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219U -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219U
KR19980042219U KR2019960055315U KR19960055315U KR19980042219U KR 19980042219 U KR19980042219 U KR 19980042219U KR 2019960055315 U KR2019960055315 U KR 2019960055315U KR 19960055315 U KR19960055315 U KR 19960055315U KR 19980042219 U KR19980042219 U KR 199800422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xhaust gas
pipe
blow
re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5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219U/ko
Publication of KR19980042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21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41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ecirculation passage in relation to the engine, e.g. to cylinder heads, liners, spark plugs or manifold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ecirculation passage in relation to specially adapted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1EGR valve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e.g. with intake valves 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관로를 단순하고, 레이 아웃상의 문제점을 해소하며, 엔진의 개발과정에서 흡기계로의 연결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배기가스, 연료 증발가스 및 블로바이 가스들이 재순환되는 서브 파이프의 포트(3, 4, 5)들이 하나의 재순환 메인 파이프(7)에 연결되도록 하고, 그 재순환 메인 파이프가 드로틀 바디(1) 직후방쪽의 서지탱크(2)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본 고안은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가스, 블로바이 가스 및 연료 증발가스를 드로틀 밸브의 직후방으로 보내 재연소시키는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배기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서 나오는 블로바이 가스 및 연료탱크나 기화기등에서 증발하는 연료증발 가스가 있다.
이중에서,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는 배기가스 재순환(EGR)장치를 통해, 흡기계로 재순환되어 혼합기와 함께 연소실로 공급되므로서, 연소시 최고 연소 온도를 낮추어 NOx를 줄이게 된다.
또한 미연소된 연료가 포함된 블로바이 가스는 크랭크 케이스에서 방출되어 실린더헤드 커버로 모여지고, 오일 세퍼레이터를 통하면서 블로바이 가스와 엔진오일 성분이 분리된 후,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밸브 혹은 브리더(breather) 호스를 통해 흡기 계통으로 공급되고, 연소실로 들어가 혼합기와 함께 연소된다.
또한, 연료 증발가스는 캐니스터라고 불리는 활성탄 재질의 휘발상 가스 포집장치에 포집된 후, 엔진이 작동되는 조건일 때 퍼지제어밸브에 의해, 조금씩 연소실로 보내져 혼합기와 함께 연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자동차 증발가스의 재순환을 위한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드로틀 밸브가 설치된 드로틀 바디(1)의 후방에는 서지탱크(2)가 연결되며, 그 서지탱크(2)에는 배기가스 연결 포트(3), 증발가스 연결 포트(4) 및 블로바이 가스 연결 포트(5)가 각각 형성된다.
도면에서의 미 설명 부호 (6)은 흡기 매니폴드이다.
상술한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배기가스, 증발가스 및 블로바이 가스는 그 재순환 위치에 따라, 혼합기의 공기와 연료 비율을 컨트롤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출가스둘은 통상적으로 드로틀 바디의 직후방에 설치되어, 각 실린더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배출가스들은 각각 별도의 재순환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레이 아웃(lay-out) 상의 설계가 불리하며, 엔진의 개발과정에서 상기 재순환 파이프들의 위치 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고안은 자동차 배출가스들을 하나의 통로를 이용해 재순환시키므로서,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레이아웃상의 설계를 쉽게하며, 개발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서지탱크3, 4, 5 - 포트
7 - 재순환 메인 파이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실현되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를 제안한다.
즉, 본 고안은 배기가스, 연료 증발가스 및 블로바이 가스들이 하나의 재순환 메인 파이프에 모이도록 연결하고, 그 재순환 메인 파이프가 드로틀 바디의 직후방쪽의 서지탱크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2)는 드로틀 바디에 연결되는 서지탱크, (6)은 흡기 매니폴드를 지칭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연결구조는 종래와 달리 배출가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서지탱크(2)로 재순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서지탱크(2)의 드로틀 바디 직후방쪽에 재순환 메인 파이프(7)가 연결된다.
재순환 메인 파이프(7)에는 EGR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배기가스가 서지 파이프를 통해 포트(3)에 연결되고, 캐니스터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 증발가스가 서브파이프를 통해 연결 포트(4)에 연결되며,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블로바이 가스가 서브파이프를 통해 포트(5)에 연결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배기가스, 연료 증발가스 및 블로바이 가스들은 하나의 재순환 메인 파이프(7)로 통합된 후 서지탱크(2)로 공급되고, 혼합기와 함께 각 실린더로 보내져 연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자동차 배출가스들을 하나의 통로로 재순환시키므로,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레이 아웃상의 설계를 쉽게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엔진의 개발과정에서 배출가스의 재순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배출가스의 정확한 제어로 혼합기의 비율을 정확하게 컨트롤 할 있는 효과도 아울러 얻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배기가스, 연료 증발가스 및 블로바이 가스들이 공급되는 서브파이프가 하나의 재순환 메인 파이프에 연결되고, 그 재순환 메인 파이프의 출구가 드로틀 바디의 직후방쪽의 서지탱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KR2019960055315U 1996-12-24 1996-12-24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KR199800422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315U KR1998004221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315U KR1998004221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219U true KR19980042219U (ko) 1998-09-25

Family

ID=5399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315U KR1998004221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2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311B1 (ko) * 2011-06-10 2013-07-24 이정대 배기가스 재순환 출구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481B1 (ko) * 2011-06-10 2013-07-26 이정대 배기가스 재순환 출구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311B1 (ko) * 2011-06-10 2013-07-24 이정대 배기가스 재순환 출구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481B1 (ko) * 2011-06-10 2013-07-26 이정대 배기가스 재순환 출구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244B2 (en) Intake air amount controlling apparatus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6076499A (en) Intake system of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US5201301A (en) Adjustable ambient air filtering system and pollution control device
JPH1182197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5640848A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210113A (en) Vacuum valve for introduction of controlled amounts of air into engine systems
KR19980042219U (ko)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CA1038709A (en) Fuel vaporiz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9980062947A (ko) 자동차 배출가스의 재순환 파이프
US4448164A (en) Intake passage construc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430982A (en) Carbure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087479A (en) Ic engine mixture intake system
JPH0645607Y2 (ja) 車両用過給装置
JPS6126569Y2 (ko)
EP0930431A3 (en) Intak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t least two cylinders
JPS5922247Y2 (ja) 火花点火内燃機関
KR200153737Y1 (ko) 블로 바이 가스 환원 구조
JPS6137816Y2 (ko)
JPS6021499Y2 (ja) エンジンの蒸発ガス回収装置
JPH029081Y2 (ko)
KR100286922B1 (ko) 자동차의블로바이가스환원장치
JPS62223456A (ja) 燃料噴射式内燃機関
KR200153365Y1 (ko)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
KR200166942Y1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JPH0594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