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234A -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234A
KR19980044234A KR1019960062284A KR19960062284A KR19980044234A KR 19980044234 A KR19980044234 A KR 19980044234A KR 1019960062284 A KR1019960062284 A KR 1019960062284A KR 19960062284 A KR19960062284 A KR 19960062284A KR 19980044234 A KR19980044234 A KR 1998004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nder
virtual image
subject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6006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234A/ko
Publication of KR1998004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23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상을 결상하는 파인더 광학계와; 상기 파인더 광학계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그에 해당하는 피사체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출력되는 피사체 신호를 처리하여 원래의 영상으로 재현시키는 가상 이미지 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파인더 광학계를 통하여 촬상된 피사체상을 별도의 가상 이미지 장치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카메라에 눈을 접근시키지 않아도 피사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보다 확대된 영상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이 발명은 가상 이미지(virtual image)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finder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카메라의 파인더를 통하여 촬상된 피사체상을 별도의 가상 이미지 출력 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인더 시스템은 카메라 사용할 때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필름에 찍히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파인더 배율에 따라 사용자가 눈으로 피사체를 보는 크기와 파인더를 통하여 보이는 피사체의 크기가 차이가 난다.
파인더 시스템은 필름에 찍히는 범위를 확인하는 기능이외에,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서는 초점 글라스(focus glass)를 통하여 초점과 피사계 심도까지 확인할 수 있으며, 거리 연동 카메라에서는 파인더의 중앙부에서 초점을 맞추는 기능까지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카메라에서 피사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의 파인더 시스템에 눈을 접근시켜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파인더 시스템의 화면 사이즈가 작으므로, 파인더 시스템을 통하여 피사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관찰시에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파인더를 통하여 촬상된 피사체 상을 별도의 가상 이미지 장차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카메라에 눈을 접근시키지 않아도 피사체 관찰이 용이한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피사체상을 결상하는 파인더 광학계와; 상기 파인더 광학계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그에 해당하는 피사체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출력되는 피사체 신호를 처리하여 원래의 영상으로 재현시키는 가상 이미지 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부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부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의 구성은, 카메라에 장착되어 피사체를 결상시키는 파인더 광학계(20)와, 상기 파인더 광학계(20)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시켜 그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30)와, 상기 촬상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원래의 영상으로 재현시키는 가상 아미지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인더 광학계(20)는 카메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파인더 광학계가 사용가능하며,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식 파인더 즉,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이용하는 파인더 광학계(20)가 사용된다.
이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20)는 카메라 렌즈뒤에 장착되어,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21)와, 상기 미러(21)에 의해 반사된 빛을 굴절시켜 정립 정상을 형성하는 펜타 프리즘(22)과, 상기 펜타 프리즘(22)에 의해 형성된 정립 정상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군(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촬상부(30)는 파인더 광학계(20)의 상측 즉, 상기 결상 렌즈군(23)의 뒤에 장착된 상기 촬상부(30)는 시시디(CCD:Charge Coupled Device)로 이루어지나, 상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상 이미지부(40)는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에이치엠디(HMD: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 명명함)를 사용하였으나, 상기에 국한되지 않고 파인더 광학계(20)를 통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확대시켜 용이하게 볼 수 있는 모든 표시 장치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에서는 카메라 파인더 광학계를 통하여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촬상소자를 통하여 촬상시킨 다음, 촬상된 영상 신호를 커넥터를 통하여 가상 이미지부(40)로 전송하여 재현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상 이미지부(40)인 HMD(40)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면 해당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필름에 찍히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HMD(40)를 착용한다.
사용자가 HMD(40)를 착용한 다음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어 도시하지 않은 렌즈 덮개가 열려져 촬영 준비가 완료되면,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이 카메라렌즈(12)로 입사된다.
카메라 렌즈(12)에 의해 결상된 빛은 파인더 광학계(20)로 입사되어 촬상부(30)에 촬상된다.
즉, 카메라 렌즈(12)를 통하여 결상된 피사체 상은 카메라 렌즈(12)뒤에 45°정도 기울어져 장착된 미러(21)에 의하여 반사되어 펜타 프리즘(22)으로 입사된다.
상기 펜타 프리즘(22)은 입사되는 피사체상을 굴절시켜 정립 정상 즉 거꾸로 되지 않고 좌우 상하가 바른 상을 형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펜타 프리즘(22)에 의하여 정립 정상으로 형성된 피사체 상은 결상 렌즈군(23)을 통하여 촬상부(30)에 촬상되고, 상기 촬상부(30)는 파인더 광학계(20)를 통하여 촬상된 피사체 상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가상 이미지부(40) 즉, HMD(40)로 출력한다.
상기 촬상부(30)에 촬상된 피사체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는 별도의 커넥터를 통하여 카메라(1)와 분리되어 있는 HMD(40)로 입력된다.
상기 HMD(40)로 입력된 신호는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LCD()로 입력되고, 상기 LCD(41,42)는 입력된 신호에 따른 해당 영상을 광학계(43)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앞에 허상인 화면이 발생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카메라의 파인더 광학계(20)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 상이 HMD(40)를 통하여 확대 재현됨으로써,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피사체가 필름에 찍히는 범위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인더 시스템을 카메라이외에도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피사체를 촬상하여 스크린상에 투영시키는 액정 프로젝터(projector)(50)에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액정 프로젝터(50)에 의하여 촬상되고 처리된 영상 신호를 HMD(40)로 전송시켜 원래의 영상으로 확대 재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직접적이고 정확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인더 광학계를 통하여 촬상된 피사체상을 별도의 가상 이미지 장치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카메라에 눈을 접근시키지 않아도 피사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확대된 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사체를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영상을 재현시키는 모든 분야에 사용 가능하다.

Claims (6)

  1. 피사체상을 결상하는 파인더 광학계와;
    상기 파인더 광학계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그에 해당하는 피사체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출력되는 피사체 신호를 처리하여 원래의 영상으로 재현시키는 가상 이미지 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인더 광학계는 카메라에 장착되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인더 광학계는,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와;
    상기 미러에 의해 반사된 빛을 굴절시켜 정립 정상을 형성하는 펜타 프리즘과;
    상기 펜타 프리즘에 의해 형성된 정립 정상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상 수단은 카메라에 장착된 시시디로 이루어지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상 수단과 상기 가상 이미지 처리 수단을 연결시키는 별도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상 이미지 처리 수단은,
    HMD로 이루어지는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KR1019960062284A 1996-12-06 1996-12-06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KR19980044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284A KR19980044234A (ko) 1996-12-06 1996-12-06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284A KR19980044234A (ko) 1996-12-06 1996-12-06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234A true KR19980044234A (ko) 1998-09-05

Family

ID=6647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284A KR19980044234A (ko) 1996-12-06 1996-12-06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2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6625B2 (ja) 映像観察装置及びカメラ及び映像観察システム
US5164751A (en) Means for instantaneous review of photographic pictures
JP4190039B2 (ja) 電子カメラ
KR20050031355A (ko)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이미지 캡쳐링이 가능한 디지털이미지 캡쳐링 장치
JPH01185622A (ja)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H09102899A (ja) 顕微鏡用ビデオカメラ及び顕微鏡用ビデオ装置
JP7178126B1 (ja) 頭部装着型ルーペ
EP1056270A2 (en) Digital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via an optical viewfinder
KR20000024767A (ko) 입체영상 촬영장치용 어댑터
US5164834A (en) Camera having a liquid crystal view finder
KR19980044234A (ko) 가상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
JP2006011025A (ja) 電子カメラ
JP2006262504A (ja) 電子カメラ
US709557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1324741A (ja) 撮像装置
JPH07140524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装置
KR200155733Y1 (ko)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KR100257333B1 (ko) 입체디지탈스틸카메라
JP2011109276A (ja) カメラファインダ、撮影装置および遠隔作業支援システム
KR0133642B1 (ko) 캠코더의 수동 촛점 조절장치
JP3788675B2 (ja) 立体像撮影装置及び光学アダプター装置
KR0132873B1 (ko) 카메라
JP3084030U (ja) ディジタル画像保存機能を具えた双眼鏡
JPH0349482A (ja) ファインダー表示装置
KR100396642B1 (ko) 캠코더 겸용엘시디 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