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046U -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046U
KR19980045046U KR2019960058186U KR19960058186U KR19980045046U KR 19980045046 U KR19980045046 U KR 19980045046U KR 2019960058186 U KR2019960058186 U KR 2019960058186U KR 19960058186 U KR19960058186 U KR 19960058186U KR 19980045046 U KR19980045046 U KR 199800450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ssembly
vehicle body
drust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익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8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046U/ko
Publication of KR19980045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04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6Fluid actuator using a pump, e.g. in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물중량에 의해 차체가 부분적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쇽업소오버(4)가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상태로 장착되고, 이러한 쇽업소오버(4)와 차체사이에 상기 스프링(2)이 배치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제어부(34)의 제어시그널에 따라 여닫히는 솔레노이드밸브(36)를 통해 오일펌프(30)로부터의 유압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쇽업소오버(4)가 서스펜션 서포트(10)와 실린더(12)에 내재된 피스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연결된 피스턴로드(20)가 상기 서스펜션 서포트(10)에 결합되는 제1로드(22)와, 이 제1로드(22)의 하단에 연장되는 플런져가 유압력의 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챔버에 내재되는 제2로드(24)로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하 진동에 따른 움직임을 억제시켜 승차감을 좋게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차축을 통한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 특히, 프론트현가장치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과 쇽업소오버(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2)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쇽업소오버(4)는 상기 스프링(2)의 자유진동을 억제시켜 차체가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행한다.
한편, 근래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쇽업소오버(4)가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상태로 장착되고, 이러한 쇽업소오버(4)와 차체사이에 상기 스프링(2)이 배치되는 일체형의 드러스트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는 하물의 중량에 따라 다변하는 차고를 조절할 수 없어 차체가 부분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물의 중량 작용 정도에 따라 차고를 조절할 수 있게하여 하물중량에 의해 차체가 부분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1은 종래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스프링 4 : 쇽업소오버
10 : 서스펜션 서포트 12 : 실린더
20 : 피스턴로드 22 : 제1로드
24 : 제2로드 30 : 오일펌프
34 : 제어부 36 : 솔레노이드밸브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쇽업소오버가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상태로 장착되고, 이러한 쇽업소오버와 차체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배치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시그널에 따라 여닫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오일펌프로부터의 유압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쇽업소오버가 서스펜션 서포트와 실린더에 내재된 피스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연결된 피스턴로드가 상기 서스펜션 서포트에 결합되는 제1로드와, 이 제1로드의 하단에 연장되는 플런져가 유압력의 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챔버에 내재되는 제2로드로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오버(4)가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상태로 장착되고, 이러한 쇽업소오버(4)와 차체사이에 상기 스프링(2)이 배치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에 관련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쇽업소오버(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서포트(10)와 실린더(12)에 내재된 피스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연결된 피스턴로드(20)가 상기 서스펜션 서포트(10)에 결합되는 제1로드(22)와, 이 제1로드(22)의 하단에 연장되는 플런져가 유압력의 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챔버에 내재되는 제2로드(24)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제2로드(24)의 챔버에는 오일펌프(30)와 호스(32)로 연결되고, 이 호스(32)에는 제어부(34)의 제어시그널에 따라 여닫히는 솔레노이드밸브(36)가 장착되어 있어 오일펌프(30)로부터의 유압력이 선택적으로 상기 챔버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는 하물의 중량 작용 정도에 따라 피스턴로드가 작용 유압력에 따라 신축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물중량에 의해 차체가 부분적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쇽업소오버(4)가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상태로 장착되고, 이러한 쇽업소오버(4)와 차체사이에 상기 스프링(2)이 배치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제어부(34)의 제어시그널에 따라 여닫히는 솔레노이드밸브(36)를 통해 오일펌프(30)로부터의 유압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쇽업소오버(4)가 서스펜션 서포트(10)와 실린더(12)에 내재된 피스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연결된 피스턴로드(20)가 상기 서스펜션 서포트(10)에 결합되는 제1로드(22)와,
    이 제1로드(22)의 하단에 연장되는 플런져가 유압력의 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챔버에 내재되는 제2로드(24)로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KR2019960058186U 1996-12-27 1996-12-27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KR199800450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186U KR19980045046U (ko) 1996-12-27 1996-12-27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186U KR19980045046U (ko) 1996-12-27 1996-12-27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46U true KR19980045046U (ko) 1998-09-25

Family

ID=5399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186U KR19980045046U (ko) 1996-12-27 1996-12-27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0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3077C (en) Fluid suspension spring and damper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240034862A (ko) 충격 흡수기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차량
KR19980045046U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드러스트어셈블리
KR20020045826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JP2911556B2 (ja) 車高調整用ジャッキ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用油圧緩衝器
KR100233063B1 (ko) 전자식 댐퍼
KR10024376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242933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100398203B1 (ko) 공기현가차량의 롤 방지장치
KR200154962Y1 (ko) 더블 피스톤 쇽압소바
KR20090100485A (ko) 전자석을 이용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0320537B1 (ko) 차량용서스펜션의안티다이브제어장치
KR100507122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찰 저감장치
KR100527706B1 (ko) 댐퍼 겸용 액티브 앤티롤 장치
JPH08169222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70010361B1 (ko) 완충기
KR200203918Y1 (ko) 자동차 시트의 완충장치
KR0120252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JP2525779Y2 (ja) 車高調整機構
KR19980054203A (ko) 통형 쇽업소버
KR970034277A (ko) 2단스프링 상수 가변식 전자제어 현가장치
JPS60203514A (ja) 車高調整装置
KR19980041554U (ko) 차량 현가의 스트럿마운트
KR19980041539U (ko) 차량 현가의 리바운드 스톱퍼
KR19990010322A (ko) 소형화물차의 시트 유동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