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479U - 구동모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모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479U
KR19980049479U KR2019960062644U KR19960062644U KR19980049479U KR 19980049479 U KR19980049479 U KR 19980049479U KR 2019960062644 U KR2019960062644 U KR 2019960062644U KR 19960062644 U KR19960062644 U KR 19960062644U KR 19980049479 U KR19980049479 U KR 19980049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bracket
frame
stepping mo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62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479U/ko
Publication of KR19980049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47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구동모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부품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치수편차에 관계없이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의 구동모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에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제1브라켓은 후크에 맞물리게 끼우고 상기 제2브라켓은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각종 OA기기에 적용한다.

Description

구동모터 고정장치.
본 고안은 팩시밀리, 복사기등의 각종 사무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팩시밀리의 스태핑 모터를 한 개의 고정나사로 단순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팩시밀리 장치는 원고받침대에 적재된 원고를 각 롤러들의 일방향 회전력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송,수신기능 또는 복사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각각의 롤러들은 스태핑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진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의 프레임에 스태핑 모터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스태핑 모터(14)의 양측면에는 프레임(10)에 고정되기 위한 제1브라켓(30a) 및 제2브라켓(30b)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30a)과 제2브라켓(30b)에는 제1나사(32a) 및 제2나사(32b)가 끼워지는 도시하지 않은 각각의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제1브라켓(30a)의 구멍과 제2브라켓(30b)의 구멍과 상응하는 각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스태핑 모터(14)를 팩시밀리의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자할 때는 상기 스태핑 모터(14)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1브라켓(30a)의 구멍 및 제2브라켓(30b)의 구멍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하도록 상기 스태핑 모터(14)를 프레임(10)에 올려 놓는다. 그후, 상기 제1브라켓(30a)에 제1나사(32a)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2브라켓(30b)에 제2나사(32b)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므로서 상기 스태핑 모터(14)는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방식은 스태핑 모터의 양측면에 각각의 브라켓을 설치한 후에 다시 작업자가 2개의 나사로 일일이 체결하여 고정시키므로서 조립공수의 증가로 생산성이 감소되며, 또한 상기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조립시에 상기 스태핑 모터의 브라켓만으로 기준을 정하여 체결하므로서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치수편차에 관계없이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때 간단하고 단순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동모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때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동모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에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제1브라켓은 후크에 맞물리게 끼우고 상기 제2브라켓은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프레임에 스태핑 모터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프레임에 스태핑 모터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12: 후크
14: 스태핑 모터16: 제1브라켓
18: 제2브라켓20: 고정나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프레임에 스태핑 모터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핑 모터(14)의 양측면에는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고정되기 위한 제1브라켓(16) 및 제2브라켓(18)이 설치된다. 상기 제2브라켓(18)에는 고정나사(20)가 끼워지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브라켓(18)의 구멍과 상응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면에는 각 부품들의 조립치수 편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스태핑 모터(14)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브라켓(16)이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12)가 기역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12)는 상기 제1브라켓(16)과 맞물리게 끼워지므로서 상기 스태핑 모터(14)가 프레임(10)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가이드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스태핑 모터(14)를 팩시밀리의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자할 때는 먼저, 상기 스태핑 모터(14)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1브라켓(16)을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후크(12)에 맞물리도록 끼운다. 이때, 상기 스태핑 모터(14)는 제1브라켓(16)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기 ㄸ문에 각 부품들의 조립치수 편차에 대해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스태핑 모터(14)의 타측면에 설치된 제2브라켓(18)의 구멍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시킨다. 그후 상기 스태핑 모터(14)의 제2브라켓(18)에 고정나사(20)를 체결하므로서 상기 스태핑 모터(14)는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 고정장치는 스태핑 모터를 조립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상대 조립물의 치수편차에 관계없이 상기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태핑 모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때 1개의 나사만으로 체결하므로서 조립공수의 감소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제품의 원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동모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양측에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제1브라켓은 후크에 맞물리게 끼우고 상기 제2브라켓은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모터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기역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모터 고정장치.
KR2019960062644U 1996-12-30 1996-12-30 구동모터 고정장치 KR199800494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644U KR19980049479U (ko) 1996-12-30 1996-12-30 구동모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644U KR19980049479U (ko) 1996-12-30 1996-12-30 구동모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479U true KR19980049479U (ko) 1998-10-07

Family

ID=5400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644U KR19980049479U (ko) 1996-12-30 1996-12-30 구동모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4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2279B2 (en) 2013-03-15 2018-07-03 Tech M3, Inc. Braking systems incorporating wear and corrosion resistant rotors
US10197121B2 (en) 2013-03-15 2019-02-05 Tech M3, Inc. Wear resistant braking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2279B2 (en) 2013-03-15 2018-07-03 Tech M3, Inc. Braking systems incorporating wear and corrosion resistant rotors
US10197121B2 (en) 2013-03-15 2019-02-05 Tech M3, Inc. Wear resistant braking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8801A (en) Telephone desk stand/wall mounting apparatus
KR19980049479U (ko) 구동모터 고정장치
JP2002031924A (ja) 電装部ロック機構
JP352242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取付構造
JPS622565Y2 (ko)
JPS6218944A (ja) 記録装置のモ−タ−取付け構造
CN219938655U (zh) 一种电动滚筒控制卡外壳结构
JPH0510524Y2 (ko)
JPH0121583Y2 (ko)
JP3926235B2 (ja) 電子機器装置およびハーネス配線方法
KR930007323Y1 (ko) Vcr용 드럼모터
JPH0540687Y2 (ko)
JP2546224Y2 (ja) プーリ軸支持装置
JPH0525273Y2 (ko)
JPH0440310Y2 (ko)
JPH0132771Y2 (ko)
KR200228093Y1 (ko) 잭 패드
KR200143205Y1 (ko) 전자부품 지지 브라켓트의 밴딩부 보강구조
JPH0957351A (ja) 金属板の曲げ構造
KR100247187B1 (ko) 스피커 고정장치
KR0124133Y1 (ko) 다관종 브라운관 고정장치
KR0171858B1 (ko) 팩시밀리의 스피커 음떨림 현상 방지 장치 및 스피커의 음떨림 방지를 위한 스피커 고정 방법
JP2554449Y2 (ja) トランス基板取付装置
JPH05343858A (ja) 通信装置筺体の取付構造
JPH04329696A (ja)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