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882U - 로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로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882U
KR19980050882U KR2019960064058U KR19960064058U KR19980050882U KR 19980050882 U KR19980050882 U KR 19980050882U KR 2019960064058 U KR2019960064058 U KR 2019960064058U KR 19960064058 U KR19960064058 U KR 19960064058U KR 19980050882 U KR19980050882 U KR 199800508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upled
lever
connection structure
fema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4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882U/ko
Publication of KR19980050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882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69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소정 부재간의 간격조정이 용이해 변속 레버의 중립위치를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해주며, 제 1 부재에 결합되고 제 2 부재를 향해 왼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연결부재, 제 2 부재에 결합되고 제 1 부재를 향해 오른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연결부재, 왼암나사와 오른암나사에 결합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측에는 소정의 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로드 및 왼나사와 오른나사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로드 연결구조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로드 연결구조
본 고안은 로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변속 차량의 변속 레버에 차례대로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작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주는 레버와 로드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 차량에는 변속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변속 레버에는 여러 개의 레버와 로드들이 차례대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레버와 로드들의 연결공차로 인해 변속 레버의 중립위치가 일정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볼 조인트 등을 이용해 연결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로드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 도에는 제 1 레버(10)와 제 2 레버(20)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 1 레버(10)의 끝단에는 제 1볼 조인트(30)가 너트(32)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제 1볼 조인트(30)에는 제 2 레버(20)를 향해 오른암나사(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레버(20)의 끝단에는 제 2볼 조인트(40)가 너트(42)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제 2볼 조인트(40)에는 제 1 레버(10)를 향해 오른암나사(4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볼 조인트(30)와 제 2볼 조인트(40) 사이에는 로드(5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로드(50)의 양 끝단에는 제 1, 제 2볼 조인트(30, 40)에 형성된 오른암나사(34, 44)에 각각 결합되는 오른나사(52, 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로드(50)의 양 끝단 오른나사(52, 54)에는 너트(56, 58)가 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56, 58)는 길이 조정된 로드(50)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도 상태에서 제 1 레버(10)와 제 2 레버(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 1 레버(10)와 제 1볼 조인트(30) 또는 제 2 레버(20)와 제 2볼 조인트(40)를 체결하는 너트(32, 42)를 푼 다음 제 1볼 조인트(30) 또는 제 2볼 조인트(40)를 돌려 로드(50)의 길이를 맞춘 다음 다시 너트(32, 42)를 이용해 제 1 레버(10)와 제 1볼 조인트(30) 또는 제 2 레버(20)와 제 2볼 조인트(40)를 연결하여야 했다.
즉, 종래의 로드 연결구조에서는 제 1 레버(10)와 제 2 레버(20)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부재간의 간격조정이 용이해 변속 레버의 중립위치를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해주는 로드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로드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드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 1 부재120 : 제 2 부재
130 : 제 1 연결부재132, 142, 156, 158 : 너트
134 : 왼암나사144 : 오른암나사
140 : 제 2 연결부재150 : 로드
152 : 왼나사154 : 오른나사
159 : 다각부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로드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제 1 부재에 결합되고 제 2 부재를 향해 왼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연결부재, 제 2 부재에 결합되고 제 1 부재를 향해 오른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연결부재, 왼암나사와 오른암나사에 결합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측에는 소정의 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로드 및 왼나사와 오른나사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연결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드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2 도에는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 1 부재(110)의 끝단에는 제 1 연결부재(130)가 너트(132)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제 1 연결부재(130)에는 제 2 부재(120)를 향해 왼암나사(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재(120)의 끝단에는 제 2 연결부재(140)가 너트(142)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부재(140)에는 제 1 부재(110)를 향해 오른암나사(14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결부재(110)와 제 2 연결부재(120) 사이에는 로드(15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로드(150)의 양 끝단에는 제 1, 제 2 연결부재(110, 120)가 각각 형성된 왼암나사(134)와 오른암나사(144)에 각각 결합되는 왼나사(152)와 오른나사(1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로드(150)의 양 끝단 왼나사(152)와 오른나사(154)에는 너트(156, 158)가 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156, 158)는 길이 조정된 로드(150)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로드(150)의 중앙 부근에는 다각부(1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다각부(159)는 스패너 등을 이용해 로드(1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도 상태에서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 1 연결부재(130)와 로드(150) 또는 제 2 연결부재(140)와 로드(150)를 연결하는 너트(156, 158)를 푼 다음 스패너 등을 다각부(159)에 물려서 로드(150)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길이를 조정한 다음 다시 너트(156, 158)를 잠그면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로드 연결구조에서는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로드 연결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소정 부재간(110, 120)의 간격 특히, 수동변속 차량에서 두 레버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변속 레버의 중립위치를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

  1.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로드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부재를 향해 왼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제 2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부재를 향해 오른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연결부재;
    상기 왼암나사와 오른암나사에 결합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측에는 소정의 공구를 이용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다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로드; 및
    상기 왼나사와 오른나사중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연결구조.
KR2019960064058U 1996-12-30 1996-12-30 로드 연결구조 KR199800508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058U KR19980050882U (ko) 1996-12-30 1996-12-30 로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058U KR19980050882U (ko) 1996-12-30 1996-12-30 로드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882U true KR19980050882U (ko) 1998-10-07

Family

ID=5400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058U KR19980050882U (ko) 1996-12-30 1996-12-30 로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88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645726C2 (de) Einstellbare Spurstange für eine Fahrzeuglenkung
EP0848189B1 (en) Lockable turnbuckle assembly
KR930700782A (ko) 록킹 패스너
JPH01158158A (ja) コンクリート補強棒用連結具
US3858846A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holding the rod fittings in two finished concrete parts, or the like
EP0940590B1 (en) Connecting means
US5934819A (en) Bolted connection for connecting two profiles
JPH11270549A (ja) リンク部材の長さ調整装置
KR19980050882U (ko) 로드 연결구조
JPH0350721Y2 (ko)
GB2031508A (en) Screw clamp devices
US4181048A (en) Flange turning tool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HU183642B (en) Retainer for releasaale connecting spatial arranged or parallel rods, tubes or similars
KR860002801Y1 (ko)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KR970006256Y1 (ko)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
KR19980044662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크
KR200330474Y1 (ko) 파이프체결장치
KR200158745Y1 (ko) 새시 간격 조절장치
KR920002194B1 (ko) 바란서(Balancer)를 갖는 양단 체결장치
JPH0577610U (ja) 止めナット
JPH11310957A (ja) トラスの接合構造
JPS638321B2 (ko)
KR0133074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탭렌치
SU15215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винчивани гае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