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306A -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306A
KR19980047306A KR1019960065788A KR19960065788A KR19980047306A KR 19980047306 A KR19980047306 A KR 19980047306A KR 1019960065788 A KR1019960065788 A KR 1019960065788A KR 19960065788 A KR19960065788 A KR 19960065788A KR 19980047306 A KR19980047306 A KR 1998004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nch
anchor
seat bel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찰리너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306A/ko
Publication of KR1998004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306A/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리어벤치시트(10)의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12)에 대한 시트벨트장치는 상기 벤치시트(10)의 후방에 장착되는 리트랙터 메카니즘(17)으로부터 시트백(10A)을 지나서 상기 중간 또는 내측좌석시트(12)에 대한 상기 벤치시트(10)상의 앵커(18)로 연장되는 시트벨트(11)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벨트(11)에는 각기 2개의 버클형태의 커플링부재(23,24)중 각 커플링부재에 결합되어 각각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는 2개의 텅형태의 디플렉터(21,22)가 갖추어지게 되며, 상기 커플링부재(23)는 상기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12)의 상측에서 그 좌석위치(12)보다 다소 후방의 루프(14)에 장착되고, 상기 다른하나의 커플링부재(24)는 상기 앵커(18)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내측좌석시트(12)의 대향측의 벤치시트(10)의 구조물상에 장착되어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본 발명은 2인 이상의 탑승객을 위한 리어벤치시트(Rear bench-seat)의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Inner seating position)에 대한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란하게 착석한 2인 이상의 탑승객을 위한 차량의 리어시트의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에 제공되는 시트벨트는 그 내측좌석위치와 그 내측좌석위치에 대해 나란하게 병치(竝置)되는 하나의 보조적인 시트와의 사이에서 그 벤치시트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부재로서의 앵커로부터 연장되고 그 타단에는 커플링장치가 갖추어지게 된다. 그 커플링부재는 분리가능한 커플링(Releasable coupling)을 형성하도록 상호 조합되는 1쌍의 커플링부재중 하나이고, 그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다른하나의 커플링부재는 상기 하나의 병치된 좌석위치로부터 상기 내측좌석위치와 그 내측좌석위치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병치된 좌석위치와의 사이에서 벤치시트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앵커로서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탑승객에 대해 적절한 길이로 조절가능한 시트벨트는 그 벨트의 단부에서의 커플링이 그에 대응하는 고정된 앵커커플링부재와 결합된 경우 탑승객의 무릎부분을 지나서 연장되게 되는 바, 그러한 시트벨트는 전혀 신축가능성을 제공하지는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에 전방향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탑승객의 복부 부위에 대한 부상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리코일(Recoil)부재와 조합되면서 시트의 외측에서 차체에 장착되는 리트랙터 메카니즘(Retractor mechanism)으로부터 연장되어지는 단일의 버킷형 시트에 대한 시트벨트가 알려진 상태인 바, 그 벨트는 상기한 리트랙터 메카니즘으로부터 그 시트에 착석한 평균적인 탑승객의 어깨높이로 차체에 고정된 하나의 디플렉터(Deflector)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시트벨트에는 그 시트벨트가 탑승객의 흉부 부위를 통과하면서 그 흉부 부위의 전방에서 상기한 시트의 타측에 위치하는 앵커로 인출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하나의 디플렉터가 갖추어지게 된다. 그 다른 하나의 디플렉터와 상기한 앵커는 분리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바, 그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형성시 상기 벨트는 고정된 형태의 고정앵커로부터 탑승객의 무릎부위를 통과해서 그 탑승객의 흉부 부위를 지나서 상기한 고정식 디플렉터를 통해 상기한 리트랙터 메카니즘으로 연장되게 된다.
상기한 리코일부재는 그 벨트에 의해 탑승객의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해 해당하는 차량의 전방향 충격의 발생시 시트벨트의 제한적인 신장이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시트벨트의 구조에 의해서는 2인 이상의 탑승객을 위한 리어벤치시트의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에 대한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메카니즘의 제공은 어려운 바, 이는 그 내측좌석위치와 그 내측좌석위치와 나란하게 병치된 하나의 추가적인 좌석위치와의 사이에 리트랙터 메카니즘을 위치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2인 이상의 탑승객을 위한 리어벤치시트상의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에 대한 시트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벤치시트에 최소한 3인의 탑승객을 위한 좌석위치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시트벨트가 상기 벤치시트의 내측좌석위치에 착석한 탑승객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치시트 후방에서 차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 1앵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벤치시트의 시트백을 지나 그 시트백에 고정된 제 2앵커로 연장되는 시트벨트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제 2앵커는 상기 벤치시트의 내측좌석위치와 하나의 나란한 좌석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벤치시트의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시트벨트에는 2개의 시트벨트 디플렉터가 구비되어지되 각 시트벨트 디플렉터는 2개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각각을 구성하도록 상호 조합되는 1쌍의 커플링부재중 하나이고,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중 하나의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는 상기 내측좌석위치와 상기 하나의 나란한 좌석위치로부터 상기 내측좌석위치의 대향측상에 형성되는 상기 벤치시트의 다른 하나의 나란한 좌석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벤치시트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3앵커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중 다른 하나의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는 상기 벤치시트상의 차량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4앵커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내측좌석위치에 착석한 탑승객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2개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벨트는 상기 탑승객의 무릎 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앵커로부터 상기 하나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로 연장되고나서, 상기 탑승객의 흉부 부위를 지나 상기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로부터 상기 벤치시트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른 하나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로 연장됨에 이어, 상기 벤치시트의 후방에서 하향되어 상기 제 1앵커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벨트가 비사용중인 경우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은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시트백상에 걸쳐쳐서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앵커는 상기 벤치시트 후방의 바닥면의 구조물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앵커로부터 시트벨트가 연장되어지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메카니즘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은 착탈가능한 텅과 버클형태의 커플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텅은 상기 디플렉터중 각각의 디플렉터에 상호 결합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벤치시트(Rear bench-seat)와 시트벨트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와 시트벨트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벤치시트, 11: 시트벨트,
13: 테일게이트, 14: 루프,
17: 리트랙터 메카니즘, 18: 고정앵커,
21,22: 디플렉터, 23,24: 커플링부재.
이하,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2는 리어벤치시트(10)와 그 벤치시트(10)의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12)에 대한 시트벨트(11)를 나타내는 바, 그 시트벨트(11)가 적용되는 대상의 예시적인 차량은 테일게이트(Tailgate; 13)와 루프(14)를 갖춘 해치백(Hatchbak)형태이다.
상기 리어벤치시트(10)는 그 시트백(10A)이 시트부(10B)에 힌지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부(10B)가 상기 리어벤치시트(10)의 전방에서 차량의 바닥면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피봇장착구(10C)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폴딩(Folding)가능하게 설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봇장착구(10C)를 중심으로 상기 벤치시트(10)를 전방으로 폴딩시킴으로써 상기 리어시트벨트(10)의 후방의 화물적재공간이 확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벤치시트(10)는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12)와 좌측시트부(15) 및 우측시트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좌석위치(12)에 대한 시트벨트(11)는 상기 시트백(10A)과 시트부(10B)의 사이의 힌지에 근접한 벤치시트(10)의 후방에서 상기 벤치시트(10)의 시트프레임상에 장착되는 리트랙터(17)로부터 연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시트백(10A)이 상기 시트부(10B)상에 폴딩가능하면서 상기 시트백(10A)의 폴딩시 상기 피봇장착구(10C)를 중심으로해서 전방으로 적절하게 선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트랙터 메카니즘(17)은 상기 시트벨트(11)를 탄성지지하도록 작용하게 되는 리코일메카니즘과 결합되고, 상기 리트랙터 메카니즘(17)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시트벨트(11)의 일단은 상기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12)와 그 좌석위치(12)에 나란한 우측 좌석부(16)와의 사이에서 상기 시트벤치(10)의 구조물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앵커(18)에 결합된다.
상기 시트벨트(11)는 상기 시트백(10A)을 지나서 상기 리트랙터(17)로부터 상기 고정앵커(18)로 연장되고, 그 시트벨트(11)에 대해서는 그 길이를 따라 슬라이드가능한 2개의 텅형태의 디플렉터(21,22)가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각 디플렉터(21,22)는 버클형태의 각 고정커플링부재(23,24)와 통상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각각의 텅형태의 디플렉터(21,22)와 버클형태의 커플링부재(23,24)는 각각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버클형태의 분리가능한 커플링부재(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 힌지(13A)에 인접하여 상기 중간 또는 내측좌석위치(12)의 상측에서 그 좌석위치(12)보다 다소 후방의 해당하는 차량 루프(14)에 결합된다. 상기 다른 하나의 버클형태의 커플링부재(24)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좌석위치(12)와 상기 좌측 좌석부(15)의 사이에서 상기 벤치시트(10)상에 장착된다.
상기 시트벨트(11)의 사용시에, 상기 중간좌석위치(12)에 착석한 탑승객은 상기 디플렉터(21)의 텅부를 해당하는 차량의 루프(14)에 장착된 각각의 버클형태의 커플링부재(23)에 채움과 더불어 다른하나의 디플렉터(22)의 텅부를 그 좌측의 버클형태의 커플링부재(24)에 체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벨트(11)는 상기 리플랙터 메카니즘(17)으로부터 해당하는 차량의 루프(14)에 장착된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으로 연장되고나서, 상기 디플렉터(22)와 커플링부재(24)에 의해 상기 중간좌석위치(12)에 착석한 탑승객의 흉부 부위를 통해 그 좌측에 형성된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으로 연장됨에 이어, 그 탑승객의 그 무릎 부위를 지나서 그 우측의 고정앵커(18)에까지 연장되게 된다.
상기 리플랙터 메카니즘(17)은 해당하는 차량의 전방향 충격의 발생시 그 시트벨트(11)가 어느정도는 신장되도록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시트벨트(11)를 착용한 상태로 상기 벤치시트(10)의 중간좌석위치(12)에 착석한 탑승객의 복부 부위에 대한 부상의 위험은 2개의 고정앵커의 사이에서 중간좌석위치의 양측면중 어느 일측에만 연장되는 종래의 2점식 시트벨트(Lap type seat belt)에서의 상황에 비해 상당히 저감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전방향 충격의 발생시 상기 시트벨트(11)상의 부하(Loading)는 해당하는 차량의 루프(14)에 장착된 커플링부재(23)와 상기 벤치시트(10)의 후방에 장착된 리트랙터 메카니즘(17)의 사이에서 분산되어짐에 따라 상기한 시트구조에서는 그 부하의 일부가 경감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좌석위치(12)가 비사용중인 경우 상기 디플렉터(21)는 그와 대응하는 고정커플링부재(23)로부터 분리되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11)는 상기 벤치시트(10)의 시트백(10A)상에 걸쳐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리트랙터 메카니즘(17)은 상기 시트백(10A)상에서 장애를 주지 않도록 위치될 때까지 상기 시트벨트(11)를 자동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후사경(Rear view mirror)에서의 운전자의 시계가 선명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벨트(11)에 의해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예컨대 상기 리어벤치시트가 그 후방의 화물적재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전방향으로 폴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리트랙터 메카니즘은 해당하는 차량의 구조의 일부로서 제공되어 상기 리어벤치시트(10)에 대한 장착물로서 작용하는 횡방향 연장의 스쿼브(Squab)의 후방에 장착될 수도 있게 된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전방향 충격의 발생시 상기 시트벨트상의 부하가 해당하는 차량의 루프(14)에 장착된 상기 커플링부재(23)와 상기 시트구조 뿐만 아니라 상기 스쿼브의 사이에서 분산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인 이상의 탑승객을 위한 리어벤치시트의 내측좌석위치에 대해서도 차량의 전방향 충격의 발생시 탑승객의 안전을 유지하면서 부하의 분산이 가능한 적절한 형태의 시트벨트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벤치시트에 최소한 3인의 탑승객을 위한 좌석위치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시트벨트가 상기 벤치시트의 내측좌석위치에 착석한 탑승객에 의해서만 사용되어지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치시트 후방에서 차체의 바닥면 또는 그 시트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제 1앵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벤치시트의 시트백을 지나 그 시트백에 고정된 제 2앵커로 연장되는 시트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앵커는 상기 벤치시트의 내측좌석위치와 하나의 나란한 좌석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벤치시트의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시트벨트에는 2개의 시트벨트 디플렉터가 구비되어지되 각 시트벨트 디플렉터는 2개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각각을 구성하도록 상호 조합되는 1쌍의 커플링부재중 하나이고,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중 하나의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는 상기 내측좌석위치와 상기 하나의 나란한 좌석위치로부터 상기 내측좌석위치의 대향측상에 형성되는 상기 벤치시트의 다른 하나의 나란한 좌석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벤치시트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3앵커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중 다른 하나의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는 상기 벤치시트상의 차량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4앵커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내측좌석위치에 착석한 탑승객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2개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벨트는 상기 탑승객의 무릎 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제 2앵커로부터 상기 하나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로 연장되고나서, 상기 탑승객의 흉부 부위를 지나 상기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로부터 상기 벤치시트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른 하나의 분리가능한 커플링의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로 연장됨에 이어, 상기 벤치시트의 후방에서 하향되어 상기 제 1앵커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시트벨트가 비사용중인 경우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은 상기 시트벨트가 상기 시트백상에 걸쳐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앵커는 상기 벤치시트 후방의 바닥면의 구조물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앵커로부터 시트벨트가 연장되어지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메카니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커플링은 착탈가능한 텅과 버클형태의 커플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텅은 상기 디플렉터중 각각의 디플렉터에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KR1019960065788A 1996-12-14 1996-12-14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KR19980047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88A KR19980047306A (ko) 1996-12-14 1996-12-14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88A KR19980047306A (ko) 1996-12-14 1996-12-14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306A true KR19980047306A (ko) 1998-09-15

Family

ID=6652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788A KR19980047306A (ko) 1996-12-14 1996-12-14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3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948A (en) Seat and seat belt restraint assembly
US6871876B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double shoulder belts
US6193317B1 (en) Back seat arrangement for passenger compartments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US20200307489A1 (en)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GB2345033A (en) Releasable three point seatbelt system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US5401072A (en) Tethered seat back for preventing rearward movement of a seat back during a vehicle rear-end collision
JPH10194083A (ja) 車内安全ベルト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GB2274814A (en) Seat-belt arrangement
US20050067827A1 (en) Seat security arrangement comprising a safety belt with lateral seat occupant support
GB2165443A (en) Child's seat
US6126200A (en) Buckle arrangement
KR19980047306A (ko) 차량의 리어벤치시트용 시트벨트장치
US11040694B1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harness
GB2301016A (en) Rear seat belt arrangement
JP4449197B2 (ja) シートベルトの取付構造
CN219236973U (zh) 一种用于车辆座椅的头胸气囊保护系统
JP3307238B2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ベルト配設構造
GB2275597A (en) Adaptor arrangement for lap-belt
EP1842739B1 (en) Motor vehicle seat, motor vehicle, and airbag module
KR0123593Y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센터시트용 안전벨트
KR10041245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버클 구조
JPH04311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