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916U -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916U
KR19980051916U KR2019960065095U KR19960065095U KR19980051916U KR 19980051916 U KR19980051916 U KR 19980051916U KR 2019960065095 U KR2019960065095 U KR 2019960065095U KR 19960065095 U KR19960065095 U KR 19960065095U KR 19980051916 U KR19980051916 U KR 199800519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spring
manual transmission
present
control device
spr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5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916U/ko
Publication of KR19980051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91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 G05G5/06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using a spring-loaded b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47Ratio selector apparatus with essentially straight linear movement for gear selection, e.g. straight selection movement using detent mechanism for improving fee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기호에 맞는 변속 조작감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며,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부품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는, 기어케이스(10)에 나사조립된 실볼트(20)의 내부에 디텐트 스프링(30)이 탄설되어 볼(40)을 시프트포크(50)에 형성된 고정홈(60)에 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볼트(20)의 내부 스프링 접촉부에 턱(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본 고안은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기호에 맞는 변속 조작감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여,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부품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어케이스(1)에 나사조립된 실볼트(2)의 내부에는 디텐트 스프링(3)이 탄설되어 볼(4)을 시프트포크(5)에 형성된 고정홈(6)에 밀착시킨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구조는 단순히 실볼트(2)를 회전시켜서 디텐트 스프링(3)의 장력을 조절하였기 때문에, 운전자의 변속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한편 별도의 장력조절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종래 구조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기호에 맞는 변속 조작감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여,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부품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어 케이스20 : 실볼트
21 : 턱30 : 디텐트 스프링
40 : 볼50 : 시프트포크
60 : 고정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기어케이스에 나사조립된 실볼트의 내부에 디텐트 스프링이 탄설되어 볼을 시프트포크에 형성된 고정홈에 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볼트의 내부 스프링 접촉부에 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기호에 맞는 변속 조작감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여,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부품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본 고안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가 도시되고 있는데, 도 2 도시와 같이, 기어케이스(10)에 나사조립된 실볼트(20)의 내부에 디텐트 스프링(30)이 탄설되어 볼(40)을 시프트포크(50)에 형성된 고정홈(60)에 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볼트(20)의 내부 스프링 접촉부에 턱(2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 도시와 같이 실볼트(20)의 스프링 접촉부에 턱(21)을 둠으로써 디텐트 스피링(30)의 끝부분이 상기 턱(21)에 접촉하게 되어 실볼트(20)를 필요한 위치만큼 회전시키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실볼트(20)의 풀림이 방지되므로 원하는 스프링 포스를 갖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기호에 맞는 변속 조작감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여, 구조의 간단화에 따른 부품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 유용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기어케이스(10)에 나사조립된 실볼트(20)의 내부에 디텐트 스프링(30)이 탄설되어 볼(40)을 시프트포크(50)에 형성된 고정홈(60)에 밀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볼트(20)의 내부 스프링 접촉부에 턱(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KR2019960065095U 1996-12-31 1996-12-31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KR199800519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095U KR19980051916U (ko) 1996-12-31 1996-12-31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095U KR19980051916U (ko) 1996-12-31 1996-12-31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916U true KR19980051916U (ko) 1998-10-07

Family

ID=5400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095U KR19980051916U (ko) 1996-12-31 1996-12-31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91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418B1 (ko) * 1999-07-02 2002-02-06 이계안 차량의 변속감 향상장치
KR100457250B1 (ko) * 2002-07-16 2004-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위치결정장치
KR100461806B1 (ko) * 2001-12-24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이 구비된 싱크로나이저 키를 이용한 동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418B1 (ko) * 1999-07-02 2002-02-06 이계안 차량의 변속감 향상장치
KR100461806B1 (ko) * 2001-12-24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이 구비된 싱크로나이저 키를 이용한 동기장치
KR100457250B1 (ko) * 2002-07-16 2004-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위치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1916U (ko)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TW369495B (en)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having spaced apart operating units
KR100391631B1 (ko) 동력조향장치의 조향컬럼
KR200142283Y1 (ko) 변속기어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KR940003521Y1 (ko) 클러치 페달 조력장치
KR19980038970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변속기의 체인지 레버
JP3671194B2 (ja) コントロールレバーの固定機構
KR970035884A (ko) 차량용 시프트 레버의 높이 조절장치
KR0144524B1 (ko) 변속레버의 길이조정장치
KR200155468Y1 (ko) 변속기 체인지레버의 노브결합구조
KR19980048286U (ko) 수동식 변속기의 높이조절 레버구조
KR970035895A (ko) 차량용 시프트 레버의 위치 조정장치
KR950013863A (ko) 주차 브레이크용 장력 조절 장치
KR100196496B1 (ko) 자동차 변속기의 유격방지구조
KR980007327U (ko) 디텐트 기구의 스프링 장력 조절 기구
KR19980053973U (ko) 노브위치 가변형 변속레버
KR100323418B1 (ko) 차량의 변속감 향상장치
KR200154344Y1 (ko) 변속레버 높이 조절장치
KR960000748Y1 (ko) 수동식 높이조절의자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33353A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높이조절장치
KR19980028805A (ko) 자동차의 조향 랙기어 지지구조
KR950011188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950010544Y1 (ko) 가전제품의 음극선관 고정장치
KR950020559A (ko) 비디오카세트레코더의 밴드브레이크 및 로딩브레이크의 일체형 구조
KR19980041872U (ko) 자동변속기의 킥다운 브레이크 밴드 간극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