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285U -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285U
KR19980051285U KR2019960064462U KR19960064462U KR19980051285U KR 19980051285 U KR19980051285 U KR 19980051285U KR 2019960064462 U KR2019960064462 U KR 2019960064462U KR 19960064462 U KR19960064462 U KR 19960064462U KR 19980051285 U KR19980051285 U KR 19980051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hort circuit
battery
prevention device
circui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285U/ko
Publication of KR19980051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285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4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corrosion, e.g. covers, enclosures filled with g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1)는 배터리의 -단자(3)와 +단자(3')를 각각 두르는 절연링(2)(2')과, 상기 두 절연링(2)(2')을 연결하는 절연 재질의 로드(5)로 구성됨으로서, -단자(3)의 케이블 단자(4)를 탈거하고 이후에만 +단자(3')의 케이블 단자(4')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단자(3')를 먼저 탈거했을 때 부식물에 의해 발생되는 단자의 단락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단자에 결합하여 단락에 의한 소손을 방지하도록 한 배터리의 단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전기 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이들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만들어내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보통 엔진 운전중에는 알터네이터에서 전력을 공급하나, 엔진 정지시나 시동시에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자동차에서 많이 사용되는 납산 배터리는 보통 극판, 격리판, 전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해액이 채워져 있다. 배터리 탱크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자동차용 12V 배터리 탱크의 내부는 6개의 셀로 분할되어 있다.
극판은 납과 안티몬 합금계의 격자속에 납산화물을 묽은 황산으로 혼합하여 충진, 건조 및 화학 처리한 것으로 양극판은 다갈색의 과산화납으로, 음극판은 해면상납으로 변한다.
보통 +단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커버(60)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양극판에 부착된 활물질은 음극판의 것보다 결합력이 약하여 탈락하기 쉬워 이들 물질이 새어나올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슷한 이유로 배터리의 단자 결합을 푸는 경우 -단자(30)로부터 푸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자(30')로부터 푸는 경우 +단자(30')의 커버(60)가 탈거되면서 커버안에 있던 부식물이 흘러내려 -단자와 접촉하게 되면 단자의 단락으로 인해 소손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부주의로 인하여 단자 결합 탈거시 +단자(30')로부터 케이블 단자를 탈거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단자의 단락으로 인한 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배터리의 단자 결합 탈거시 +단자로부터 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단자의 단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단자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2,2':절연링
3:-단자3':+단자
4,4:케이블 단자5:로드
6:커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를 각각 두르는 절연링과, 상기 두 절연링을 연결하는 절연 재질의 로드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가 단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단자단락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1)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 -단자(3)와, +단자(3')에 끼워지는 절연링(2)(2')과, 상기 절연링(2)(2')간을 연결하는 로드(5)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단자(3')에 끼워지는 절연링(2')은 로드(5)에 대해 절곡되어 다소 높게 형성되고, -단자(3)에 끼워지는 절연링(2)은 로드(5)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절연링중 절곡된 부위와 연결된 측을 +단자(3')에 끼우고, -단자(3)는 타측의, 로드(5)와 일직선으로 연결된 절연링(2)으로 끼운다. 이때 -단자(3)측에 끼울 때는 상기 절연링(2)을 케이블 단자(4) 하단에 연결하고, +단자(3')측에 끼울 때는 상기 절연링(2)을 케이블 단자(4') 결합 후 그 상단에 끼운다.
그럼으로써 이후에 단자 결합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는 우선 -단자(3)측의 케이블 단자(4)를 탈거하고 난 후 +단자(3')의 커버(56)를 탈거한 후 케이블 단자(4')를 탈거해야 한다. 만일 +단자(3')측의 케이블 단자(4')부터 탈거를 하려고 하더라도 상기 -단자(3)측에 결합된 절연링(2)은 케이블 단자(4) 밑에 가려있으므로 빠지지 않는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단자의 단락방지장치는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를 각각 두르는 절연링과, 상기 두 절연링을 연결하는 절연 재질의 로드로 구성됨으로써 -단자의 케이블 단자를 탈거하고 이후에만 +단자로 케이블 단자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단자를 먼저 탈거했을 때 부식물에 의해 발생되는 단자의 단락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를 각각 두르는 절연링과, 상기 두 절연링을 연결하는 절연 재질의 로드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KR2019960064462U 1996-12-30 1996-12-30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KR199800512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462U KR19980051285U (ko) 1996-12-30 1996-12-30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462U KR19980051285U (ko) 1996-12-30 1996-12-30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285U true KR19980051285U (ko) 1998-10-07

Family

ID=5400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462U KR19980051285U (ko) 1996-12-30 1996-12-30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2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77603A1 (en) Battery cell, battery, motor vehicle
US7466103B2 (en) Battery module
US7897275B2 (en) Electrical rechargeable battery
KR19980051285U (ko) 배터리단자의 단락방지장치
JP3882174B2 (ja) 蓄電池
KR100319110B1 (ko) 각형 이차 전지
KR200162475Y1 (ko) 배터리의 단자이탈방지장치
KR100563034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200169665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CN213460265U (zh) 一种防水效果好的直流充电枪
KR200170357Y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커넥터
KR100274896B1 (ko) 이차전지
CN220873722U (zh) 电池和终端
KR200348593Y1 (ko) 원통형2차전지
CN220358289U (zh) 一种锂电池
JPH092235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接続装置
KR200168077Y1 (ko) 자동차용 축전지 커넥터
CN215733462U (zh) 锂电池
KR200148780Y1 (ko) 차량의 단락방지용 배터리
JP3531097B2 (ja) 電源遮断装置
KR19980044287U (ko) 배터리 단자 연결장치
JP2546337Y2 (ja) 電池装置
KR100228093B1 (ko) 배터리 방전방지장치
KR200170358Y1 (ko) 안전장치를 내장한 충전용 플러그
JP2561284Y2 (ja) スパイラル形リチウム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