种炊具用的手柄
KR100774510B1 (ko)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JP2003074538A (ja) 棒体の連結装置
CN221004020U (zh) 一种阀芯操作结构
CN215409751U (zh) 可定位的旋转式连接装置
KR920000365Y1 (ko) 싱크대용 다리
KR200367712Y1 (ko) 회전 가능한 뚜껑을 가진 콤팩트 케이스
KR200400862Y1 (ko) 가습기의 물탱크 고정장치
KR200250139Y1 (ko) 조립식 등밀이기
US3006014A (en) Windshield wiper unit and wiper blade uni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