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436A -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2436A KR19980042436A KR1019970060073A KR19970060073A KR19980042436A KR 19980042436 A KR19980042436 A KR 19980042436A KR 1019970060073 A KR1019970060073 A KR 1019970060073A KR 19970060073 A KR19970060073 A KR 19970060073A KR 19980042436 A KR19980042436 A KR 199800424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insulating
- insulating layer
- lid
- container
-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내용기와 외용기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제 이중벽 용기의 상기 간격 내에, 이중벽 구조 없이 양벽 간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되는 합성수지제의 단열층체를 수용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 용기의 간격 내에 수용된 상기 단열층체를 당해 이중벽 용기에 변위 불가능하게 보지시키고, 당해 단열층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열층체 보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용기는, 도금막의 형성이 불필요하고 단열 성능이 높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더욱이 합성수지의 회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용기라든가 뚜껑을 사용할 때 흔들리는 소리의 발생을 해소시키며, 생산 리듬의 흐트러짐이 없어 생산관리라든가 품질관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온병, 쿨러 박스, 아이스 박스, 단열 컵, 보온 도시락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와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된 단열층을 끼워 넣은 이중벽 구조를 갖는 단열층체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를 내외 용기 또는 뚜껑의 상하면 벽의 공간층 내에 보지시켜,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가 공간층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와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제안되어 온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로서는, 내용기와 외용기를 합성수지 재료로 성형하여 내용기를 외용기내에 공간부를 두고 수용시키고 이 공간부에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에서 적어도 한 종류의 기체를 봉입한 단열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는 기체 장벽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용기의 외면이라든가 외용기의 내면에 도금막을 형성하여 왔다.
이와 같은 도금막의 형성에 있어서, 도금막을 직접 형성할 수 있는 수지의 경우는 내용기의 내면이라든가 외용기의 외면 및 내외 용기의 접합면에 도금이 부착되지 않도록 마스킹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마스킹은 그 형성 위치 등에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므로 마스킹 비용이 높게 되는 동시에, 마스킹 후 전기 도금 등의 비용도 높게 된다. 또 마스킹 형성에 있어서는, 마스킹 도료의 미부착 부분이라든가 박리된 장소에 도금막이 부착하여 외관이 불량하게 되는 외에도, 마스킹 도료의 안전면에서의 관리라든가 수지에 밀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여, 비용 면이라든가 설계의 자유도 및 내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도금막을 직접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지의 경우에는, 도금막을 형성하기 위해 ABS 도료 등의 도포에 의한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여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도금막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수지가 한정되어 버리고, 합성수지의 강성이라든가 내알칼리성 등의 기능을 일부 희생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금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시, 폐기시 재활용에 합성수지를 회수할 수 없어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되어 왔다.
또한, 단열 용기를 형성할 때 기체 장벽성이 높은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그들 수지의 대부분은 흡습성이 높은데 흡습시 본래의 기체 장벽성이 열화되고 필요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원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고 흡습성이 높은 합성수지가 흡습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열화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금막의 형성이 불필요하고 단열 성능이 높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낮으며, 합성수지의 회수가 용이한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기라든가 뚜껑을 사용할 경우 흔들리는 소리의 발생을 해소하고, 생산 리듬의 흐트러짐이 없어 생산 관리라든가 품질 관리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1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제 1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2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제 2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3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4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제 4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5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0은 제 5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6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는 제 6 형태의 단열 용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1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제 1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2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6은 제 2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3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8은 제 3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4 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제 이중벽 용기의 상기 간격 내에, 이중벽 구조 없이 양 벽간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시켜 되는 합성수지제의 단열층체를 수용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 용기의 간격 내에 수용된 상기 단열층체를 당해 이중벽 용기에 변위 불가능하게 보지시켜, 당해 단열층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열층체 보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은, 상면벽과 하면벽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제 이중벽 뚜껑의 상기 간격 내에, 이중벽 구조 없이 양 벽간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시켜 되는 합성수지제의 뚜껑용 단열층체를 수용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 뚜껑의 간격 내에 수용된 상기 단열층체를 당해 이중벽 뚜껑에 변위 불가능하게 보지시켜, 당해 뚜껑용 단열층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층체 보지 수단 및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단열층체나 뚜껑용 단열층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용기나 뚜껑을 사용할 경우 흔들리는 소리의 발생을 해소하는 동시에, 단열층체나 뚜껑용 단열층체의 외용기나 상면벽에 대한 위치 결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리듬(제작 간격의 일정성)의 흐트러짐을 없애고 생산 관리라든가 품질 관리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외용기의 저부 내면에 상호 접촉하도록 설치된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고,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하면벽의 저부 내면에 상호 접촉하도록 설치된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외용기의 저부 내면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평면부와,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외용기의 저부 내면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평면부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하면벽의 저부 내면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평면부와,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상기 하면벽의 저부 내면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평면부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단열층체의 저면 또는 측면부와 외용기 내측의 저면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는 수직부 또는 상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면 또는 측면부와 하면벽 내측의 저면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는 수직부 또는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넓어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내용기 외면의 저부로부터 각부(角部)의 어느 것에 설치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당해 돌기의 돌출량을, 내외 용기 사이에 단열층체를 끼워 당해 내외 용기의 단부 동자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돌기가 당해 단열층체에 접촉하고 접촉부분의 변형량이 탄성 변형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상면벽 외면의 저부로부터 각부(角部)의 어느 것에 설치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당해 돌기의 돌출량을, 상하면벽 사이에 뚜껑용 단열층체를 끼워 당해 상하면 벽의 단부 동자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돌기가 당해 뚜껑용 단열층체에 접촉하고 접촉부분의 변형량이 탄성 변형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 단열층체 보지수단은, 이중벽 용기와 단열층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가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수단은, 이중벽 뚜껑과 뚜껑용 단열층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가 좋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에서는, 합성수지제 내용기를 합성수지제 외용기 내에 간격을 두고 수용하여 일체로 성형시켜 되는 이중벽 용기의 상기 간격 내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기체 충전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의 단열층체를 보지하여 되는 것으로, 단열층체를 내외 용기에 보호할 수 있고 단열 성능을 장기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뚜껑에서는, 합성수지제 상면벽과 합성수지제 하면벽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일체로 성형시켜 되는 이중벽 뚜껑의 상기 간격 내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기체 충전층을 형성하여 되는 합성수지제의 뚜껑용 단열층체를 보지하여 되는 것으로, 뚜껑용 단열층체를 상하면 벽에서 보호할 수 있고 단열 성능을 장기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용기 및 단열 뚜껑은, 도금막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단열 용기와 단열 뚜껑의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 용기 또는 단열 뚜껑의 형성에 사용된 합성수지라든가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사용된 금속박의 회수가 용이하여 자원 재활용에 부합될 수 있다. 또한, 단열층체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의 단열층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함으로써 단열층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단열 용기 또는 단열 뚜껑을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할 때에 용기 내부의 단열층체 및 뚜껑 내부의 뚜껑용 단열층체가 흔들림이 없어 사용자에 불쾌감 또는 불안감을 주는 일이 전혀 없으며, 금형상 특수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상 가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 값싸고 사용하기 좋은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이하, 단열 용기라 한다)와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이하, 단열 뚜껑이라 한다)에서는, 단열층체와 뚜껑용 단열층체가 배치되고 이들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열층체 보지 수단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 또는 단열 뚜껑에 단열층체 보지 수단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을 설치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내외 용기 사이의 공간층에 단열층체를 배치한 4 중벽 구조의 용기라든가 상하면 벽 사이의 공간층에 뚜껑용 단열층체를 배치한 4 중벽 구조의 뚜껑에 있어서, 흔들림 방지 대책을 세우지 않는 경우에는 단열층체 내외 용기라든가 상하면 벽의 공간층 내에서 흔들림이 있는 것을 보았다. 즉, 흔들림 방지 대책을 세우지 않는 경우에는 세정이라든가 실제 사용에서 사용자가 용기라든가 뚜껑을 흔들 때 단열층체가 공간층 내에서 움직이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기나 뚜껑이 부서지는 것은 아닌가 또는 불량품은 아닌가 하여 불안하게 되는 일이 있다. 특히 실수로 용기라든가 뚜껑을 떨어뜨린 후 등에는 정상적인 상태인가를 판단하지 않고 사용을 중지하는 일이 생길 우려도 있다.
내부의 단열층체에 흔들림 방지 대책을 세우는 경우, 예를 들면 단열층체의 외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내외 용기라든가 상하면 벽의 공간층 측과 접착시켜 고정함으로써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가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 경우에는, 양면 테이프에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를 장기간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일이 곤란하여 사용중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가 양면 테이프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정상적인 상태인가 판단하지 않고 사용을 중단하는 일이 있다.
또한, 단열층체라든가 두껑용 단열층체의 흔들림 방지 대책이 채택되지 않는 경우는 제조 공정에도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단열층체의 외용기에 대한 위치 결정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 또한 뚜껑용 단열층체의 상면벽에 대한 위치 결정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상태로 수납되는 것인지 아닌지 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제조공정에 있어서 생산 리듬(제작 간격의 일정성)의 개인차가 발생하는 등, 동일 작업원이라도 생산 리듬의 벗어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품질관리에도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단열층체가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단열층체와 내외 용기와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거나, 또는 뚜껑에도 뚜껑용 단열층체와 상하면 벽과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① 합성수지의 롯트 간 또는 계절변화에 따른 성형후 수지의 수축율 어긋남이 성형품으로 흡수되지 않고 단열층체의 외경이 외용기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뚜껑에서도 뚜껑용 단열층체의 외경이 상면벽의 내경보다 크게 되는 경우가 있어, 단열층체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를 내외 용기 또는 상하면 벽 간에 수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② 단열층체를 외용기에 수납하거나 또는 뚜껑용 단열층체를 상면벽에 수납하고 그 위로부터 내용기라든가 하면벽을 덮고 내외 용기라든가 상하면벽의 단부를 합쳐서 내외 용기의 단부라든가 상하면벽의 단부를 진동 용착법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가 고정되기 어렵게 되어 내외 용기의 단부라든가 상하면벽의 단부가 단열층체 내외벽체의 단부 접합부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 상하면벽의 단부 접합부를 끼워 넣은 상태로 진동 용착되는 일이 있고,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의 접합부가 변형되어 균열이나 깨짐이 발생하여 단열 성능의 불량을 야기하는 일이 있다. 또한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의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변형의 비율이 작아지지만, 용착시 내용기라든가 하면벽을 덮어 내외 용기의 단부라든가 상하면벽의 단부를 용착할 경우 내용기라든가 하면벽의 수직 방향 누름에 대하여 단열층체라든가 뚜껑용 단열층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상으로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하여, 진동 용착시 마찰력이 작게 되기 때문에 발열량이 소정량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용착 불량으로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 단열층체 보지 수단,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1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형태에서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1은 사발 모양 또는 주발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단열 용기 1은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내용기 2 및 외용기 3과, 이들 용기 사이의 간격 4에 설치되는 이중벽 구조로 되는 단열층체 11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층체 11은, 내용기 2의 외면에 연하는 형상의 내벽체 12와, 외용기 3의 내면에 연하는 형상의 외벽체 13으로 되고, 이들 내벽체 12와 외벽체 13 사이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가 봉입되어 있다. 이들 내벽체 12와 외벽체 13은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성형하는 등 적절한 성형 수단에 의해 제작된다.
외벽체 13의 저부에는 개공부 13d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외측에 돌출된 동심원상의 오목부 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13b는 개공부 13d를 막는 봉지판 24를 끼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외벽체 13의 저부 중앙부 근방의 두께가 다른 부위와 동등하게 되도록 이 오목부 13b 와 대응하여 외벽체 13의 내면측 (단열층측)에 볼록부 13c가 개구부 13d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벽체 13의 저부 중앙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와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외벽체 13의 저부 중앙부 강도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오목부 13b는 봉지판 24를 끼워 맞춰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 13b의 깊이는 내외벽체와 동질의 수지로 형성된 봉지판 24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열층체 11을 조립할 때, 단열층체 11의 저부를 평활하게 할 수 있고 단열층체 11을 내외 용기 2, 3의 간격 4 내에 보지시킬 때 단열층체 11의 저부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을 밀착시킬 수 잇다.
상기 개공부 13d는, 외벽체 13의 저부에 설치됨으로써 단열층체 11의 제조공정에서 내외벽체를 접합하여 이중벽체로 한 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배출 및 도입공으로 되고, 기체 봉입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봉지되고 있다. 이 개공부 13d의 구멍 직경은 접착제를 사용한 봉지 공정에서 접착제가 수직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0.1 내지 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예에는 중심에 개공부 13d가 형성된 오목부 13b를 외벽체 13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대신에 내벽체 12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러나, 제조 공정의 편의상, 통상적으로 외벽체 13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다.
내벽체 12와 외벽체 13의 성형에는 각각 기체장벽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료 (이하, 기체장벽성이 높은 수지로 칭한다)는, 구체적으로 필름의 기체투과율 (ASTM D 1434-58)이 O2, N2, CO2에 대하여 1.0 g/m2/24 hr/atm 이하인 합성수지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에틸렌 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각종 수지 중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내외벽체 12, 13을 상기 기체장벽성이 높은 수지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내벽체 12의 외면 및 내벽체 13의 내면에 전기 도금 등의 금속 피막을 형성하지 않고도 높은 기체 장벽성을 구비한 단열층체 1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벽체 12의 외면에는 복사방지재 23이 배설된다. 이 경우 외벽체 13의 내면에도 복사방지재 23과 마찬가지 복사방지재를 배치하여도 좋다. 복사방지재 23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동박, 금속증착 테이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스테인레스박, 은박, 종이의 양면에 이들 금속박을 취부한 것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복사방지재 23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복사 열전도에 의한 열전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내벽체 12와 외멱체 13은 각각의 단부 12a, 13a에서 진동 용착법, 스핀 용착법, 열판 용착법 등의 용착법으로 접합된다. 이들 용착법에 의하면, 내벽체 12와 외벽체 13에 형성된 이중벽체의 접합부 강도는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높은 기밀성이 얻어지므로, 공간층 14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할 경우 봉입된 저열전도율 기체가 구원 접합부로부터 누설되는 일이 없다.
단열층체 11의 공간층 14에 봉입되는 기체로서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의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체의 열전도율은 크세논 (κ = 0.52 X 10-2W·m-1·K-1; 0 ℃), 크립톤 (κ = 0.87 X 10-2W·m-1·K-1; 0 ℃), 아르곤 (κ = 1.63 X 10-2W·m-1·K-1; 0 ℃)으로, 공기 (κ = 2.41 X 10-2W·m-1·K-1; 0 ℃)보다도 작으며, 이들 기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기체로서 상온에서 대기압 정도 또는 그 이하의 봉입 압력, 즉 80 내지 100 kPa 에서 봉입시킨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는 불활성으로, 환경상 바람직하다. 또한 봉입 압력이 이 범위이면 단열층 20의 단열 성능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동시에 단열층 20과 외부와의 압력차가 작기 때문에 단열층체 11에 압력차에 따른 외압이 가해져 오목해진다든가 팽창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열층체 11을 평면벽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단열층체 11은 내용기 2와 외용기 3으로 형성된 간격 4에 보지되어, 내외 용기 단부 2a, 3a를 진동 용착법, 스핀 용착법, 열판 용착법 등의 용착법으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단열 용기가 얻어진다.
내용기 2와 외용기 3은, 내열성, 내습성 (내투습도) 및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합성수지 재료 (이하, 내습성수지라 함), 구체적으로는 투습도가 JIS Z 0280에 준하여, 온도 40 ℃, 상대습도 90 %의 조건하에서 50 g/m2/24hr 이하이고 굴곡 탄성율 (ASTM D790)이 10000 kg/cm2이상 및/또는 아이조드 충격강도 (노치 있음) (ASTM M D256)이 5 kg·cm/cm 이상의 합성수지 재료인 폴리프로필렌,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 ABS, 폴리스티렌, AS,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아미도이미드 등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이와 같이 내외 용기 2, 3을 상기 내습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면, 단열층체 11을 내외 용기 2, 3의 간격 4에 수용하여 내외 용기 단부 2a, 3a 를 상기 용착법으로 접합함으로써 단열 용기 1을 조립할 때, 단열 용기 1을 내열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고 기체장벽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된 단열층체 11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층체 11을 내외 용기 2, 3의 간격 4에 보지시켜 내외 용기 단부 2a, 3a를 용착할 경우,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위치 결정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생산 리듬의 어긋남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의 저벽부 13e의 주변부 15의 외면에 평면부 16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용기 3의 저벽부 3b의 주변부 5의 내면에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16과 서로 면접촉하는 평면부 6을 형성하였다.
이 평면부 16, 6은 단열 용기 1을 정치할 때 정치면과 평행한 수평면이어도 좋고 약간 경사지게 되어도 좋다.
이 평면부 16, 6은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원주 방향의 위치 결정을 묻지 않는 경우 원주변부 15, 5의 전 원주에 걸쳐 형성된다.
평면부의 원주 방향의 위치 결정을 묻는 경우는, 단열층체 11과 외용기 3의 평면부 16, 6의 원주 방향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일정 구간마다 형성하고, 평면부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은 외용기 3의 경우는 한 단 높게 되도록 볼록부를 형성하고 단열층체 11의 경우는 외용기 3의 한 단 높게 되지 않은 부분에 합쳐지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저부벽 13e, 3b의 원주변부 15, 5에 원주 방향으로 180 도 비켜 2 개소의 평면부를 형성하거나, 원주 방향으로 120 도씩 비켜 3 개소, 또는 원주 방향으로 90 도씩 비켜 4 개소의 평면부를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외용기 3과 단열층체 11에 평면부 6, 1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면, 외용기 3의 평면부 6에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16을 확실히 면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직경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의 생산 리듬의 어긋남이 감소한다. 또한,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단열층체 11의 내벽체 12의 외면과 내용기 2의 외면과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가 없게 되도록 하면, 단열층체 11을 외용기 3에 수용한 후 단열층체 11의 내벽체 12의 내면을 내용기 2의 외면으로 덮고 내외 용기 단부 2a, 3a를 상기 용착법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 단열층체 11의 내벽체 12의 내면에 걸리는 단위 면적당의 하중을 거의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단열층체 11의 변형이라든가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층체 11의 저벽부 13e 원주변의 두께는, 측벽부 13f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된다. 또한, 외용기 3의 저벽부 3b의 원주변부 5로부터 상방에는 측벽부 3c가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내용기 2의 외면에 단열층체 11을 누르는 밀착돌기 17를 형성하여,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 외면을 외용기 3의 내면에 눌러 붙여 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밀착돌기 17은 내용기 2의 외면에 내벽체 12의 내면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적절히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내용기 2의 외면에, 내용기 저벽부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으로 돌출한 환상, 단속도상(斷續島狀), 도트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때,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과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고, 내외 용기 2, 3과 단열층체 11과의 직경 방향 클리어런스는 어느 정도 크게 한다. 한편 밀착돌기 17의 높이를,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 보다 약간 높게 형성하면, 밀착 돌기 17의 누름에 의한 단열층체 11의 상하 방향, 및 직경 방향의 변위를 탄성 변형 내에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층체 11의 상하 방향의 변위를 직경 방향의 변형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열층체 11에 깨짐이나 변형이 생기는 일이 없이,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밀착 돌기 17을 설치한 경우 단열층체 11의 내벽체 12의 내면과 내용기 2의 외면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내용기 2로부터 내용기 12로 열전도를 억제할 수 있어 보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앞의 제 1 형태의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예에서는 밀착 돌기 17 대신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18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로 형성된 간격에 이 간격 이상의 두께를 갖는 탄성체 18을 1 개 이상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간격 4 내에서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탄성체 18은 내용기 2와 내벽체 12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고 또한 마찰력이 있기 때문에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에 적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2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형태에서는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의 측벽부 13f의 하부 외면에 외벽체 수직부 19를 설치하는 동시에, 외용기 3의 측벽부 3c의 하부 내면에 외용기 수직부 7을 설치하여, 외벽체 수직부 19가 외용기 수직부 7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형태를 보여준다.
외벽체 13의 저벽부 13e의 원주변부 15의 외면에는 평면부 16이 형성되고, 외용기 3의 저벽부 3b의 원주변부 5의 내면에는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16과 면접촉하는 평면부 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 16, 6은 단열 용기 1을 정치할 때 정치면과 평행한 수평면이어도 좋고 약간 경사져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외벽체 수직부 19가 측벽부의 하부에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은 외용기 수직부 7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단열층체 11을 외용기 3에 수용할 때 외벽체 수직부 19를 외용기 수직부 7에 끼워 맞출 수 있고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16과 외용기 3의 수평부 6과의 확실한 면접촉이 가능하게 되므로,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단열층체 11을 외용기에 수용할 때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수직부 19가 외용기 3의 내용기 수직부 7에 끼워 맞춰지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눈으로 단열층체 11이 외용기 3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검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층체 11이 경사진 상태로 외용기 3에 수용된 불량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용기 2의 외면에는, 단열층체 11을 누르는 밀착 돌기 17을 적절히 이격시켜 복수개 형성하여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의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이 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내용기 2의 외면에 내용기 2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으로 돌출한 환상, 단속도상, 도트상으로 돌출한 환상 립상의 밀착돌기 17을 형성하여도 좋다.
도 5는 앞서 제 2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데, 이 예에서는 밀착 돌기 17 대신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18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3 형태를 나타내는데, 본 형태에서는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측벽부 13f의 하부 외면에, 측벽부 하부의 외경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점차 감소시킨 외벽체 경사부 20을 설치하는 동시에, 외용기 3의 측벽부 3c 하부 내면에 당해 측벽부 하부의 내경을 하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점차 감소시킨 외용기 경사부 8을 설치하고, 외벽체 경사부 20을 외용기 경사부 8에 강제로 끼워 맞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외벽체 저벽부 13e 원주변부 15의 외면에는 평면부 16이 형성되고 외용기 저벽부 3b의 원주변부 3 내면에는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16과 면접촉하는 평면부 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 16, 6은 단열 용기 1을 정치할 때 정치면과 평행한 수평면이어도 좋고 약간 경사지게 되어 있어도 좋다.
단열층체 11에 설치한 외벽체 경사부 20 상단의 외경은, 외벽체 경사부 20 하단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외용기 경사부 8 상단의 내경은 외용기 경사부 8 하단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벽체 경사부 20 상단의 외경은 외용기 경사부 8 상단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단열층체 11을 외용기 3에 수용할 경우 외벽체 13의 외벽체 경사부 20을 외용기 경사부 8에 강제로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열층체 11의 저벽부 13e의 평면부 16을 외용기 3의 저벽부 3b의 평면부 6과 확실히 면접촉시킬 수 있고 직경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단열층체 11을 외용기 3에 수용할 때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경사부 20이 외용기 3의 외용기 경사부 8에 끼워 맞춰지는 경우에는 눈으로 단열층체 11의 경사를 검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층체 11을 보다 확실히 외용기 3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 또는 도 4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밀착 돌기 17을 내용기 2의 외면에 적절히 격리시켜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의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을 밀착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내용기 2의 외면에 내용기 2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으로 돌출하는 환상, 단속도상, 도트 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제 3 형태에 의한 단열 용기에 있어서, 도 3 또는 도 5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18을 1 개 이상 배치하여도 좋고, 이와 같이 밀착 돌기 17이라든가 탄성체 18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4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형태에서는 외용기 저벽부 3b의 원주변부 5 내면에 평면부 6을 설치하고 이 평면부 6과 접하는 돌기 21을 단열층체 11이 외벽체 저벽부 13e의 원주변부 15 외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평면부 6은 단열 용기 1을 정치한 때 정치면과 평행한 수평면이어도 좋고 약간 경사지게 되어도 좋다.
돌기 21은 외용기 3의 평면부 6에 접하는 동시에, 측벽부 3c의 하부에도 계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돌기 21은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에 설치된 저벽부 13e의 원주변부 15 외면에 저벽부 13e의 중심에서 동심원상으로 복수개 형성되거나, 또는 동심원상의 환상 립 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기 21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열층체 11과 내용기 2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가 없게 되도록 단열층체 11과 내용기 2를 형성하면, 단열층체 11을 내용기 2에서 균일하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고 내용기 2에 의한 단열층체 11의 높이 방향 누름을 효과적으로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내용기 2의 외면에는 단열층체 11을 누르는 밀착 돌기 17을 적절히 이격시킨 상태로 복수개 형성하여,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의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을 밀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내용기 2의 외면에 내용기 2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상으로 돌출하는 환상, 단속도상, 도트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8은 앞의 제 4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예에서는 밀착 돌기 17 대신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18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착 돌기 17을 형성한다든가 탄성체 18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5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형태에서는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에 설치된 저벽부 13e의 원주변부 15 외면에 평면부 22를 설치하고, 이 평면부 22와 접하는 돌기 9를 외용기 저벽부 3b의 원주변부 5 내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돌기 9는 외용기 저벽부 3b의 원주변부 5 내면에 저벽부 3b의 중심에서 동심원상으로 복수개 형성되거나, 또는 저벽부 3b의 중심에서 동심원상의 환상 립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기 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되고 단열층체의 경사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단열층체 11과 내용기 2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를 없애도록 단열층체 11과 내용기 2를 형성하면, 단열층체 11을 내용기 2에서 균일하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높이 방향의 누름에 의해 효과적으로 단열층체 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22를 갖는 외벽체 저벽부 13e의 원주변부 15의 두께는 저벽부 13e의 두께라든가 측벽부 13f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된다.
단열층체 11을 외용기 3에 수납할 경우 단열층체 11의 평면부 22가 외용기 3의 돌기와 접하지 않으면 작업자가 단열층체 11의 경사를 눈으로 검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층체 11의 외용기 3에 대한 원주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내용기 2의 외면에는 단열층체 11을 누르는 밀착 돌기 17을 형성하여, 단열층체 11의 외벽체 13의 외면과 외용기 3의 내면을 밀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은 앞서 제 5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데, 이 예에서는 밀착 돌기 17 대신 내용기 2와 단열층체 1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18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의 제 6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 31은 앞서 제 1 형태에 따른 단열 용기와 동일하고 합성수지 재료, 특히 내습성 수지로 되는 내용기 32와 외용기 33이 간격을 두고 각각의 단부 32a, 33a에서 접합, 일체화되고 이들 내외 용기 32, 33 사이에, 합성수지 재료, 특히 기체 장벽성이 높은 수지로 되는 내벽체 42와 외벽체 43이 공간층 34를 두고 각각의 단부 42a, 43a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되는 단열층체 41을 배치하여 되며, 또한 당해 단열층체 41의 내외벽체 42, 43 사이의 간격에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으로 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하여 단열층 35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체 43의 저부에는 봉지판 48을 끼워 맞추기 위하여 상기 단열층체에 오목한 오목부 43b가 형성되고, 당해 오목부 43b의 중앙부에는 구멍 직경 0.1 내지 3 mm의 개공 43c가 천설되어 있다. 이 개공 43c는 오목부 43b내에 끼워 맞춰지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로 접착된 봉지판 48에 의해 완전히 봉지되어 있다. 또한 단열층체 41의 내벽체 42의 내면 측에는 알루미늄박, 동박 등으로 되는 복사방지재 49가 배설되어 있다.
이 단열 용기 31에 있어서는, 외용기 33의 어깨부위 내면에 간격 34 측에서 돌출하는 평면부 36을 형성하는 동시에 단열층체 41의 어깨부위 외면에 외용기 33의 평면부 36과 계합하는 평면부 4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내용기 32와 단열층체 4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47을 배치하고 단열층체 41을 외용기 33 내면측에 부세하여, 상기 단열층체 41 측의 평면부 46과 외용기 33 측의 평면부 36과의 밀착 상태가 보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탄성체 47에 대신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5 형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밀착 돌기 17과 동등한 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평면부 46 또는 평면부 36에 돌기를 형성하고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단열층체 41의 직경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외용기 33의 어깨부위에 설치된 평면부와 단열층체 41의 어깨부위에 설치된 평면부 46을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이 단열층체 41과 내용기 32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가 없도록 형성하면, 단열층체 41의 내벽체 42의 내면(상면)은 내용기 32의 외면(하면)에서 눌려질 수 있어 단열층체 41이 흔들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내용기 32와 단열층체 41 사이에 탄성체 47을 배치하고, 내용기 32의 외면에 밀착 돌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열층체 41의 흔들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1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 51은 도 1 내지 도 12에 기재된 단열 용기 1, 31의 개구를 계합 가능하게 덮기 위한 것이다.
이 단열 뚜껑 51은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한 통상 볼록부를 갖는 상면벽 52와 하면벽 53으로 형성되는 간격 54에, 이중벽 구조없이 양벽 간의 공간층 64 내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한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뚜껑용 단열층체 61은 상면벽 52의 내면에 연하는 형상의 상벽체 62와 하면벽 53의 외면에 연하는 형상의 하벽체 63으로 되는 것으로, 이들 상벽체 62와 하벽체 63은 각각 합성수지 재료의 사출성형법 등 주지의 각종 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상벽체 62의 천개부 62e의 중앙에는 봉지판 70을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부 62b가 설치되고, 당해 오목부 62b의중앙에는 개공 62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62b는 원형, 타원형, 각형 등의 여러가지 형상으로 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상으로 하고, 봉지판 70은 그 오목부 62b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한다. 오목부 62b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과 동등한 기계강도를 유지하도록, 상벽체 62의 다른 부분의 두께와 거의 같게 한다. 오목부 62b에 끼워 맞춰 접착하는 봉지판 70은 상하벽체 62, 63과 동질의 수지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오목부 62b의 깊이와 동일하게 하며, 이 봉지판 70을 오목부 62b에 끼워 맞추고 접착할 때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천개부 62e 상면을 평활하게 할 것이 요망된다.
개공 62d는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제조공정에서 상하벽체 62, 63의 원주변을 접합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후 내외벽 간의 간격을 저열전도율 기체로 치환 봉입하기 위한 기체 배출·도입공으로 되고, 저열전도율 기체의 봉입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봉지하고 있다. 이 개공 62d의 구멍 직경은 봉공 처리공정에 사용하는 접착제가 수직 낙하하지 않도록 하려면 0.1 내지 3 mm로 할 것이 요망된다.
상벽체 62와 하벽체 63의 성형에는, 각각 기체장벽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각종 수지 중에서 선택 사용된다. 상하벽체 62, 63을 상기 기체장벽성이 높은 수지로 성형함으로써, 하벽체 63의 상면 및 상벽체 62의 하면에 전기 도금 등의 금속 피막을 성형하지 않아도 높은 기체장벽성을 구비한 뚜껑용 단열층체 61로 할 수 있다.
하벽체 63의 상면에는 복사방지재 69가 배설된다. 이 경우 상벽체 62의 하면에도 복사방지재 69와 마찬가지 복사방지재를 배치하여도 좋다. 복사방지재 69로서는, 알루미늄박, 동박, 금속증착 테이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스테인레스박, 은박, 종이의 양면에 이들 금속박을 취부한 것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복사방지재 69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복사 열전도에 의한 열전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벽체 62와 하벽체 63은 각각의 단부 62a, 63a에서 진동 용착법, 스핀 용착법, 열판 용착법 등의 용착법으로 접합된다. 이들 용착법에 의하면, 상벽체 62와 하벽체 63으로 형성된 이중벽체의 접합부 강도가 높게 된다. 또한, 높은 기밀성이 얻어지므로, 공간층 64에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할 경우 봉입된 저열전도율 기체가 접합부로부터 누설되는 일이 없다.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공간층 64에 봉입되는 기체로서는 크세논, 크립톤, 아르곤 중의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기체로서 상온에서 대기압 정도 또는 그 이하의 봉입 압력, 즉 80 내지 100 kPa 에서 봉입시킨다. 이들 저열전도율 기체는 불활성으로, 환경상 바람직하다. 또한 봉입 압력이 이 범위이면, 단열층 71의 단열 성능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동시에 단열층 71과 외부와의 압력차가 적기 때문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에 압력차에 따른 외압이 가해져 오목해진다든가 팽창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평면벽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뚜껑용 단열층체 61은 상면벽 52와 하면벽 53으로 형성된 간격 54에 보지되고, 상하면벽 단부 62a, 63a를 진동 용착법, 스핀 용착법, 열판 용착법 등의 용착법으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단열 뚜껑 51이 얻어진다.
상면벽 52와 하면벽 53은, 내열성, 내습성(내투습도) 및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내습성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내열내습성 폴리카보네이트, ABS, 폴리스티렌, AS,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아미도이미드 등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하면벽 52, 53을 상기 내습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면,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상하면벽 52, 53의 간격 54에 수용하고 상하면벽 단부 52a, 53a를 상기 용착법으로 접합하여 단열 뚜껑 51을 조립할 때, 단열 뚜껑 51을 내열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게 할 수 있고, 기체 장벽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된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보호할 수 있다.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상하면벽 52, 53의 간격 54에 보지시켜 이들의 단부 52a, 53a를 진동 용착기로 용착할 경우, 상면벽 52의 외면을 거의 전면에서 지지하는 하치구에 상면벽 52를 거꾸로 배치하고 상면벽 52의 내면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거꾸로 수용하고, 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면을 하면벽 53의 상면에서 덮어 상하면벽 단부 52a, 53a를 합하고, 이어서 하면벽 53의 하면을 거의 전면에서 지지하는 상치구로 누르고 상하의 치구에 진동을 가하여 진동 용착하는데,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면벽 52에 대한 위치 결정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생산 리듬의 어긋남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면벽 52의 천개부 52b 원주변 근방에 평면부 55를 형성하는 동시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벽체 62에 설치된 천개부 62e의 원주변부 68 근방에 상기 정면벽 52의 평면부 55와 상호 면접촉하는 평면부 65를 형성하였다. 이 평면부 55, 65는 단열 뚜껑 51을 정치할 때 정치면과 평행한 수평면이어도 좋고 약간 경사지게 되어도 좋다.
이 평면부 55, 65는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면벽 52에 대한 원주 방향의 위치 결정을 묻지 않을 경우 원주변부 59, 68의 전 원주에 걸쳐 형성된다.
평면부의 원주 방향의 위치 결정을 묻는 경우에는, 이들 평면부 55, 65의 원주 방향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일정 구간마다 형성하고, 평면부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은 상면벽 52의 경우는 한 단 높게 되도록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벽체 62의 경우는 상면벽의 한 단 높게 되지 않은 부분에 합쳐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천개부 52b, 62e의 원주변부 59, 68에 원주 방향으로 180 도 비켜 2 개소의 평면부를 형성하거나, 원주 방향으로 120 도씩 비켜 3 개소, 또는 원주 방향으로 90 도씩 비켜 4 개소의 평면부를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상면벽 52의 천개부 52b와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천개부 62e에 평면부 55, 65를 형성함으로써, 상면벽 52의 평면부 55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평면부 65를 확실히 면접촉시킬 수 있고,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면벽 52에 대한 직경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의 생산 리듬의 어긋남이 감소한다. 또한, 위치 결정함에 따라,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상면벽 52에 수용한 후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벽체 63의 하면을 하벽체 53의 상면에서 덮고 상하면벽 단부 52a, 53a를 상기 용착법에 의해 접합하는 경우,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벽체 63 하면과 하면벽 53 상면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를 없게 만들면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하면벽 53으로 눌러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벽체 63의 하면에 걸리는 단위 면적당의 하중을 거의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깨짐이라든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평면부 65를 갖는 상벽체 62의 천개부 62e의 원주변부 68의 두께는, 원주변부 68 이외의 천개부 62e의 두께라든가 측벽부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면벽 52의 천개부 52b에 평면부 55를 형성하는 것에 따른 천개부 52b의 원주변부 59의 두께는, 원주변부 59 이외의 천개부 52b의 두께라든가 측벽부의 두께와 거의 동등하게 형성된다.
하면벽 53의 상면에는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누르는 밀착 돌기 56을 형성하여,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벽체 62의 외면과 상면벽 52의 내면이 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밀착돌기 56은 하면벽 53의 상면에 적절히 이격시켜 복수개 형성하여도 좋고, 하면벽 53의 중심에서 동심원 상으로 돌출된 환상, 단속도상, 도트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하면벽 52,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직경 방향 클리어런스를 어느 정도 크게 하고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는 작게 한다. 한편, 밀착 돌기 56의 높이를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높이 방향 클리어런스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면 밀착 돌기 56의 누름에 의한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하 방향 및 직경 방향의 변형이 탄성 변형 범위 내에 들어올 수 있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하 방향의 변형을 직경 방향의 변형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뚜껑용 단열층체 61에 깨짐이라든가 변형이 생기는 일 없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밀착 돌기 56을 설치한 경우,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벽체 63의 하면과 하면벽 53의 외면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하면벽 53으로부터 하벽체 63으로 열 전도를 억제할 수 있어 보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상면벽 52 및 상벽체 62에 평면부 55, 65를 설치하고 밀착 돌기 56을 하면벽 53 상면에 형성하는데, 상면벽 52에 밀착 돌기를 형성하고 하면벽 53과 하벽체 63에 평면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4는 앞서 제 1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내는데, 이 예에서는 밀착 돌기 56 대신 하면벽 53와 뚜껑용 단열층체 6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66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로 형성된 간격에, 이 간격 이상의 두께를 갖는 탄성체 66을 1 개 이상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간격 54 내에서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체 66은 하면벽 53과 하벽체 63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고 또한 마찰력이 있기 때문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2 형태를 나타내는데, 상벽체 62에 설치된 천개부 62e의 원주변부 68 외면에, 평면부 65를 누르는 돌기 57을 상면벽 52에 설치한 천개부 62e의 원주변부 59 내면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평면부 65는 단열 뚜껑 51을 뒤집었을 때 도치면과 평행한 수평면이어도 좋고 약간 경사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뚜껑용 단열층체 61에 평면부 65를 형성하고 상면벽 52의 천개부 52b의 내면에 돌기 5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면벽 52에 대한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돌기 57은 상면벽 52의 천개부 52b의 원주변부 59의 내면에 천개부 52b의중심에서 동심원상으로 돌출된 환상, 단속도상, 도트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누르는 돌기 5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벽체 63의 하면과 하면벽 53의 상면을 밀착시켜,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앞서 제 2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5에 나타낸 단열 뚜껑의 제 2 형태에서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66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 사이에 탄성체 66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동시에, 하면벽 53의 상면과 하벽체 53의 하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면벽 53으로부터 하벽체 63으로 열 전도에 의한 전열 손실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 66 대신 하면벽의 상면 또는 하벽체의 하면에 돌기를 형성하면,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 사이에 탄성체 66을 배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면벽 53으로부터 하벽체 63으로 열 전도에 의한 전열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돌기의 형성에 의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평면부 65를 상면벽 52의 돌기 57에 눌러 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확실히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3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형태에서는 상면벽 52에 설치된 천개부 52b의 원주변부 59 내면에 평면부 55를 형성하고 뚜껑용 단열층체 61에 설치된 천개부 62e의 원주변부 68 외면에 돌기 67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면벽의 천개부 52b의 내면에 평면부 55를 형성하고 뚜껑용 단열층체 61에 돌기 6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면벽 52에 대한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돌기 67은 상벽체 천개부 62e의 원주변부 68 외면에 천개부 62e의 중심에서 동심원상으로 돌출한 환상, 단속도상, 도트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면벽 52의 평면부 55에 접하는 돌기 67을 뚜껑용 단열층체 61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하벽체 63의 하면과 하면벽 53의 상면을 밀착시켜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은 앞서 제 3 형태에 따른 단열 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7에 나타낸 단열 뚜껑의 제 3 형태에서 하면벽 53과 뚜껑용 단열층체 61 사이에 실리콘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등의 탄성체 66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도 16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체 66을 설치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탄성체 66 대신 하면벽의 상면 또는 하벽체의 하면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눌러 붙이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의 제 4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형태에서는 상면벽 52의 통상 볼록부 52f의 내면에 환상의 돌기 58을 형성하고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벽체 62의 통상 볼록부 62f의 내면에 상기 돌기 58과 강제로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 6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뚜껑용 단열층체 61을 상면벽 52에 수용하는 경우,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오목부 67은 상면벽 52의 돌기 58에 강제로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상면벽 52에 대한 직경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잇다. 이 경우 상벽체 62의 상면과 상면벽 52의 하면과의 높이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없게 되도록 하면 뚜껑용 단열층체 61의 흔들림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벽체 62의 통상 볼록부 62f의 외면에 환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면벽 52의 통상 볼록부 52f의 내면에 그 돌기와 강제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면벽 52의 통상 볼록부 52f 및 상벽체 62의 통상 볼록부 62f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역 테이퍼 상의 밑을 잘라낸 구조로 하고 상면벽 52의 통상 볼록부 52f에 상벽체 62의 통상 볼록부 62f를 강제로 끼워맞추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할 때에 용기 내부의 단열층체 및 뚜껑 내부의 뚜껑용 단열층체가 흔들리는 일이 없어 사용자에게 불쾌감 또는 블안감을 주는 일이 없고, 금형상 특수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상에 있어서도 가격 하강을 도모할 수 있어, 값싸고 사용하기 좋은 양질의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 내용기와 외용기가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제 이중벽 용기의 상기 간격 내에, 이중벽 구조 없이 양 벽간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시켜 되는 합성수지제의 단열층체를 수용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에 있어서,상기 이중벽 용기의 간격 내에 수용된 상기 단열층체를 당해 이중벽 용기에 변위 불가능하게 보지시켜, 당해 단열층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열층체 보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상기 외용기의 저부 내면에 상호 접촉하도록 설치된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상기 외용기의 저부 내면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평면부와, 당해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당해 외용기의 저부 내면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평면부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단열층체의 저면 또는 측면부와 상기 외용기 내측의 저면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는 수직부 또는 상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내용기 외면의 저부로부터 각부(角部)의 어느 것에 설치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당해 돌기의 돌출량을, 상기 내외 용기 사이에 상기 단열층체를 끼워 당해 내외 용기의 단부 동자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돌기가 당해 단열층체에 접촉하고 접촉부분의 변형량이 탄성 변형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체 보지수단이, 상기 이중벽 용기와 상기 단열층체 사이에 배설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 상면벽과 하면벽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제 이중벽 뚜껑의 상기 간격 내에, 이중벽 구조 없이 양 벽간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저열전도율 기체를 봉입시켜 되는 합성수지제의 뚜껑용 단열층체를 수용하여 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에 있어서,상기 이중벽 뚜껑의 간격 내에 수용된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를 당해 이중벽 뚜껑에 변위 불가능하게 보지시켜, 당해 뚜껑용 단열층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상기 하면벽의 저부 내면에 상호 접촉하도록 설치된 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상기 하면벽의 저부 내면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 평면부와, 당해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부 외면과 당해 하면벽의 저부 내면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평면부에 접촉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의 저면 또는 측면부와 상기 하면벽 내측의 저면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는 수직부 또는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넓어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 수단이, 상기 상면벽 외면의 저부로부터 각부(角部)의 어느 것에 설치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당해 돌기의 돌출량을, 상기 상하면벽 사이에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를 끼워 당해 상하면 벽의 단부 동자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돌기가 당해 뚜껑용 단열층체에 접촉하고 접촉부분의 변형량이 탄성 변형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보지수단이, 상기 이중벽 뚜껑과 상기 뚜껑용 단열층체 사이에 배설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309768A JP2945334B2 (ja) | 1996-11-20 | 1996-11-20 | 合成樹脂製断熱容器および合成樹脂製断熱蓋 |
JPP08-309768 | 1996-11-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2436A true KR19980042436A (ko) | 1998-08-17 |
KR100280271B1 KR100280271B1 (ko) | 2001-06-01 |
Family
ID=1799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0073A KR100280271B1 (ko) | 1996-11-20 | 1997-11-14 |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0850587A3 (ko) |
JP (1) | JP2945334B2 (ko) |
KR (1) | KR100280271B1 (ko) |
CN (1) | CN1099268C (ko) |
CA (1) | CA2221785C (ko) |
TW (1) | TW49796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46224A1 (en) * | 2000-04-12 | 2003-08-07 | Takafumi Fujii | Heat insulating container |
JP2002364798A (ja) * | 2001-06-06 | 2002-12-1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側壁熱シールド構造 |
WO2010140839A2 (ko) * | 2009-06-02 | 2010-12-09 | Kim Yong Jin | 스스로 발열 되는 그릇 |
KR20100130133A (ko) * | 2009-06-02 | 2010-12-10 | 김용진 | 스스로 발열 되는 그릇 |
JP7329445B2 (ja) * | 2016-10-25 | 2023-08-18 | アラン マーク クローリー | 二重壁容器の改善 |
USD885140S1 (en) | 2019-10-14 | 2020-05-26 | Rigwa Life, LLC | Vacuum insulated bowl |
USD913037S1 (en) | 2019-10-14 | 2021-03-16 | Rigwa Life, LLC | Lid for bow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70366A (en) * | 1922-06-26 | 1923-10-09 | Mantle Lamp Company | Heat-insulated vessel |
JP2920060B2 (ja) * | 1994-02-03 | 1999-07-19 | 日本酸素株式会社 | 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
DE69527275T2 (de) * | 1995-03-28 | 2002-11-14 | Nippon Sanso Corp., Tokio/Tokyo | Isolierbehält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Isolierbehälters |
-
1996
- 1996-11-20 JP JP8309768A patent/JP29453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11-14 KR KR1019970060073A patent/KR1002802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1-18 EP EP97120154A patent/EP0850587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7-11-19 CA CA002221785A patent/CA222178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1-20 TW TW086117356A patent/TW497963B/zh active
- 1997-11-20 CN CN97114351A patent/CN109926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50587A2 (en) | 1998-07-01 |
JPH10146283A (ja) | 1998-06-02 |
CN1099268C (zh) | 2003-01-22 |
CN1189317A (zh) | 1998-08-05 |
JP2945334B2 (ja) | 1999-09-06 |
CA2221785C (en) | 2002-03-12 |
CA2221785A1 (en) | 1998-05-20 |
TW497963B (en) | 2002-08-11 |
KR100280271B1 (ko) | 2001-06-01 |
EP0850587A3 (en) | 2002-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65874B1 (ko) |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뚜껑 | |
US6010027A (en) |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lid | |
US3752347A (en) | Closure for lined vacuum bottle | |
JPH0737267B2 (ja) | プラスチック容器用蓋 | |
KR19980042436A (ko) | 합성수지제 단열 용기 및 합성수지제 단열 뚜껑 | |
EP0793936B1 (en) |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thermally insulated synthetic resin lid | |
WO1996013056A3 (en) | Hermetically sealed hybrid ceramic integrated circuit package | |
JPS6180280U (ko) | ||
JP3185667B2 (ja) | カップ状容器用蓋体 | |
JPH09240718A (ja) | 容器用密閉蓋 | |
JPH08156961A (ja) | 広口容器の蓋 | |
CN221294664U (zh) | 试剂容器及其瓶口封堵组件 | |
KR200144649Y1 (ko)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실린더 어셈브리의 포장구조 | |
JP2598176Y2 (ja) | 液体容器の上蓋 | |
JP2778563B2 (ja) | 保温容器 | |
JPH0451419Y2 (ko) | ||
JP3390699B2 (ja) | 容器口部の固定構造 | |
JPH0341626Y2 (ko) | ||
JPS638380Y2 (ko) | ||
JPS63141178U (ko) | ||
JP2576194Y2 (ja) | 保温容器 | |
JPH0394575U (ko) | ||
JPS6139592B2 (ko) | ||
JPH07215374A (ja) | ペットボトル収納容器 | |
JPH10255600A (ja) | 開閉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