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548A -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 Google Patents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548A
KR19980054548A KR1019960073713A KR19960073713A KR19980054548A KR 19980054548 A KR19980054548 A KR 19980054548A KR 1019960073713 A KR1019960073713 A KR 1019960073713A KR 19960073713 A KR19960073713 A KR 19960073713A KR 19980054548 A KR19980054548 A KR 1998005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ir bag
clock spring
wires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원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548A/ko
Publication of KR1998005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548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의 양단 부위에 피복을 탄성지지를 받는 고무재로 형성하고, 이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고정판의 외주면과 회전판의 중심 부근에 각각 형성된 단자연결구에 접어 이탈되지 않게 접속설치하여서, 핸들을 급작스럽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와이어의 설치부위가 쉽게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함으로써, 잦은 핸들 조작으로 와이어가 단선되어 에어 백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 추돌/충돌사고시 에어 백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하여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본 발명은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판과 고정판에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의 양단을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피복을 대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어의 단선으로 에어 백이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가 충돌/추돌 사고가 발생시 실내의 내부에 부딪히면서 입는 신체적 장애를 줄이기 위해 에어 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운전자를 위한 에어 백은 에어 백 모듈이 운전대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에어 백 모듈의 저부에 가스를 발생시켜 주는 점화수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클럭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럭 스프링은 스티어링 칼럼에 끼워진 상태로 차체에 체결고정되어 있으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단자연결구(21)를 갖는 고정판(20)과, 이 고정판(20)의 상부에 일체로 조합되면서 그 내부에 윗면이 개구된 공간부(31)를 형성하는 하우징(30)과, 상기 공간부(31)의 윗면을 막으면서 스티어링 칼럼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30)에 설치된 회전판(40)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공간부(31)의 내부에는 약 2.6m 가량되는 띠편 형태의 와이어몸체(10)가 에어 백 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감겨져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몸체(10)의 양단은 고정판(20)의 단자연결구(21)와 회전판(40)의 아랫면으로부터 그 윗쪽으로 돌출형성된 또 다른 단자연결구(41)에 각각 끼움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몸체(10)의 양단이 각각 끼움설치된 단자연결구(21),(41)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이 회전하게 되면 띠편형상의 몸체(10)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서로 꼬이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그러나, 기존과 같이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와이어의 끝단을 감겨진 방향과 수직으로 꺽어서 단자연결구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자주 핸들을 급격하게 돌리게 되면 이 단자연결구에 끼워진 와이어 부분이 끊어져서 에어 백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의 양단 부위에 피복을 탄성지지를 받는 고무재로 형성하고, 이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고정판의 외주면과 회전판의 중심 부근에 각각 형성된 단자연결구에 접어 이탈되지 않게 접속설치하여서, 핸들을 급작스럽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와이어의 설치부위가 쉽게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함으로써, 잦은 핸들 조작으로 와이어가 단선되어 에어 백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 추돌/충돌사고시 에어 백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하여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11:피복
12:고무제20:고정판
21,41:단자연결구30:하우징
31:공간부40:회전판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외주면에는 피복(11)이 일체로 된 띠편 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복(11)은 그 양단의 일부구간에 걸쳐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12)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20은 고정판을, 30은 하우징을, 40은 회전판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그 중앙에 스티어링 칼럼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고정판(20)과 이 고정판(20)에 하나로 조합되면서 내부에 공간부(31)를 형성하는 하우징(30) 사이에 스티어링 칼럼과 밀착되지 않도록 감겨져서 이 스티어링 칼럼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40)을 거쳐 그 위에 설치된 에어 백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이 와이어는 피복(11)의 내부에 여러가닥의 전선이 끼워져서 띠편형상으로 된 몸체(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복(11)의 양단은 일부 구간에 걸쳐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12)로 성형하여서, 상기 몸체(10)의 양단이 일정한 구배를 가지면서 고정판(20)의 외주면과 회전판(40)의 중간에 형성된 각 단자연결구(21),(41)에 끼워 통전가능하게 하여서, 스티어링 칼럼의 급격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이 와이어의 접속부위가 쉽게 단선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고무제(12)가 일체로 된 이 몸체(10)의 양단 부위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판(20)의 단자연결구(21) 및 이 전원을 에어 모듈 백에 공급하는 회전판(40)의 단자연결구(41)에 각각 통전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스티어링 칼럼의 회전을 고려하여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그 양단은 통전가능하도록 각 단자연결구(21),(41)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항상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배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재(12)는 상술한 것과 같이 구배지는 부위에 위치하여서, 스티어링 칼럼의 잦은 회전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과 수직을 계속하여 받는 경우에도 몸체(10)의 내부에 일체로 된 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막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긴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길이 방향으로 감겨진 와이어 몸체의 양단에 일부구간을 피복과 일체로 고무재가 일체로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진 와이어가 고정판과 하우징이 조합되면서 이루어진 공간부에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무재가 일체로 된 일부 구간이 고정판과 회전판에 각각 형성된 단자연결구에 밀착되면서 소정의 크기로 구배지게 함으로써, 잦은 스티어링 칼럼의 회전에도 쉽게 와이어가 단선되는 것을 막아, 추돌/충돌 사고 발생시 에어 백이 제대로 작동가능하게 하여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판과 하우징의 조합되어서 이루어진 공간부의 내부에 긴 띠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길이방향으로 감겨진 몸체를 설치하고, 이 몸체의 가 회

Claims (1)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외주면에는 피복(11)이 일체로 된 띠편 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복(11)은 그 양단의 일부구간에 걸쳐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12)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클립 스프링용 와이어.
KR1019960073713A 1996-12-27 1996-12-27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KR19980054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713A KR19980054548A (ko) 1996-12-27 1996-12-27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713A KR19980054548A (ko) 1996-12-27 1996-12-27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548A true KR19980054548A (ko) 1998-09-25

Family

ID=6638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713A KR19980054548A (ko) 1996-12-27 1996-12-27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5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55Y1 (ko) * 2008-01-07 2010-05-27 영신기전공업(주) 파워스티어링용 전자코일의 코일 고정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55Y1 (ko) * 2008-01-07 2010-05-27 영신기전공업(주) 파워스티어링용 전자코일의 코일 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5652B1 (en) Steering wheel and steering device
US6299454B1 (en) Steering column interconnector having conductive elastic rolling contacts
US20070025061A1 (en) Fastening device of harness for supplying power to sliding door and power supply structure employing it
US5460535A (en) Two-piece clockspring with lock and wire harness assembly
US10864880B2 (en) Knee airbag module housing with securement element mounting features
US6299466B1 (en) Clockspring using resettable fuse for heated steering wheel
KR100646542B1 (ko) 회전코넥터장치
US4943240A (en) Electrical connection
JPH08273787A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ハウジング構造
KR19980054548A (ko) 에어 백 클럭 스프링용 와이어
US6107569A (en) Foam wire harness in a pillar
US6217355B1 (en) Compressed air clockspring
US5333914A (en) Hose device
JP3709998B2 (ja) 回転コネクタ
US5333900A (en) Airbag cover retainer with wire retention feature and ground
KR100537310B1 (ko) 에어백 모듈의 리드 와이어 클립
CN111605387B (zh) 用于车辆的遮阳板、安全气囊组件和车辆
JP200302372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JP2009280078A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KR200184770Y1 (ko) 스티어링휠에결합되는회전체의배선보호장치
JPH049235Y2 (ko)
KR100271253B1 (ko)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JP2003170779A (ja) ミラーステー用カバー
JP2626397B2 (ja) ハーネス付ホース
JP2000113956A (ja) ステアリング用継電装置及び該ステアリング用継電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