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236A -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236A
KR19980047236A KR1019960065712A KR19960065712A KR19980047236A KR 19980047236 A KR19980047236 A KR 19980047236A KR 1019960065712 A KR1019960065712 A KR 1019960065712A KR 19960065712 A KR19960065712 A KR 19960065712A KR 19980047236 A KR19980047236 A KR 1998004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impeller
automatic transmission
engine
fly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268B1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26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5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회전식 입력축과 엔진의 크랭크 축에 직결된 임펠러를 직결시키므로써, 축전지의 방전으로 시동키에 의한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자동차를 후진시켜 시동을 걸게 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는, 크랭크축의 플라이 휠(1)에 일체화된 임펠러(2) 및 임펠러(2)와 유체커플링되며 입력축(5)에 끼워져 고정되는 터어빈(3)을 포함하는 토오크 컨버터에서, 상기 터어빈(3)을 상기 입력축(5)에 역회전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원 웨이 클러치(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축전지의 방전으로 시동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차량의 후진시켜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이 불가능한 장소에서 축전지 완전 방전시에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방향으로 회전시 입력축과 엔진의 크랭크 축에 직결된 임펠러를 직결시키므로써, 축전지의 방전으로 시동키에 의한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자동차를 후진시켜 시동을 걸게 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에게 운전조작이 매우 편리한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자동변속기는 통상 유체커플링 장치인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 장치를 조합하고 유압제어 시스템(Hydraulic Control System)을 이용하여 운전조건과 기관의 부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되는 변속기를 말한다. 따라서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에는 클러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의 도 2 는 종래의 자동변속기의 상부단면도이다.
도시된 부분은 자동변속기의 유체커플링(Fluid Coupling)인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로,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크랭크축(미도시)에 플라이 휠(Fly Wheel)(1)과 함께 결합되는 임펠러(Impeller)(2)와, 상기 임페럴(2)와 마주 보며 결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터어빈(turbine)(3), 이들 두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테이터(Stator)(4)와, 상기 터어빈(2)이 결합되는 입력축(Input Shaft)(5) 등으로 크게 대별하여 볼 수 있다.
임펠러(2)와 터어빈(3)은 접하면서 토오크 컨버터를 구성하며, 그 사이에는 유체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플라이 휠(1)의 외주에는 시동모터의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링 기어(Ring Gerar)(6)가 설치되어 있다.
이사과 같은 구성으로, 엔진의 시동모터에 의하여 시동되면, 엔진의 크랭크 축은 임펠러(2)를 회전시킨다.
임펠러(2)의 내부에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시 내부의 유체를 원심력으로 터어빈(3)측으로 급송시킨다.
터어빈(3)은 내부에 임펠러(2)에 대응되는 블레이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임펠러(2)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반발력으로 회전되면서 동력을 입력축(5)으로 전달된다.
입력축(5)은 변속기내의 다수의 유성기어장치를 통하여 운전조건과 기관에 부하에 따르는 토크와 회전속도를 출력축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출력축(미도시)은 추진축(미도시)을 회전시키고, 추진축은 각 부분의 바퀴(미도시)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은 엔진의 동력이 자동변속기의 유체커플링을 통하여 추진축으로 전달되어 바퀴가 회전하면서 주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변속기 차량 차량은 축전지 방전시 차량을 미는 강제시 동방식으로는 시동을 걸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강제시동방식은 상기한 동력흐름의 반대방향, 즉, 먼저 바퀴를 회전시켜 추진축과 입력축을 통하여 엔진을 구동시켜야 하는데, 저속시에는 유체커플링인 터어빈(3)과 임펠러(2) 사이의 동력전달효율이 매우 낮아 차량을 미는 방식으로는 터어빈(3)이 임펠러(2)를 회전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엔진을 시동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변속기 장착차량이 가진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추진축이 역회전되면 이 추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입력축에 의하여 크랭크 축에 직결된 임펠러가 회전되어 엔진이 구동하게 하므로써, 축전지의 방전으로 시동키에 의한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자동차를 후진시켜 엔진을 강제로 시동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가 장치된 자동변속기의 상부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변속기의 상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이 휠2 : 임펠러
3 : 터어빈4 : 스테이터
5 : 입력축5a : 연장부
6 : 링기어7 : 원 웨이 클러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는, 크랭크축의 플라이 휠에 일체화된 임펠러 및 임펠러와 유체커플링되며 입력축에 끼워져 고정되는 터어빈을 포함하는 토오크 컨버터에서, 상기 터어빈을 상기 입력축 역회전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원 웨이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 웨이 클러치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에 의하여, 축전지의 방전으로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자동차를 후진방향으로 밀어 추진축이 역회전되게 하면, 원 웨이 클러치가 추진축에 연동하여 역회전하는 입력축에 상기 터어빈을 연결시키므로써, 역회전되는 바퀴로부터 추진축 입력축 터어빈 및 크랭크축의 순서로 동력이 전달되어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가 설치된 자동변속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변속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축인 크랭크 축(미도시)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플라이 휠(1), 이 플라이 휠(1)에 결합된 임펠러(2), 임펠러(2)와 마주보는 터어빈(3) 그리고 터어빈(3)의 회전축인 입력축(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이 휠(1)은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원판으로, 엔진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면서 그 관성력으로 엔진의 각 행정에 따른 동력의 편차를 보정하여 크랭크 축의 회전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다.
임펠러(2)는 도우넛 모양의 강판재로 내부에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어서, 플라이 휠(1)과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터어빈(3) 측으로 강하게 흘려보내는 것이다.
터어빈(3)은 임펠러(2)와 함께 유체커플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대략 임펠러(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임펠러(2)가 흘려보내는 유체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자동변속기의 구동축인 입력축(5)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임펠러(2)와 터어빈(3) 사이에는 블레이드가 많은 바람개비 형상의 스테이터(4)가 내장되어 임펠러(2)와 터어빈(3) 사이의 유체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변속기는 입력축(5)이 구동되면서 엔진의 부하와 속도에 따라 유압제어회로에 의하여 내부에 유성기어가 조합되면서 현재의 주행상황에 따라 적당한 토크와 회전속도로 엔진의 구동력을 추진축을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입력축(5)은 플라이 휠(1)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a)를 가지며, 이 연장부(5a)는 플라이 휠(1)의 중앙에 형성된 함몰부(1a)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 연장부(5a)와 함몰부(1a) 사이에는 역회전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7)가 개재된다. 즉, 원 웨이 클러치(7)는 플라이 휠(1)와 입력축(5)이 순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베어링 역할을 하나,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입력축(5)의 회전력을 플라이 휠(1)으로 전달하는 구동매개체 구실을 한다. 따라서 원 웨이 클러치(7)는 입력축(5)이 역회전되는 경우에만 입력축(5)으로부터 플라이 휠(1)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정상의 운행의 경우, 엔진이 가동되면, 크랭크 축에 결합된 플라이 휠(1)이 회전되며, 이 플라이 휠(1)에 합체된 임펠러(2)가 회전한다.
임펠러(2)는 내부의 블레이드로서 유체를 강하게 흘러보내어 유체의 원심력으로 마주보는 터어빈(3)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터어빈(3)은 정상의 상태에서 입력축(5)을 회전시켜 미도시된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축전지의 방전으로 정상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차량의 뒤쪽으로 밀면 바퀴의 역회전력이 추진축을 거쳐 출력축을 통하여 입력축(5)에 전달된다.
이 때, 입력축(5)의 연장부(5a)에 설치된 원 웨이 클러치(7)는 플라이 휠(1)을 입력축(5)에 연결하여 입력축(5)의 회전력이 플라이 휠(1)에 전달되게 한다.
따라서, 플라이 휠(1)이 입력축(5)의 회전력으로 역회전하고, 동시에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엔진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은 차량을 후진시키므로써 엔진을 강제로 시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축전지의 방전으로 시동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차량의 후진시켜 엔진을 시동시킬수 있으므로, 충전이 불가능한 장소에서 축전지 완성 방전시 운전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

  1. 엔진의 크랭크 축에 결합되는 플라이 휠과, 상기 플라이 휠에 일체화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유체커플링된 터어빈과, 상기 터어빈이 끼워져 고정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라이 휠 중앙의 함몰부로 끼워지는 연장부와, 상기 플라이 휠 함몰부와 상기 입력축의 연장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플라이 휠이 상기 입력축에 의하여 역회전방향으로만 연동되게 하는 원 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KR1019960065712A 1996-12-14 1996-12-14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KR100264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12A KR100264268B1 (ko) 1996-12-14 1996-12-14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12A KR100264268B1 (ko) 1996-12-14 1996-12-14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36A true KR19980047236A (ko) 1998-09-15
KR100264268B1 KR100264268B1 (ko) 2000-08-16

Family

ID=1948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712A KR100264268B1 (ko) 1996-12-14 1996-12-14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642B1 (ko) * 2000-12-26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과 토크 컨버터의 연결장치
KR100736784B1 (ko) * 2005-11-08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크컨버터의 순환유량 확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642B1 (ko) * 2000-12-26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과 토크 컨버터의 연결장치
KR100736784B1 (ko) * 2005-11-08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토크컨버터의 순환유량 확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268B1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6083B2 (en) Hybrid drive system
RU2557633C2 (ru) Силовая передач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931271A (en) Hybrid drive with one-way drive connections
US7647851B2 (en) Propuls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with a hydrodynamic reverse clutch
US4454786A (en) Four speed torque converter transaxle and accessory drive system
US8561502B2 (en) Dual drive pump system with one way clutches
US9108498B2 (en) Hydrostatic hydraulic hybrid system
EP0908343A3 (en) Hybrid drive system
US5617817A (en) Fan drive with a fluid-friction clutch
US4531605A (en) Arrangement for driving the generator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automobile
WO2006006919A2 (en) Force transmitting system for a hybrid driven motor vehicle
KR101231345B1 (ko) 소프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기자동차모드 구현장치
US20080245635A1 (en) Lock-up torque converter and method of locking up a torque converter
US6569048B1 (en) Tandem torque converter
KR100264268B1 (ko) 자동변속기의 강제 시동장치
KR10075504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4420362B2 (ja) 流体継手
JPH09280337A (ja) 無段変速機
US4493402A (en) Hydraulic torque converter for vehicles
KR100623082B1 (ko) 차량용 무단변속장치
KR10084468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크컨버터 구조
US4064958A (en) Transmission for single-shaft gas turbine engine
JP2004114771A (ja) 複合型原動機の内部動力制御装置
US20230070632A1 (en) Selectable torque path torque converter architecture
JP2908215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