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673A - 각형 전지 - Google Patents

각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673A
KR19980057673A KR1019960076972A KR19960076972A KR19980057673A KR 19980057673 A KR19980057673 A KR 19980057673A KR 1019960076972 A KR1019960076972 A KR 1019960076972A KR 19960076972 A KR19960076972 A KR 19960076972A KR 19980057673 A KR19980057673 A KR 1998005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plate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7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673A/ko
Publication of KR1998005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각형 전지에 관해 기재하고 있다. 이는, 각형 케이스와, 상기 각형 케이스 내부에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그 상단 각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탭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극판군과, 상기 음극판이 양극 단자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극판군 위에 배치되는 절연판을 구비하는 각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내부에 상기 양극판의 탭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투공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극판과 양극탭 사이에 절연판이 존재하게 되므로, 양극탭과 음극판이 통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각형 전지
본 발명은 각형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극단자와 음극판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극판군 위에 배치되는 절연판이 개량된 각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외장 케이스가 사각형인 각형 전지에 있어서, 복수의 극판을 접속하는 데에는 통상, 양극판 및 음극판 각각에 마련된 탭(tap) 부분을 리드 와이어(lead wire)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양극판의 탭(이하, 양극탭)들은, 양극단자와 음극판의 전기접속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판에 형성된 투공을 관통하여 리드 와이어 및 양극단자와 접속된다.
도 1은 종래의 각형 전지의 극판 및 절연판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양극판(1)과 음극판(3)이 절연부재(5)를 사이에 두고 교호로 적층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극판(1) 상단에는 양극탭(1')이, 각각의 음극판(3) 상단에는 음극탭(3')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양극탭(1')은 하나의 군으로 용접된 다음, 절연판(9)에 형성된 투공(h)을 통과하여 리드 와이어(7)와 용접되고, 이 리드 와이어(7)는 양극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연판(9)은, 외부 충격에 의해 극판군의 음극판(3)이 상승하여 양극단자와 접촉하여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극판군과 캡 조립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마련된 것으로, 양극탭(1')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공(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음극탭(3') 용접판(11)을 감쌀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드 와이어(7)와 양극탭(1')이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한쪽 끝에 위치한 양극탭을 갈고리 형상으로 구부리고, 반대쪽으로 갈수록 역 기역자 형상을 갖도록 양극탭을 구부린 상태에서 양극탭들을 하나로 용접하게 된다. 이때, 갈고리 형상으로 휘어진 양극탭은 음극판의 상단부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극판과 음극판이 통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어, 각형 전지의 조립 불량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종래의 각형 전지 조립기술에 따르면, 이 갈고리 형상의 양극탭을 만들기 위해 양극탭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킨 후 구부려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극탭과 음극판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연판을 구비한 각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각형 전지의 극판 및 절연판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형 케이스; 상기 각형 케이스 내부에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그 상단 각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탭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극판군; 및 상기 음극판이 양극 단자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극판군 위에 배치되는 절연판을 구비하는 각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 내부에 상기 양극판의 탭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투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각형 전지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투공은 양극판의 탭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양극탭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투공이 형성된 절연판을 극판군과 캡 조립체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양극탭과 음극판이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양극판(51) 및 음극판(53)을 포함하는 극판군과 절연판(59)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 전지는, 각형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내에 절연부재(55)를 사이에 두고 양극판(51)과 음극판(53)이 교호로 적층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극판(51) 및 음극판(53) 상단에는 양극탭(51') 및 음극탭(5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극판(51)과 음극판(53)이 적층된 극판군 위에는, 전지 조립시 상기 양극탭(51')이 음극판(53)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음극판(53)의 요동으로 말미암아 음극판(53)과 양극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59)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연판(59)에는 종래와 달리 복수의 양극탭(51')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투공(H)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투공(H)은 양극탭 하나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뚫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공(H)의 폭(a)은 양극탭의 폭보다 조금 큰 예컨대 0.05∼0.15mm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공(H) 사이의 간격(b)은 0.3∼2mm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각형 전지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절연판(59) 내에 형성되어 있는 투공(H)에 양극탭(51')을 하나씩 삽입하고, 리드 와이어(57)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양극탭(51')을 적정 형상으로 구부린 다음, 복수의 양극탭을 하나의 군으로 용접하고, 이를 리드 와이어(57)에 다시 용접한다.
이때, 상기 절연판(59)에 복수개의 투공(H)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극탭을 투공(H)내로 삽입한 다음 구부릴 때, 절연판(59)이 양극탭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치 않다.
또한, 양극탭 각각이 절연판(59)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음극판과 양극탭 사이에는 절연판이 존재하게 되므로, 한쪽 끝부분에 위치한 양극탭이 갈고리 형상으로 휘어지더라도, 양극탭과 음극판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극탭이 하나씩 통과할 수 있는 투공이 형성된 절연판을 극판군과 캡 조립체 사이에 배치하고, 양극탭이 투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극탭의 형상을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한쪽 끝부분에 위치한 양극탭이 다른쪽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휘어지더라도, 양극탭과 음극판이 통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각형 전지 조립시의 불량율이 줄어든다. 또한, 양극탭 삽입 후 휘는 공정에서, 절연판이 양극탭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치 않아 공정설비가 간단해 질 수 있다.

Claims (2)

  1. 각형 케이스; 상기 각형 케이스 내부에 절연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그 상단 각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탭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극판군; 및 상기 음극판이 양극 단자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극판군 위에 배치되는 절연판을 구비하는 각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 내부에 상기 양극판의 탭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투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공은 양극판의 탭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전지.
KR1019960076972A 1996-12-30 1996-12-30 각형 전지 KR19980057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72A KR19980057673A (ko) 1996-12-30 1996-12-30 각형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72A KR19980057673A (ko) 1996-12-30 1996-12-30 각형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73A true KR19980057673A (ko) 1998-09-25

Family

ID=4052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72A KR19980057673A (ko) 1996-12-30 1996-12-30 각형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6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126A1 (en) * 2007-06-28 2008-12-31 Cm Partner Inc. Secondary battery with a structure having electrode tabs drawn out in different direction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9005803B2 (en) 2010-07-12 2015-04-1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126A1 (en) * 2007-06-28 2008-12-31 Cm Partner Inc. Secondary battery with a structure having electrode tabs drawn out in different direction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9005803B2 (en) 2010-07-12 2015-04-1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3636B2 (en) Resolver I/O terminal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resolver thereby
RU2189091C2 (ru) Батарейный блок, включающий контактный узел
US7935438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4181390A (en) Socket terminals for a wedge base electric lamp
US6599660B2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1760804B1 (en) No-welding contact type secondary battery
JP6488159B2 (ja) 組電池の直列接続用部品および組電池
KR101075333B1 (ko) 이차전지
JPWO2010052788A1 (ja) 二次電池用ブスバー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00251977A (ja) 電源供給端子
JP2017004741A (ja) 配線モジュール
US4548450A (en) Terminal pin securing arrangement
US20210408642A1 (en) Battery module
US4825112A (en) Stator in step motor
KR100930473B1 (ko) 억지끼움 결합 방식의 리벳을 이용한 무용접 방식의 전지팩
EP0512357B1 (en) A plug-top coil-ignition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131921A (ko) 배터리 팩
KR20180010591A (ko) 배터리 팩
JP363111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9980057673A (ko) 각형 전지
US20030207170A1 (en) Battery pole plates
KR0183634B1 (ko) 전지용 단자 케이스
KR20060103028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JP2002374011A (ja) 電気相互接続組立体
JP4951814B2 (ja) 扁平型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