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593Y1 - 원통형2차전지 - Google Patents

원통형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593Y1
KR200348593Y1 KR2019980015651U KR19980015651U KR200348593Y1 KR 200348593 Y1 KR200348593 Y1 KR 200348593Y1 KR 2019980015651 U KR2019980015651 U KR 2019980015651U KR 19980015651 U KR19980015651 U KR 19980015651U KR 200348593 Y1 KR200348593 Y1 KR 200348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de plate
cap
secondary battery
cylindrical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997U (ko
Inventor
정진동
신동엽
김광섭
은영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59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교번된 상태로 설치된 스트립 형태의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게재된 절연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는 알칼리 전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 또는 상기 캡의 표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2차 전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2차 전지에서는 연결 단자에 접촉되는 캡과 케이스 저면의 케이스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단자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홈이 연결될 경우 전기적인 접속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2차 전지
본 고안은 원통형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을 형성하는 캡과 저면에 홈이 형성된 원통형 알칼리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기(장치) 제품으로서, 그 종류에는 각종 전기 전자 제품 및 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건전지를 비롯하여 자동차용 배터리, 기계 장치의 비상 전원, 예를 들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등에 사용되는 축전지등이 있다. 일반으로 재충전이 불가능한 건전지를 1 차 전지로 구분하는 반면에,발전기등의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충전 작용과 사용시의 방전 작용이 반복 가능한 전지를 2차 전지라고 한다. 2차 전지 또는 축전지에는 보통 납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등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원통형 알칼리 2차 전지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알칼리 2차 전지(10)는 원통형의 캔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9)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19)의 내부에는 양극판(16)과 음극판(17)이 설치된다. 상기 양극판(16)과 음극판(17)은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를 지니는 스트립의 형태로 형성된다. 양극판(16)과 음극판(17)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 부재(18)가 그 사이에 게재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감긴다. 따라서 절연 부재(18)가 게재되어 나선형으로 감겨진 음극판(17)과 양극판(16)은 상호 교번된 상태가 된다. 상기 양극판(16)과 음극판(17)의 적층부 상단과 하단에는 절연 부재(18)를 지지하는 상하부 링 부재(15a,15b)가 각각 설치된다. 상부링(15a)의 위에는 가스켓(14)이 배치되고, 가스켓(14)의 지지를 받는 캡 커버(13a)와 캡(11)이 제공된다. 캡 커버(13a)의 중심부에는 홀(13b)이 형성된다. 캡 커버(13a)와 캡(11)이 형성하는 공간내에는 벤트 러버(vent rubber, 12)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은 양극판(16)과 음극판(17)을 케이스(19)내에 삽입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이후에, 캡(11)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케이스(19)의 상부에 배치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캡 조립체의 밀봉 과정중에 양극판(16)에 형성된 양극 탭은 캡 조립체의 소정 위치에 용접되며, 따라서 양극판(16)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은 안정적으로 보장된다.
음극판(17)은 케이스(1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하며, 양극판(16)은 캡(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음극판(17)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은 단순히 음극판(17)을 케이스(19)의 내측면과 접촉시킴으로써 도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양극판(16)으로부터 탭을 형성하여 캡(11)에 용접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형성된 전지는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 장치에 끼워지거나 또는 충전기에 끼워져서 사용된다. 이때, 전기적인 접속은 전기 장치 및 충전기에 제공된 연결 단자와 캡(11) 및 케이스(19)의 저면이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만일 이러한 접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또는 접촉 저항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즉, 전지의 캡(11)과 케이스(19)의 저면이 연결 단자에 대하여 미끌어지나 비스듬하게 접촉됨으로써, 전지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지와 연결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보장될 수 있는 원통형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2차 전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2차 전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21. 캡 13.23. 캡 커버
14.24. 가스켓 16.26. 양극판
17.27. 음극판 18.28. 절연 부재
19.29. 케이스 32.33.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교번된 상태로 설치된 스트립 형태의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게재된 절연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는 알칼리 전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 또는 상기 캡의 표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2차 전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에 전지가 끼워지는 전기 장치 또는 충전기의 연결 단자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홈은 반구형, 원뿔형, 또는 각뿔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2차 전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의 주요 부분에 대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알칼리 전지의 구성과 유사하다. 즉, 원통형의 케이스(29)내에는 스트립 형태의 양극판(26)과 음극판(27)이 교번된 상태로 설치되며, 양극판(26)과 음극판(27) 사이에는 절연 부재(28)가 게재된다. 또한 전지의 극판들 상부에는 가스켓(24)의 지지를 받는 캡 커버(23)와 캡(21)이 제공된다. 캡 커버(23)의 중심부에는 홀(23b)이 형성되며, 벤트 러버(22)가 제공된다. 캡 조립체에는 상기 가스켓(24), 캡 커버(23), 캡(21) 및, 벤트 러버(22)등이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캡(21)의 표면과 케이스(19)의 저면에는 오목한 홈(32, 3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전지가 전기 장치내에 끼워질때, 또는 전지가 충전기에 끼워질때 연결 단자와 상호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단자에 홈(32,33)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홈(32,33)의 내부에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지를 잘못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전원의 차단이나 접촉 저항을 회피할 수 있다.
홈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원뿔형 또는 각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전지의 캡(11) 이나 케이스(19)의 저면에 홈(32,33)을 형성한다 할지라도, 기존의 전기 장치 및 충전기등에 대하여 호환성을 잃어버리는 것은 아니다. 즉, 기존의 장치에 대해서도 홈(32,33)이 형성된 본 고안의 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2차 전지에서는 연결 단자에 접촉되는 캡과 케이스 저면의 케이스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연결 단자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홈이 연결될 경우 전기적인 접속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 저항이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전력 소모율로 낮아지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교번된 상태로 설치된 스트립 형태의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게재된 절연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하는 원통형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 또는 상기 캡의 표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상기 홈에 전지가 끼워지는 전기 장치 또는 충전기의 연결 단자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2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반구형, 원뿔형, 또는 각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2차 전지.
KR2019980015651U 1998-08-20 1998-08-20 원통형2차전지 KR200348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651U KR200348593Y1 (ko) 1998-08-20 1998-08-20 원통형2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651U KR200348593Y1 (ko) 1998-08-20 1998-08-20 원통형2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997U KR20000004997U (ko) 2000-03-15
KR200348593Y1 true KR200348593Y1 (ko) 2004-07-21

Family

ID=4942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651U KR200348593Y1 (ko) 1998-08-20 1998-08-20 원통형2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37B1 (ko) * 2015-02-02 2018-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착 및 유동 방지용 스톱퍼가 형성된 전지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37B1 (ko) * 2015-02-02 2018-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착 및 유동 방지용 스톱퍼가 형성된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997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284B1 (ko) 이차 전지
KR101201746B1 (ko) 이차 전지
KR100846955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0467703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1724010B1 (ko) 이차 전지
KR101074780B1 (ko)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8481183B2 (en) Secondary battery
KR101084209B1 (ko) 캡업의 구조가 개선된 원통형 이차전지
KR19990031352A (ko) 전지의 안전장치
US5443924A (en) Discriminating charger and compatible battery
KR20050074198A (ko) 이차 전지
KR0183634B1 (ko) 전지용 단자 케이스
KR200348593Y1 (ko) 원통형2차전지
JP2001185201A (ja) 密閉電池
KR100760786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0563031B1 (ko)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KR100319110B1 (ko) 각형 이차 전지
KR100274896B1 (ko) 이차전지
KR101057534B1 (ko) 이차 전지
KR19980021811U (ko) 알칼리 전지
KR19980015940A (ko) 전지
KR20040024780A (ko) 리튬 이차전지
KR19980021812U (ko) 알칼리 전지
KR19990000628A (ko) 니켈-수소 전지
KR19980060825A (ko) 상부 절연부재 겸 세퍼레이터 및 이를 채용하는 원통형 알칼리 2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