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801Y1 -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 Google Patents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801Y1
KR860002801Y1 KR2019840014111U KR840014111U KR860002801Y1 KR 860002801 Y1 KR860002801 Y1 KR 860002801Y1 KR 2019840014111 U KR2019840014111 U KR 2019840014111U KR 840014111 U KR840014111 U KR 840014111U KR 860002801 Y1 KR860002801 Y1 KR 860002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tubular body
moving ro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453U (ko
Inventor
박만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4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801Y1/ko
Publication of KR860007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장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A 2 : 축B
3 : 관체 4 : 이동봉
5 : 링 5a : 곡면요입부
6,7 : 고정링 6a,7a : 곡면요입부
8 : 손잡이
본 고안은 2개의 축을 가지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2축의 각도 조절 및 고정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램프 장치는 대부분 제4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절결홈(14)이 형성된 축 고정편(13)에 하나의 축(11)을 끼워 보울트(15)로 고정하고 또 하나의 축(12)에는 장공(16)을 형성하여 이 장공(15)을 축 고정편(13)의 연장축(17)에 끼운 후 왓셔(18)와 너트(19)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크램프 장치는 각 축(11)(12)을 일정 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하다가 각 축(11)(12)의 각도를 변경코저 할때에는 축 고정편(13)에 끼워진 보울트(15)와 그 연장축(17)의 선단에 결합된 너트(19)를 각각 풀어 각축(11)(12)의 각도를 조절한 후 이들을 다시 조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보울트(15)와 너트(19)의 분해 결합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게 되고 또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개의 축을 하나의 손잡이로 간단히 풀고 조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코저 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선단에 걸림턱(3a)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관체(3)내에 이동봉(4)이 끼워져 이동봉(4) 후단의 단턱(4a)이 관체(3)의 걸림턱(3a)에 걸려 있고 관체(3)와 이동봉(4)에는 각각 축A(1)와 축B(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관체(3)의 바깥둘레에는 축 A(1)의 외경과 접속하는 곡면 요입부(5a)를 가진 링(5)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이동봉(4)에는 곡면 요입부(6a)(7a)를 가진 고정링(6)과 고정링(7)이 각각 끼워져 있으며 각 고정링(6)(7)에 형성된 곡면요입부(6a)(7a)를 합하면 수직 방향으로는 축B(2)의 직경과 같고 수평방향으로는 축B(2)의 직경보다 큰 장공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관체(3)에 끼워진 링(5)과 이동봉(4)에 끼워진 고정링(5)에는 각각 동일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동봉(4)의 선단에는 나사부(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4b)에는 손잡이(8)가 나사끼우기로 결합되어 있고 손잡이(8)의 선단과 고정링(7)의 요홈 사이에는 패킹(9)이 끼워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잡이(8)의 회전에 의해 축A(1)와 축B(2)를 동시에 조이거나 또는 조임상태에서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관체(3)와 이동봉(4)에 끼워진 축A(1)와 축B(2)가 크램핑(clamping)되지 않은 상태에서부터 설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손잡이(8)의 선단과 고정링(7)의 요홈 사이에 설치된 패킹(9)이 전진하게 되고 패킹(9)이 전진하면 고정링(7)이 함께 전진하게 되며 패킹(9)이 이동봉(4)의 선단면에 닿으면 고정링(7)의 전진이 중지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8)를 계속 회전시켜 주면 패킹(9)이 이동봉(4)의 선단면에 닿아 있으므로 손잡이(8)의 회전에 의해 이동봉(4)이 손잡이(8)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고 이동봉(4)이 후진하면 이동봉(4)의 후방 단턱(4a)에 걸림턱(3a)이 걸려 있는 관체(3)와 링(5)이 후진함과 함께 링(5)의 경사면과 맞닿은 고정링(6)도 함께 후진하게 되므로 관체(3)에 끼워진 축A(1)는 링(5)에 형성된 곡면요입부(5a)에 밀착 고정되고 이동봉(4)에 끼워진 축B(2)는 각 고정링(6)(7)에 형성된 곡면요입부(6a)(7a)에 밀착 고정된다.
축A(1)와 축B(2)가 크램핑된 상태에서 각 축(1)(2)의 각도를 변경시키고저 할때 손잡이(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전술한 작동과 반대로 이동봉(4)이 전진하게 되고 각축(1)(2)은 링(5)에 형성된 곡면 요입부(5a)와 각 고정링(6)(7)에 형성된 곡면요입부(6a)(7a)의 크램핑 상태에서 해제되며 이런 상태에서 각축(1)(2)을 원하는 각도로 변경한 후 다시 손잡이(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크램핑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8)의 회전에 의해 이동봉(4)과 관체(3)가 진퇴하면서 관체(3)에 끼워진 축A(1)와 이동봉(4)에 끼워진 축B(2)등 2개의 축을 동시에 크램핑하거나 크램핑 상태에서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축을 각각 별도로 크램핑하던 종래의 장치에 비해 그 작동이 간편해지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게 되며 각도 조절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걸림턱(3a)이 형성된 관체(3)내에 단턱(4a)과 나사부(4b)를 가진 이동봉(4)을 삽입한 후 관체(3)와 이동봉(4)의 관통공에 축A(1)와 축B(2)를 끼우고 관체(3)의 바깥 둘레와 이동봉(4)의 바깥둘레에는 곡면요입부(5a)를 가진 링(5)과 곡면요입부(6a)(7a)를 가진 고정링(6)(7)을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이동봉(4) 선단의 나사부(4b)에 손잡이(8)를 나사끼우기로 결합하여 손잡이(8)의 회전에 의해 각 축(1)(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2축의 동시 크램프 장치.
KR2019840014111U 1984-12-27 1984-12-27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KR860002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111U KR860002801Y1 (ko) 1984-12-27 1984-12-27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111U KR860002801Y1 (ko) 1984-12-27 1984-12-27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453U KR860007453U (ko) 1986-07-12
KR860002801Y1 true KR860002801Y1 (ko) 1986-10-18

Family

ID=7016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111U KR860002801Y1 (ko) 1984-12-27 1984-12-27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11B1 (ko) * 2000-04-20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11B1 (ko) * 2000-04-20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453U (ko) 198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713A (en) Engagement device and coupling member
JP2739859B2 (ja) 車輛の操舵リンク用のタイロッドアッセンブリ
US4167352A (en) Apparatus for the releasable force-locking of two telescopic tubes, especially for clamping the steering housing tube in the steering fork tube of a bicycle
NO880121L (no) Koplingsanordning.
US5906450A (en) Short in-line turnbuckle
KR890701915A (ko) 고정 장치와 그것을 단단히 잠그기 위한 공구
US3713677A (en) Tubing clamps
JPH0829407B2 (ja) はんだ付け具
KR860002801Y1 (ko) 2축의 동시 크램프(Clamp) 장치
US5909911A (en) Device for stabilizing a disassembly device during use
KR970059556A (ko) 튜브커플링 잠금장치
US2400686A (en) Nipple inserting tool
JP3945983B2 (ja) 締付用工具
US2865587A (en) Device for clamping a pipe to a structural member
FR2352199A1 (fr) Dispositif de jonction pour la construction de structures dans l'espace
GB2187255A (en) Apparatus for securing a pipe to a wall
KR960006391Y1 (ko) 관 이음매
EP0834447A3 (de) Klemmvorrichtung
KR0114249Y1 (ko) 관이음구의 지지공구
JPH028616Y2 (ko)
RU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евой фиксации конце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в цанговом патроне
KR19980059451U (ko) 파이프 체결구
KR950008903Y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소켓
SU637559A1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JPS63462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