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630A -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630A
KR19980044630A KR1019960062734A KR19960062734A KR19980044630A KR 19980044630 A KR19980044630 A KR 19980044630A KR 1019960062734 A KR1019960062734 A KR 1019960062734A KR 19960062734 A KR19960062734 A KR 19960062734A KR 19980044630 A KR19980044630 A KR 1998004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intake
present
heating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630A/ko
Publication of KR1998004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630A/ko

Links

Landscapes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울철에 찬 공기가 실린더로 흡입됨으로 인하여 저온으로 된 실린더의 온도를 연소실의 온도조건에 맞는 상태로 상승시켜서 초기 시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는 히팅장치가 없어 겨울철의 초기시동불량으로 연소효율저하를 가져왔던 바, 본 발명에서는 흡배기밸브(12)(12a)가 배치되는 실린더(10)에 일단은 밧데리(16)와 다른 일측은 콘트론유니트(18)에 연결된 열선(20)을 배열하여서 히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겨울철에 양호한 초기시동성으로 연소효율을 상승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 마련되고 있는 실린더의 히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에 찬 공기가 흡입됨으로 인하여 저온으로 된 실린더의 온도를 연소실의 온도조건에 맞는 상태로 상승시켜서 초기 시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안출된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정을 이루어 동력을 얻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실린더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1)의 상단에 승강운동으로 흡배기를 이루는 흡배기밸브(2)(2a)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흡기밸브(2)를 통하여 유입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유입되어 압축을 이룬 후 점화장치에 의하여 폭발된 후 배기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수단에 의하면 여름철과 같이 대기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실린더의 자체온도가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초기의 양호한 시동을 이루게 하지만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급하강하는 계절에는 찬 공기가 흡입됨으로 인하여 저온의 엔진환경에서 점화됨으로써 초기 냉간 시동이 잘 안되거나 혹시 시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연소효율이 급격히 떨어짐에 따라 연소실에 카본이 퇴적하여 환경공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온이 급하강하게 됨으로 인하여 대기의 찬 공기가 흡입되어 저온이 된 실린더를 연소조건에 맞는 상태로 히팅시켜서 양호한 초기시동으로 연소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연소상태가 좋도록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내부에 형성되는 실린더 상단을 개폐하는 흡배기밸브가 설치된 실린더헤드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밸브가 배치되는 실린더에 일단은 밧데리와 다른 일측은 콘트론유니트에 연결된 열선을 배열하여서 히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열선을 실린더의 상단 흡배기측에 매설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히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린더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린더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 : 실린더12, 12a : 흡배기밸브
14 : 실린더헤드16 : 밧데리
18 : 콘트롤유니트20 : 열선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히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구성하는 실린더(10)와, 흡배기밸브(12)(12a), 실린더(10)를 예열하는 히팅수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0)는 다수개의 연소실(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 양측에는 흡배기밸브(12)(12a)의 승강운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배기밸브(12)(12a)는 도시를 생략한 캠샤프트에 의하여 간헐적인 승강작동으로 흡배기행정을 이루고 있으며 겨울철에 찬 공기가 흡입됨으로 인하여 저온상태를 이루는 실린더(10)는 히팅수단(22)에 의하여 연소에 적합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히팅수단(22)은 실린더(10)에 배열되는 열선(20)의 일단은 밧데리(16)와 다른 일측은 콘트론유니트(18)에 연결되고, 열선(20)은 실린더(10)의 상단 흡배기측에 매설되어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실린더(10)에 열선(20)을 매설하여 배치하고 있으며 겨울철에 찬공기가 실린더(10)로 주입되면 초기시동성이 저하되므로 열선(20)에 연결되고 있는 콘트롤유니트(18)에 의하여 열선(20)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연소실(30)이 열교환되어 연소에 필요한 적정온도로 유지되면 콘트롤유니트(18)가 오프(off)되므로 안전하면서 양호 연소상태를 이루게 한다.
이는, 초기 냉간시동시 연소실(30)을 히팅시켜주는 열선(20)에 의하여 열소실(30)의 온도조건이 정상조건으로 맞춰지기 때문에 시동성 및 초기 연소효율이 상승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겨울철에 찬 공기가 실린더에 유입되므로 인하여 실린더의 온도가 저하되면 히팅수단에 의하여 연소실을 예열하여 항상 더운 연소실조건을 만들어서 초기시동성을 양호하게 이루면서 초기연소효율을 상승시킴에 따라 겨울철에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신뢰도를 증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자동차 엔진의 내부에 형성되는 실린더(10) 상단을 개폐하는 흡배기밸브(12)(12a)가 설치된 실린더헤드(14)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밸브(12)(12a)가 배치되는 실린더(10)에 일단은 밧데리(16)와 다른 일측은 콘트론유니트(18)에 연결된 열선(20)을 배열하여서 히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20)은 실린더(10)의 상단 흡배기측에 매설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히팅장치.
KR1019960062734A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KR19980044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734A KR19980044630A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734A KR19980044630A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630A true KR19980044630A (ko) 1998-09-05

Family

ID=6647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734A KR19980044630A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6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668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62186A (en) Method of starting an engine
DE69407266T2 (de) Betriebsverfahren einer Dieselbrennkraftmaschine mit einer kontinuierlich bekräftigten Glühkerze und Entwurf solcher Kerze
KR20010034212A (ko) 추가의 압축 공기 분사기를 구비한 오염물이 없는 엔진이장비된 모터 차량을 추가로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
US6536679B2 (en) Heating system
US20130227932A1 (en) Heater/cooler module, integrated into an intake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conditioning a gaseous intake fluid
EP1065355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combustion heater
KR19980044630A (ko) 자동차용 엔진 실린더 히팅장치
JPH0645625Y2 (ja) 直噴式デイ−ゼル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S609419Y2 (ja) 内燃機関の始動促進装置
KR20060023616A (ko) 디젤 엔진의 예열플러그 제어방법
JP2002070663A (ja)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CN117605601A (zh) 一种电喷摩托车发动机
CN2245669Y (zh) 电热进排气歧管衬垫
KR19980047792A (ko) 인터쿨러(Intercooler)의 냉각구조
KR19980055037A (ko) 디젤엔진의 냉시동시 연료 예열장치
KR100325221B1 (ko) 디젤 엔진의 예열 플러그
KR0118204Y1 (ko) 내연기관의 혼합기 가열장치
CN118088366A (zh) 快速冷起动发动机的加热系统、加热方法和冷起动发动机
JP2001132560A (ja) 吸気加熱システム
KR19980059821A (ko) 가솔린엔진의 점화플러그
KR19980040954U (ko) 에어 쉬라우드 인젝션(Air Shroud lnjection) 구조
JP2000320408A (ja) 吸気加熱システム
JPH0512654U (ja) 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始動補助装置
KR19980041460U (ko) 차량 배기리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