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555U - 스티어링 조인트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555U
KR19980041555U KR2019960054648U KR19960054648U KR19980041555U KR 19980041555 U KR19980041555 U KR 19980041555U KR 2019960054648 U KR2019960054648 U KR 2019960054648U KR 19960054648 U KR19960054648 U KR 19960054648U KR 19980041555 U KR19980041555 U KR 199800415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coupling
flange
steer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4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555U/ko
Publication of KR19980041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55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티어링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스티어링 조인트는 조립위치가 차체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조인트 주위로 많은 부품들이 배치되어 있어서 스티어링 조인트와 조향기어 사이에 스티어링 조인트를 조립할 경우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쇼트프랜지와 조향기어축을 보울트로 조립하고 롱프랜지와 스티어링 샤프트를 보울트로 조립을 하려면, 작업자는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핸들을 90°로 회전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에서와 같이 롤프랜지(20)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과 쇼트프랜지(22)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이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성형된 거싱다.
따라서, 본 고안은 롱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과 쇼트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을 일치시킨 스티어링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핸들의 90°회전없이 일 방향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측 샤프트 사이에 스트어링 조인트를 결합시틸 수 있어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 차량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조인트
본 고안은 스티러일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조인트에 있어서 보울트 결합이 용이하도록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 샤프트를 연결시켜주는 스티어링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으로 변경시켜주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력을 각 기구로 전달하는 샤프트와 조작력을 증대시키는 기어기구와, 상기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타이어로 전달시켜 주는 링크기어로 구성되어 있음은 주지된 바이다.
예시도면 도 1은 종래 조향 링키지의 주요 부품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운전자가 핸들(1)을 돌리면 그 회전력은 각종 링크장치와 조향기어(5)를 통하여 조향륜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품은 형식에 따라 그 구성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너클암(2)을 연결하는 몇개의 링크와 타이로드(3), 드래그링크(4) 및 조향기어(5)로 이루어져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6)와 조향기어(5) 사이에 장착되는 스티어링 조인트(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스티어링 샤프트(6)와 결합되고 하측으로는 조향기어(5)측 샤프트에 결합되며, 그 구성은 롱프랜지(8), 쇼트프랜지(9), 스토퍼 플레이트(10), 마운팅러버(11)가 보울트와 너트에 의해서 조립되어 있다.
또한, 마운팅러버(11)는 조향기어(5) 이하에 있는 부품들의 진동이나 조향륜으로부터 역류되는 주행중 진동이 핸들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여 주고, 조향기어(5)와 스티어링 샤프트(6)의 조립오차를 극복하여 준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티어링 조인트(7)는 조립위치가 차체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조인트(7) 주위로 많은 부품들이 배치되어 있어서 스티어링 조인트(7)와 조향기어(5) 사이에 스티어링 죠인트(7)를 조립할 경우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쇼트프랜지(9)와 조향기어(5)축을 보울트로 조립하고 롱프랜지(8)와 스티어링 샤프트(6)를 보울트로 조립을 하려면, 작업자는 협소한 작업공간에 핸들을 90°로 회전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티어링 조인트에 있어서 보울트 결합이 용이하도록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측 샤프트를 연결시켜주는 스티어링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롱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과 쇼트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이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성형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롱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과 쇼트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을 일치시킨 스티어링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핸들의 90°회전없이 일 방향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측 샤프트 사이에 스티어링 조인트를 결합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 차량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조인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롱프랜지22-쇼트프랜지
24-스토퍼플레이트26-마운팅러버
28-고정홀30-보울트
32-너트34-스티어링 죠인트
36-지지면38-결합축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롱프랜지(20)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과 쇼트프랜지(22)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이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성형된 스티어링 조인트이다.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조인트의 분해사시도로서, 스티어링샤프트와 조향기어측 샤프트를 연결시켜 준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스티어링 조인트(34)는 롱프랜지(20), 쇼트프랜지(12), 마운팅러버(26)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스티어링 조인트(340는 롱프랜지(20)의 지지면(36)이 스토퍼플레이트(24)와 마운팅러버(26)에 접하게 되고, 다시 스토퍼플레이트(24)를 결합하여 보울트(30)와 너트(32)로 체결시키고, 쇼트프랜지(22)를 상기 롱프랜지(20)과 중심축방향에서 직각으로 돌린후에 마운팅러버(26)와 스토퍼플레이트(24)에 보울트(30)와 너트(32)로 결합시킨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티어링 조인트(7)는 롱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과 쇼트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이 90°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스티어링 조인트(34)는 롱프랜지(20)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과 쇼트프랜지(22)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이 열 방향에서 삽입되어 너트(32)로 결합되도록 성형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티어링 조인트(34)는 작업자에게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신속히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편리함을 제공하여 준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롱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과 쇼트프랜지의 결합축 고정홀의 보울트 결합방향을 일치시킨 스티어링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핸들의 90°회전없이 일 방향에서 스티어링 샤프트와 조향기어측 샤프트 사이에 스티어링 조인트를 결합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 차량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롱프랜지(20)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과 쇼트프랜지(22)의 결합축(38) 고정홀(28)의 보울트(30) 결합방향이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조인트.
KR2019960054648U 1996-12-23 1996-12-23 스티어링 조인트 KR199800415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648U KR19980041555U (ko) 1996-12-23 1996-12-23 스티어링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648U KR19980041555U (ko) 1996-12-23 1996-12-23 스티어링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555U true KR19980041555U (ko) 1998-09-25

Family

ID=5399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648U KR19980041555U (ko) 1996-12-23 1996-12-23 스티어링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55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4245B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US6279953B1 (en) Flexible mount for an intermediate steering column
KR19980041555U (ko) 스티어링 조인트
KR19980051426A (ko) 스티어링 조인트
JP3532122B2 (ja) 電動転舵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US11964718B2 (en) Torsion limiting tie rod for vehicle steering system
KR19980023693A (ko) 자동차 조향휠의 내구성 테스트장치
KR0117959Y1 (ko) 자동차용 조향 조인트와 조향기어 체결구조(A joint structure in steering-joint and steering-gear for car)
JP2513757Y2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形舵取装置
KR0138674Y1 (ko) 자동차 조향기어의 설치구조
KR100418667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터미드 샤프트
KR19980035575A (ko) 3절링크형 조향조작장치
KR20070035742A (ko) 자동차용 인터미디트 스티어링 샤프트 어셈블리
KR19980060242U (ko)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조향 핸들과 조향 축의 조립구조
JP2572521Y2 (ja) 自在継手用ヨーク
KR19980058060U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향 링키지
KR200155537Y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622499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조향컬럼 연결장치
KR016255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
JP2005186661A (ja)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54176A (ko) 태양광자동차의 조향장치
KR19980054414U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텔레스코픽구조
KR19980030138U (ko) 진동흡수 브라켓트
KR20000001560U (ko) 차량용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