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892A -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892A
KR19980052892A KR1019960071918A KR19960071918A KR19980052892A KR 19980052892 A KR19980052892 A KR 19980052892A KR 1019960071918 A KR1019960071918 A KR 1019960071918A KR 19960071918 A KR19960071918 A KR 19960071918A KR 19980052892 A KR19980052892 A KR 19980052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present
cologn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8886B1 (ko
Inventor
이재홍
성경원
조재우
전성훈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6007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8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 텍스트린 1.0 - 5.0 중량%와 알파-D-글루코피라노실 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 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모발에 이취(異臭)의 흡착 및 오염을 방지하고, 향의 지속력을 높임으로서 악취가 모발에 남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에 이취(異臭)의 흡착 및 오염을 방지하고, 향의 지속력을 높임으로서 악취가 모발에 남지 않도록 하는 헤어코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저, 헤어코롱 조성물을 설명하기 전에 모발의 구조를 살펴보면, 모발은 방추상의 모피질 세포(cortex)를 5-10층의 편평한 모표피 세포(cuticle)가 감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 모발손상이 가장 심한 곳은 모표피세포로서, 손상전 모발에 비하여 손상된 모발은, 잘 알려진 현미경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표피 세포가 상당히 거칠고, 물고기 모양의 비늘이 들떠있는 구조로 이취물질의 침투와 흡착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 졌다. 이러한 모발은, 피부의 각질층이나 손톱 등과 같이, 모두 죽은 세포의 집합체로서 자기 증식이 되지 않고 일단 손상이 되면 스스로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모발의 손상은 물리적 요소에 의한 손상과 화학적 요소에 의한 손상으로 나눌 수 있다. 물리적 요인에 의한 모발 손상으로는 주로 빗질 등 일상의 생활습관에 따른 지나친 모발의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화학적 요인에 의한 손상으로는 파마, 머리염색, 헤어드라이기에 의한 가열, 태양 자외선 등의 영향에 따른 모발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이다.
여성의 모발은 남성들보다 길기 때문에 이취물질, 예컨대, 담배냄새 또는 음식물 냄새의 흡착이 보다 용이하고, 더 많은 손질을 필요료 한다. 또한, 여성들은, 자기만의 개성을 연출하는 향수와 같이, 모발에 헤어코롱을 사용함으로서 모발보호는 물론 자기만의 헤어스타일을 창출하기 위하여 모발보호효과와 함께 은은한 향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헤어코롱 조성물을 원해왔다.
이에 따라, 이러한 모발 손상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발보호효과와 함께 향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다양한 모발보호 조성물이 지금까지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지만 아직까지도 만족스러운 모발보호 조성물이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모발에 이취(異臭)의 흡착 및 오염을 방지하고, 향의 지속력을 높임으로서 악취가 모발에 남지 않도록 하는 헤어코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는 올펙티브 측정기에 의한 레몬향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이드록시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 텍스트린(이후에는 HP-β-CD라고 약칭한다) 1.0 - 5.0 중량%와 알파-D-글루코피라노실 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일명, 트레하로스라 명한다) 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은 하이드록시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 텍스트린 : 알파-D-글루코피라노실 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중량비가 2:1가 된도록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은 헤어코롱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1,3-부틸렌글리콜, 실리콘오일, 에탄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사방성 구조를 갖고 있어, 이러한 구조내로 특정물질을 함침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트레하로스는 보습 및 흡습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HP-β-CD와 트레하로스의 알려진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발조성물을 제조하여 실험하던 중, 1,3-부틸렌 글리콜, 실리콘 오일, 에탄올, 향료, 물 등을 함유한 모발조성물이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헤어코롱의 제조공정은 1) 정확히 계량된 물과 트레하로스를 혼합하여 완전 용해한 후, 2) 얻어진 용해물에 상온에서 기타원료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다음, 3) 용해가 끝난 후 밀봉하여 상온의 숙성실에서 1주일간 숙성시킨 후, 4) 숙성된 조성물을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이후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는 지속시간이 짧은 레몬향을 사용하였고, 조성물의 각 성분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교반기가 장착된 일정한 반응혼합용기에 증류수 25.0 중량%에 넣은 다음, 교반하면서 HP-β-CD 3.0중량%, 1,3-부틸렌글리콜 3.0중량%, 실리콘오일 2.0%, 레몬향료 1.2% 및 에틸알콜 65.8중량%를 첨가하여 혼합시킨다. 이어서, 완전히 용해된 다음, 밀봉하여 상온의 숙성실에서 1주일간 숙성시킨다. 숙성시킨 조성물을 스프레이에 충진한 후 향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향 지속시간의 측정은 당해분야의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향 지속력 측정기인 올펙티브측정기를 사용한다.
실시예 2 내지 5
트레하로스 성분을 첨가한 것만 상이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각 실시예에 따른 트레하로스의 성분의 양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조성물에 따른 성분비 및 향 지속시간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HP-β-CD 3.0
트레하로스 --- 0.5 1.0 1.5 2.0
1,3-부틸렌글리콜 3.0
실리콘 오일 2.0
증류수 25.0
레몬향료 1.2
에틸알콜 100중량%의 나머지의 양
향 지속시간(분) 18 18 19 23 22
일반적으로 레몬 1.2 중량%의 에틸알콜 수용액을 만들어 스프레이용기에 충진한 후, 일정량을 스프레이 분사하면 향의 지속시간은 약 15분 정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HP-β-CD 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약 20% 정도 향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킨는데 불과하지만,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트레하로스를 병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약 50% 정도 향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트레하로스의 함량변화에 따른 레몬향의 지속시간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로축을 레몬향 지속시간으로, 가로축을 트레하로스의 변화량으로 하여 이들 관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하로스의 양이 증가하더라고 어느 일정량을 벗어나면 향 지속시간이 다시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그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규명할 구 없지만, 과량의 트레하로스는 HP-β-CD의 사방성 구조에 향료물질이 함침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고 있지 않은가 생각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 4의 경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HP-β-CD : 트레하로스의 중량비는 2:1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결과에 의하면, HP-β-CD의 사방성 구조에 향료물질이 함침되므로서 향 지속력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습 및 흡습능력이 뛰어난 트레하로스를 병용하므로서 모발에 이취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향 지속력을 중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발보호기능을 일반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헤어코롱과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행하였다.
비교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스프레이용기에 충진한 후, 본 발명의 헤어코롱와 시판중인 일반 헤어코롱를 준비하고, 일정량의 모발 10개, 0.3 x 0.3 x 0.3 m의 밀폐된 상자, 담배 등을 준비한다. 준비된 모발에 본 발명의 조성물과 일반 헤어코롱를 각각 일정량을 분사한다. 그런 후, 분사처리된 모발을 밀폐된 상자에 넣고 1분간 담배를 태운 다음 약 10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올펙티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각 모발에 베어있는 담배냄새를 측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본 발명의 헤어코롱와 일반 헤어코롱의 냄새제거력 비교
실시예 4의 헤어코롱 시판중인 헤어코롱
향취(%) 담배냄새(%) 향취(%) 담배냄새(%)
시 료 1 82 18 64 36
시 료 2 87 13 48 52
시 료 3 87 13 55 35
시 료 4 83 17 49 51
시 료 5 89 11 52 48
평 균 치 85.6 14.4 53.6 46.4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코롱은 일반 헤어코롱의 경우보다 향 지속력과 담배제거능력에서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코롱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에 특히 효과적이며, 손상된 모발에 골고루 분사되어 들떠있는 모표피 세포사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모발을 보호해 주고, 향의 포집능력이 뛰어나 장시간 동안 은은한 향기를 냄으로서 소량으로도 모발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이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Claims (2)

  1. 하이드록시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 텍스트린 1.0 - 5.0 중량%와 알파-D-글루코피라노실 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 0.1 -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 프로필 베타 사이클로 텍스트린 : 알파-D-글루코피라노실 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중량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보호 헤어코롱 조성물.
KR1019960071918A 1996-12-24 1996-12-24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KR10019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918A KR100198886B1 (ko) 1996-12-24 1996-12-24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918A KR100198886B1 (ko) 1996-12-24 1996-12-24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92A true KR19980052892A (ko) 1998-09-25
KR100198886B1 KR100198886B1 (ko) 1999-06-15

Family

ID=1949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918A KR100198886B1 (ko) 1996-12-24 1996-12-24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66B1 (ko) * 2002-06-15 2004-08-25 (주) 아름다운 화장품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8886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4281B1 (en)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acetyl hexamethyl tetralin (tonalide)
US9307821B2 (en) Stable solid deodorant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3166578B1 (fr) Composition anhydre aerosol a base de particules encapsulant un agent benefique
KR102145764B1 (ko) 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0180067B1 (en) 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persimmon juice as active ingredient
US5686405A (en) Method of fixing a perfume in a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with a plant compound
KR19980052892A (ko) 모발보호용 헤어코롱 조성물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KR102425973B1 (ko) 항균 및 소취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H07109481A (ja) 香料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並びに芳香剤
JPS6317807B2 (ko)
RU2214223C2 (ru) Компонент, усиливающий аромат космет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JP2640824B2 (ja) 消臭剤
EP3440167B1 (en) Fragranced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2508061B2 (ja) 液状消臭性組成物
JPH0233688B2 (ko)
JP2696781B2 (ja) 頭髪用化粧料
JPH09104893A (ja) 香料組成物
SU1581318A1 (ru) Дезодорирующий карандаш
JPS6267016A (ja) 香料組成物
RU2020926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ий дезодорант
JPH07324196A (ja) 香料組成物
RU2574884C2 (ru) Парфюмер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JPH08151593A (ja) 香料組成物
KR20100037871A (ko) 모발 냄새 제거용 조성물 및 모발 냄새 제거용 에어로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