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060U -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060U
KR19980058060U KR2019970002405U KR19970002405U KR19980058060U KR 19980058060 U KR19980058060 U KR 19980058060U KR 2019970002405 U KR2019970002405 U KR 2019970002405U KR 19970002405 U KR19970002405 U KR 19970002405U KR 19980058060 U KR19980058060 U KR 19980058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tie rod
knuckle arm
linkage
steering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만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70002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060U/ko
Publication of KR19980058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060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중에서 타이 로드(tie rod)와 너클 아암(knuckle arm)의 연결을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를 적용하여 행하므로써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사이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이상적이 되도록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에서의 힘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을 구비하여 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은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연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조향 링키지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를 이상적으로 하는 이점과 조향 링키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본 고안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중에서 타이 로드(tie rod)와 너클 아암(knuckle arm)의 연결을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를 적용하여 행하므로써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사이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이상적이 되도록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장치(steering system)는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 주행방향을 임의로 바꾸어 주는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샤프트, 스티어링 기어, 스티어링 링키지(linkage)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1)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운전자가 조작하는 구성부품이며, 스티어링 샤프트(3)는 스티어링 휠(1)의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5)에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스티어링 기어(5)는 스티어링 휠(1)의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바꿈과 동시에 조향력을 증대시켜 스티어링 링키지(10)에 의하여 차륜(7)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스티어링 링키지(10)는 스티어링 기어(5)에서의 힘을 차륜(7)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로드(11), 피트먼 아암(12), 아이들 아암(13), 타이 로드(16), 및 너클 아암(18)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타이 로드(16)는 좌우에 설치되는 너클 아암(18)을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는 작용을 하며, 너클 아암(18)은 타이 로드(16)에 연결되어 타이 로드(16)로부터 힘을 차륜(7)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스티어링 링키지(10)의 타이 로드(16)와 너클 아암(18)의 연결 접속은 도 2의 구성도 및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이 로드(16)와 너클 아암(18)이 볼 조인트(31)와 너트(33)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타이 로드(16)와 너클 아암(18)이 볼 조인트(31)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타이 로드(16)의 중심 축선(c1)과 너클 아암(18)의 중심 축선(c2)사이의 거리가 d 만큼 벌어져 이들 사이에서의 조작력과 모멘트가 비이상적으로 발생되어 이로 인해 조작력의 전달 효율이 저감되고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볼 조인트(31)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이 로드(16)와 너클 아암(18)이 상기와 같이 볼 조인트(31)에 의해 연결 조립되는 경우, 차륜(7)의 상하운동만큼 볼 조인트(31)의 작동각(θ)이 발생되어 이로 인해 비이상적인 모멘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중에서 타이 로드(tie rod)와 너클 아암(knuckle arm)의 연결을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를 적용하여 행하므로써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사이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이상적이 되도록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조향 링키지의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1 : 스티어링 휠7 : 차륜
41 : 타이 로드(tie rod)45 : 너클 아암(knuckle arm)
100 : 유니버설 조인트110 : 요홈부
120 : 체결 볼트125 : 체결 너트
c : 축 중심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에서의 힘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을 구비하여 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은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연결 결합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연결 접속된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은 동일 축상에 배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의 양단부에는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이 각각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요홈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기술에서 사용되었던 구성부재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는, 조향 링키지를 구성하는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사이에서의 전달 구동력 및 작용 모멘트가 이상적으로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사이에서 이들이 동일 축상에서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100) 양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이 삽입되어 체결부재인 볼트(120a,b)와 너트(125a,b)에 의해 유니버설 조인트(10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ㄷ자 형태의 요홈부(110a,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의 작용 및 동작을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은 유니버설 조인트(100)에 의해 동일 축(c)상에서, 즉 단차없이 배치되기 때문에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사이에서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은 종래의 볼 조인트에 의한 결합과 달리 결합단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유니버설 조인트(100)에 의해 결합 연결되기 때문에 타이 로드(41)를 통해 전달되는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일직선상에서 작용하게 되어 종래의 결합 단차에 의한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이 유니버설 조인트(100)에 의해 연결 결합되는 경우, 차륜(7)이 상하운동하여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사이에 종래와 같은 작동각이 발생되더라도 이는 유니버설 조인트(100)의 십자축(150)상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상기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사이에서는 이상적인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을 연결 결합시키는 유니버설 조인트(100)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작용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결국,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을 연결 결합하는 유니버설 조인트(100)에 의하면, 타이 로드(41)와 너클 아암(45)사이에서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최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는,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중에서 타이 로드(tie rod)와 너클 아암(knuckle arm)의 연결을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를 적용하여 행하므로써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사이의 조작력 및 작동 모멘트가 이상적이 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향 링키지는 조향 링키지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아니하고 많은 제조변형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자동차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에서의 힘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해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을 구비하여 된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은 소정의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연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연결 접속된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은 동일 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의 양단부에는 상기 타이 로드와 너클 아암이 각각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체결 볼트와 체결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KR2019970002405U 1997-02-18 1997-02-18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KR199800580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405U KR19980058060U (ko) 1997-02-18 1997-02-18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405U KR19980058060U (ko) 1997-02-18 1997-02-18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060U true KR19980058060U (ko) 1998-10-26

Family

ID=6967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405U KR19980058060U (ko) 1997-02-18 1997-02-18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0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580B1 (ko) * 2008-04-29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타이로드 엔드 앗세이를 구비한 차량 조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580B1 (ko) * 2008-04-29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타이로드 엔드 앗세이를 구비한 차량 조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9953B1 (en) Flexible mount for an intermediate steering column
KR19980058060U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KR19980051391U (ko) 자동차의 조향 장치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19990013923U (ko) 요크이음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조향축
KR200285615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체결구조
KR0143638B1 (ko) 자동차의 구동축 연결구조
KR100622499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조향컬럼 연결장치
KR0134909Y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2513757Y2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形舵取装置
SU1612991A3 (ru) Механическое дистанционн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ключени передач автомобильных коробок передач
KR19980053956U (ko) 퀵 릴리스 요크를 이용한 추진축 플렌지 조인트
KR19980041555U (ko) 스티어링 조인트
KR20014784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유니버셜 조인트
KR100418667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터미드 샤프트
JP2513539Y2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形舵取装置
KR10018943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구조
KR100369058B1 (ko) 자동차의 유니버설 조인트 샤프트
KR10076423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 바와 볼 하우징간의 조립부 구조
KR200177919Y1 (ko) 스티어링 휠의 좌우 편심량 저감구조
KR0128718Y1 (ko) 자동차용 타이로드의 볼 조인트 구조
KR101171898B1 (ko) 캠형상을 이용한 가변 스티어링비를 갖는 랙 앤 피니언조향 시스템
KR20040088214A (ko) 자동차의 축 및 조향휠의 결합구조
KR19990013640U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연결구조
KR19980047172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