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04A - 아크 확산 접점 장치를 갖는 진공 차단기 - Google Patents

아크 확산 접점 장치를 갖는 진공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04A
KR19980042004A KR1019970057161A KR19970057161A KR19980042004A KR 19980042004 A KR19980042004 A KR 19980042004A KR 1019970057161 A KR1019970057161 A KR 1019970057161A KR 19970057161 A KR19970057161 A KR 19970057161A KR 19980042004 A KR19980042004 A KR 1998004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oil
support member
electrode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219B1 (ko
Inventor
메이요스테펀데이비드
슬레이드폴그라함
슐만마이클블루스
Original Assignee
카스퍼레슬리제이
이튼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퍼레슬리제이, 이튼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스퍼레슬리제이
Publication of KR1998004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01H33/6641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making use of a separate coil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회로 차단기(10)는 차단기(10)의 개방시 칼럼형 모드보다는 오히려 확산 모드로 전기 아크를 유지하도록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코일(14)을 가진다. 충합가능한 디스크형 접점(22, 24)을 갖는 두 전극(12, 16)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에 대하여 축(44)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외부 메카니즘에 의해서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 전극(12, 16)은 접점(22, 24)을 진공화된 밀봉부내에 갖도록 전극(12, 16)을 지지하는 대향 단부 장착부(52 54) 사이에 전기 절연체(48)를 갖는 하우징내에 달려있다. 상기 전극(12, 16)중 하나는 접점(22, 24)중 하나에 부착된 강건한 지지 부재(32)를 포함하고 축(44)을 따라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조립체이다. 코일(14)은 그 길이를 따라 지지 부재(32)둘레를 원주방향으로 감싸며,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여 축방향 자기장을 생성한다. 지지 부재(32)는 저전도성 경로(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슬리브)를 제공하고 코일(14)은 보다 전도성이 좋으며(예를들면, 구리), 내구성있고 값이 저렴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크 확산 접점 장치를 갖는 진공 차단기
본 발명은 전력 분배 회로, 특히 고전력 회로용 보호 차단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점 사이에 형성되는 아크를 확산시킴으로써, 진공중에서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고전류를 차단하는 접점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진공 차단기는 전력 분배 시스템이 분배 재폐기(distribution reclosers), 클래드 스위치 기어(clad switchgear), 탭 절환기(tap changers), 기타 다른 형태의 접촉자에서 회로의 단락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내에 사용된다. 종래의 진공 차단기는 기체 압력이 약 10-6토르인 진공 인벨롭프내에 설치되는 두 종류의 고순도 무기체 금속 접점을 포함한다. 접점은 외부 메카니즘내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전류가 두 차단자 접점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기계적으로 상호 충돌한다. 하나 또는 양 접점은 접점이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차단기가 결합되어 있는 회로를 단락시킬 수 있도록 가동된다. 보통, 접점중 하나는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가동되며, 가동형 접점은 벨로우즈형 접점(the bellows contact)이라고 불리어진다.
전기 아크는 전류가 유동하는 동안 접점이 분리되는 때, 접점 사이에 유도된다. 진공 차단기가 보통 매우 낮은 내부 기체 압력을 가질지라도, 아크는 아크가 유도되는 접점 표면상의 국소적 열점으로부터 증기화된 금속 증기내에서 생성된다. 이온화된 금속 증기는 연속적으로 아크의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며 유용한 표면 주로 접촉 표면 그리고 일반적인 아크의 영역을 둘러싸는 금속 차폐기 상에 응축 또는 도금된다. 차폐기는 하우징 또는 인벨롭프의 내부 표면을 아크로 인하여 금속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놓여진다. 하우징은 세라믹, 유리 또는 기타 등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차단기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호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하우징이 금속 증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폐기는 절연 하우징을 통과하는 전기적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금속 증착을 방지하거나 감소한다.
회로 차단시, 접점 분리는 진공 아크 사이에 수 천 내지 수 백 볼트의 전압 강하를 유도한다. 성공적인 차단에 있어서, 아크 전류가 0으로 강하하는 때, 접촉 표면으로부터의 금속 증기 증발이 감소하며 최종적으로 멈춘다. 그 다음에 인벨롭프에는 잔존 금속 증기가 침착되고 더 이상 금속이 증발되지 않을 때의 매우 저압상태로 빠르게 복귀한다. 차단기의 절연 내력은 접점 사이의 영역에서 자유 금속 이온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에 증가한다. 최종적으로 회로는 차단된다. 내부적으로 실질적인 진공을 통한 물리적 간극에 의해서, 그리고 외부적으로 전극을 이동시키는 인벨로프의 유전 재료에 의해서 회로가 접점 또는 전극이 서로 절연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는 한 차단된다.
진공 차단기의 설계에 있어서 다양한 과제가 있다. 예를들면, 폐쇄되어 있을 때 보통의 정전류는 과도한 열 저항없이 이동되어야 한다. 개방되는 때 아크가 전류가 0으로 평활하게 감소하는 동안 회로 전류를 이동시키도록 접촉부는 충분한 금속 증기를 형성해야만한다. 이것이 전류의 급작스러운 감소가 유도 전압 서지 진입(an inductive voltage surge leading)으로 관련 분배 시스템 및/또는 회로에 결합된 부하 장치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기 때문에 아크 발생을 제거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다루어야할 과제이다.
아크가 교류 전압의 영교점에서 소멸되려면, 교류 전압이 접점에 복귀하는 때 아크가 그 다음 교류 절반 사이클에서 재점화되도록 진공 체적안에 금속 증기가 불충분하게 있어야만 한다. 이들 조건에 부가하여, 차단기 접속부는 바람직하게 광범위한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동력을 부하에 연결 및 탈착용 일반 개폐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차단기에 대해서 실패없이 수회의 운전을 계속하게 해야 한다.
전기 아크를 발생하는 금속 증기 이온은 전자기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개방 접촉부를 통한 유동 전류는 아크를 접촉부의 표면상 주위를 이동할 수 있는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전자기장 세기는 전류 진폭의 함수이지만, 간극내 전류 밀도의 분배는 원주형으로 확산될 수 있는 아크의 특성에 따른다. 확산 아크는 일반적으로 5㎄의 전류에서 진공 차단기의 분리 접점 사이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유형의 아크는 접점 재료에 따라 약 20A 내지 약 100A 사이의 전류를 각기 이동하는 복수의 미세 음극점에 의해서 특징화된다. 음극점은 분리 접촉자 사이로 전류를 이동할 필요가 있는 금속 이온을 방출한다. 5㎄ 미만의 회로 이동 전류용 진공 차단기의 접점용 일반 형상은 디스크 형상이며, 일반적으로는 충합(butt) 접촉이라 불리어지며, 접점은 각각의 디스크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따라 이웃하고 있다.
약 8㎄보다 큰 전류에 대해, 진공 차단기 아크는 원주형을 나타내며, 공중의 아크를 닮는다. 이러한 보다 고 전류 레벨에서 회로를 성공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원주형 아크가 제어될 필요가 있다. 아크를 제어하는 두 종류의 변형예가 있다. 하나의 방법은 전극을 원주형 아크가 배향되게 접촉면의 표면위를 강제로 이동하도록 나선 또는 슬롯형 컵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원주형 아크를 이 고 전류 레벨에서 평탄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약 16㎄ 이상의 고 전류에 대해, 한정된 칼럼형 아크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아크는 몇가지 다른 모드로 결정되는데, 확산 아크 및 한정된 칼럼형 아크에 엄격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류 범위 사이의 전이 전류에서 아크의 특성이 불확실하다. 또한, 전류의 레벨은 AC 절반 싸이클 이상으로 변화하며, 전류의 레벨은 절반 싸이클에 대해 접점 분리의 타이밍으로 인하여 변할 수 있다. 아크는 일반적으로 능동형 저전류 확산 아크로부터 아크 생성 및 전류의 세부조건하에서, 급속히 진공화되는 양극과 음극 루트를 갖는 고밀도 고압력 아크 범위에 걸쳐 있다.
예를들면 접촉자에 사용되는 전류 차단기는 발생되는 과도한 전극의 손상으로 인하여 그 통상의 부하 회로 전류에서는 다수의 차단 싸이클을, 고전류에서는 소수의 차단 기능을 하도록 의도된다. 유익하게는, 차단기가 보통 부하 전류(IL)에서 적어도 106회 동작하고,반복 조깅 실시예용으로 모터를 온오프절환하는 때와 같은 6×IL에서 105회 작동하고, 10×IL에서 50회 작동하며(표준 조건임), 및/또는 50×IL의최대 단락회로에서 적어도 3회 작동한다.
차단기가 저전압 실시예용으로 사용되면, 저 전류 차단 접점 재료(a low current-chop contact material)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전류 차단(Current chop)은 접점 재료가 어느정도 차단시 전압이 전압의 다음 영교차점에서 영으로 평활하게 강하하기 보다는 여전히 존재하는 동안 전류가 갑작스럽게 소거되는 가의 측정치이다. 어느 한 저 전류 차단 접점 재료는 은과 텅스텐-카바이드(Ag-WC)의 야금학적 분말 혼합물이며, 저전류 확산 진공 아크와 관련되어 잘 수행된다. 전류가 전이 영역에 있을 때, 이 재료로 제조된 충합식 접점은 접점의 분리를 이끄는 제 1 AC 전류의 영교차점에서 전류를 항상 차단하지는 않는다.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전류 레벨에서, Ag-WC 접점 재료는 점차적으로 덜 효과적이며, 접점과 같은 충분히 고 전류 레벨에서 Ag-WC 접점 재료는 전류를 충분히 차단하지 못할 것이다. 이 재료를 사용한 고 전류 회로 차단의 의존성이 향상될 수가 있다면 저 전류 차단의 장점을, 특히 가능한 고전류에서 칼럼형보다는 오히려 아크 확산을 유지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변형재료가 Cu-Cr과 Cu-Cr-Bi 합금과 같은 전극용으로 가능하다. 전극 손상을 제한하기 위해서 확산 아크를 유지할 필요가 Ag-WC를 갖는 재료보다는 이러한 재료에서 덜 긴급하지만, 상기 재료의 회로 차단 성능은 또한 아크가 확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경우에 향상될 수 있다.
축방향 자기장을 인가하는 것이 아크를 확산시키고, Ag-WC 접점 재료를 포함하는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스즈키(Suzuki)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367,382 호는 40㎄ 정도의 높은 전류를 언급하고 있다. 스즈키 차단기는 유동 금속증기 차폐기를 사용한다. 자기장 코일은 접점의 각각의 뒤에 위치설정된다. 접점을 작동시키는 기구는 접점을 약 2㎧로 분리한다. 축방향 자기장 수단은 접점이 보통 서서히(예를들면, 0.5㎧) 개방되고 차단기가 소형이고 내구성있고 가격이 저렴한 것을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접점기형 기구용으로 적합한 덜 복잡한 차단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유익할 수 있을 것이다.
슐만(Schulman)과 슬레이드(Slade)가 출원하여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SN 08/488,401 호에, 신규한 차단기 스타일이 개시되어 있었는데 여기에서 단일 축방향 자기 전류 코일이 두 개의 튜브형 전기 유전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증기-응착 아크와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차폐기가 절연되기 때문에 스타일은 여전히 비교적 복잡하며 또한 제조하는데 본래부터 고비용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절연 아크 차폐기가 인가된 고전압에 소망 절연 회복율과 전압 항복을 달성하기 위한 최대 옵션이 되는 단부가 보다 높은 범위를 갖는 전압 인가용으로 가장 적합하다. 이들 및 기타 다른 이유에서, 본 발명의 신규한 차단기가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은 축방향 자기장을 접점 간극에 제공하는 소형의 내부 구조체를 사용하여 확산 진공 아크를 유지함으로써 고 전류에서 특히 접점자형 실시예에서 회로 차단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및 기타 다른 목적은 차단기의 개방시 칼럼형 모드보다는 오히려 전기 아크를 확산상태로 유지하지 하기 위해서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코일을 갖는 진공 회로 차단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충합가능한 디스형 접점을 갖는 두 개의 전극중 적어도 일 단부가 다른 단부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금속 벨로우즈를 통하여 이동가능하며 외부 메카니즘에 의해서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 전극이 접점을 갖는 전극을 진공화된 밀봉부내에 지지하는 대향 단부 장착부 사이에 전기적 절연체를 갖는 하우징내에 달려있다. 전극중 하나는 접점중 하나에 부착된 강체 지지 부재를 가지며 축방향을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조립체를 포함한다. 코일은 이 길이를 따라 지지 부재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싸여져있고,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여 축방향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지지 부재는 보다 작은 전도성(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공동 슬리브 또는 단체를 포함하며, 코일은 더 큰 전도성(예를들면, 구리)이며, 내구성과 가격이 저렴한 구조를 제공한다.
코일은 거의 완전한 나사선 회전을 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 지지부 주위를 나사선 경로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코일부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코일부는 각각 지지 부재 주위를 대략 180°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코일은 고정 전극 또는 가동형 전극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정 전극상에, 코일은 그 일 단부가 관련 접점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고 대향 단부가 해당 단부 장착부에 대하여 배치되며, 지지부는 접점을 단부 장착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테인레스의 일체적인 관상 슬리브일 수 있다. 고정형 전극 또는 가동형 전극에서, 지지부는 전극의 자루부를 그 접점으로부터 이격하는 스테인레스 슬리브일 수 있으며 코일은 간극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변형에로서, 전극의 자루부는 코일용 간극을 제공하기 위한 자루부와 일체적인 슬리브를 구비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변형예를 도시한는 전체 단면도,
도 5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전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단기 12, 16 : 전극
14 : 코일 22, 24 : 접점
32 : 지지 부재 44 : 종축
52, 54 : 단부 장착부 90, 91 : 접속부
도 1 내지 도 5는 몇 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10)을 도시하고 있는데, 동일 참조번호가 도면 전체에 걸쳐 사용되어 대응 부분을 지시한다. 도면의 각각은 종단면도이며, 도시된 실시예의 각각은 거희 축방향으로 대칭인 구조체이다.
우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의 변형 실시예는 본 기술분야의 일부 차단기와 공통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이들 본 기술분야의 특징중 일부는 이하의 4개의 문장에 개시되어 있다.
1) 도면의 각각에서, 회로 차단기(10)는 차단기의 하우징의 단부 장착부(54)에 대면하여 고정되어 있는 제 1 전극(12)과, 다른 전극(12)에 대하여 종축(44)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전극(16)을 가진다. 전극(16)의 상대적인 운동은 금속 벨로우즈(36)을 거쳐서 달성되는데, 이 금속 벨로우즈는 그 단부중 하나가 전극(16)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그 단부중 다른 하나가 차단기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부 장착부(52)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전극(12)은 디스크형 충합 접점(2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전극(16)은 디스크형 충합 접점(2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점(22, 24)은 일반적으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어 회로 전류가 차단기(10)를 통하여 흐를 수 있게 한다. 외부 절환 메카니즘(도시안함)이 예를들면 전극(12, 16)중 하나 또는 양자의 자루부내의 내부 나사(42)에 의해서 차단기(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단부 장착부 중 하나 또는 양자는 외측부상에, 도 1의 나산가공된 스터브(78)와 같은 수단이 차단기를 외부 메카니즘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장착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동작의 변형 모드에 있어서, 차단기(10)의 하우징은 고정형 전극(12)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다른 전극(16)은 더 큰 메카니즘에 대하여 실제로 고정유지되는 것이다.
2) 작동기를 갖는 스위칭 메카니즘을 절환하는 임의의 여러 가지 형태가 회로 전류를 차단할 때 접점(22, 24)을 분리하도록 차단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절환 메카니즘은 예를들면, 오류 전류의 검출시 회로 전류를 차단하도록 의도된 보호 장치의 부품일 수 있거나 또는 동력 분배 절환 시스템(예를들면, 분배 리클로우저 또는 다른 스위치기어)의 부품, 또는 탭 변환기의 부품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또한 모터 제어(예를들면 시작/정지의 제어, 전방/후방의 제어, 속도의 제어 등)와 같은 응용예에서 접점기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업 규격 6(industry size 6)과 같은 회로 차단기에 적합하지만, 본 발명의 관점은 다른 규격과 용량에 또한 응용가능하다.
3) 변형예로서, 전극(12)은 금속 벨로우즈를 전극(12)에 대하여 대응 부착함으로써 차단기(10)의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기계적 동작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은 전극(12, 16) 사이에서 전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접점(22, 24)이 서로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게 하고 그후 전류를 진공형성시 발생 아크(the drawn vacuum arc)를 통해 차단하기 위해서 분리되며, 하우징이 인가 전압을 항복시키기 위한 급속한 절연 회복과 용량용으로 필요한 내부 고진공을 유지한다.
4) 차단기(10)의 하우징은 대향 단부 장착부(52, 54) 사이에 기밀하게 부착된 거의 관상의 전기적 절연체(48)을 포함하며, 여기서 대향 단부 장착부(52, 54) 양자는 관련 전극(16, 12)이 돌출되는 개구를 가진다. 단부 장착부(52, 54)는 각각의 전극(16, 12) 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보통이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단부 장착부(54)는 고정형 전극(12)를 지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기밀하게 밀봉되며, 금속 벨로우즈(36)는 그 단부중 하나가 전극(16)에 대하여 기밀하게 밀봉되며 그 단부중 다른 하나가 단부 장착부(52)에 대하여 기밀하게 밀봉된다. 전극(12, 16), 금속 벨로우즈(36), 단부 장착부(54, 52), 및 절연체(58)은 함께 접점(22, 24)을 둘러싸는 기밀한 밀봉부를 형성한다. 예를들면, 단부 장착부(52, 54)중 하나나 또는 양자는 단부 장착부(54)가 도 1과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부가 절연체(48)에 대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부 장착부(52, 54)중 하나 또는 양자는 단부 장착부(52)가 모든 도면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부 캡이 부착되고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는(예를들어 결합부를 따라 브레이징 또는 텅스텐 비활성 가스 용접에 의해서) 관상의 칼라를 갖는 2부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절연체(48)는 고산화 알루미늄 세라믹(Al2O3), 또는 다른 변형예로서 유리 또는 자기 재료(porcelai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관상의 금속부에 의해서 분리되는 다수의 절연체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가지 가능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밀한 밀봉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8)에 의해서 밀봉되는 입구(56)를 통하여 진공화된다.
둘째로, 차단기(10)의 본 발명의 주요 관점은 회로 전류의 흐름을 사용하여 접점 갭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제공된 수단과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접점 재료의 최적 선택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특정 장치의 단일 전류 이동 코일(14)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전류가 차단기(10)를 통과할 때 거희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금속 증기의 응축용 금속 차폐기가 제공되는 데 이것은 두 개의 전극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14)은 고정형 전극(12)이나 또는 가동형 전극(16)(도 3과 도 4)과 이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부품의 번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다.
코일(14)은 그 단부중 하나가 그 관련 전극(12, 16)에 대하여 접속된 전기적 접속부(90)과, 그 단부중 다른 단부가 그 관련 접점(22, 24)에 대하여 접속된 전기적 접속부(91)을 가진다. 이 접점은 코일(14)의 높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코일과 전극사이의 플러스 추가 공간(35) 및 코일과 접점사이의 공간(34)를 제공하는 지지 부재(32)에 의해서 관련 전극의 내부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들 공간(35, 34)내에 전기적 접속부(90, 91)가 각각 제조된다. 지지 부재(32)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감싸여 있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코일(14)은 이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전기 전류용 전도성 경로를 제공한다. 원주방향으로 감싸기 때문에, 코일(14)은 전류가 그것을 통해서 이동할 때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형성한다. 차단기(10)를 통과하는 전류의 대부분이 코일(14)을 통과하지만 지지 부재(32)를 통과하지 않도록 구조체가 배치되고 재료가 선택된다. 지지 부재(32)와 코일(14)은 양자가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띨 수 있다. 그러나, 코일과 지지 부재의 재료 및/또는 구조를 각각 선택하기 때문에 코일(14)이 지지 부재(32)보다 더 전도성이 좋다. 코일(14)은 바람직하게는 고전도성이고 비교적 두꺼운 단체 구리로 된 리본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32)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2)가 비교적 얇은 관상의 슬리브로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변형예로서 단체일 수 있다. 전극의 종방향 중심축, 코일 및 지지 부재는 차단기(10)의 종방향 중심축(44)과 일치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코일(14)은 이것이 두 개의 반원형 절반 코일부(82, 83)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각기 코일부(82, 83)는 지지 부재(32)주위를 나선 경로로 연장된다. 이 코일부(82, 83)는 각기 그들의 단부중 하나가 관련 전극의 지름 확장부(93)의 주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들의 단부중 다른 하나가 그 주변의 관련 접점의 배면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모든 도면에는 코일부(83)의 전기적 접속부(90)가 관련 전극의 확장부(93)에 전기 접속되고 코일부(82)의 전기적 접속부(91)가 그 관련 접점에 대하여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반회전 코일부(82, 83)는 각기 지지 부재(32) 둘레를 대략 180°감싸며, 이들 환형 공간의 일부는 또한 전기적 접속부(90, 91)가 차지한다. 또한 대략 360°둘러싼 일회전 코일부, 또는 다른 더 작은 코일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3 부분으로 구성된 코일로서 각 부분은 대략 120° 둘러싼다. 또한 중첩 코일부를 예를들면 각기 섹션이 대략 360°둘러싸고 섹션이 나란한 이중 나선형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스(99)(도 1, 도 3 및 도 5) 또는 강하면(100)(도 4)은 지지 부재(32)의 단면이 그 관련 전극 스템에 대면하도록 지지 부재(32)를 적절히 위치설정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 단부가 해당 전극에 대면하도록 지지 부재(32)를 적당히 위치설정하게 코일(14)과 관련된 충합 접점은 이와 마찬가지로 보스(66)(도 1, 도 3 및 도 4), 강하면(67)(도 2와 도 5)을 포함하거나 또는 지지할 수 있다.
금속 증기의 응축을 아크로부터 제공하는 금속 차폐기(72)가 적어도 그들의 개방 위치에서 접점(22, 24)을 둘러싸기에 충분할 만큼 멀리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차폐기(72)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아크가 나타나는 최대 접점 간극(92)의 축방향 길이를 충분히 둘러쌀 수 있도록 보증한다. 차폐기(7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개방 단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구브러질 수 있다. 이 차폐기는 또한 예를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섹션(94)를 지지할 수 있다. 차폐기(72)의 또 다른 가능한 구성이 도 2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차폐기(72)는 절연체(48)의 단부상에 부착되어 있고 축(44)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아크에 의해 발생된 금속 증기로부터 절연체(48)을 보호하도록 다소 내방향으로 구브러진 섹션(73)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의 금속 단부 장착부(54)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섹션은 차폐기(72)의 영역에 대응하여 접점 간극의 영역에서 증기 응축 표면으로서 역할을 한다. 그 개방 단부에서 차폐기(72)의 바람직한 내향 휨은 절연체(48)의 내부 표면에서 보다 오히려 차폐기(72)상에 인출 전기 아크로 금속 증기 도금하는 것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차폐기(72)는 단부 장착부(54)를 통하여 고정형 전극(12)에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접점(22, 24)의 최대 분리 간극과 거희 동일하거나 더 멀리 가동형 전극(16)과 그 관련 접점(24)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전기 아크의 한계를 접점 간극(92)까지 증진시킨다.
변형예로서, 차폐기(72)는 가동형 전극(16)과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정도의 전류와 전압 레벨에 대하여, 충합 접점(22, 24)은 Ag-WC 또는 Cu-Cr-Bi와 같은 저전류 차단 재료를 바람직하게는 포함한다. Ag-WC의 사용은 저전류로 보통 제한되며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중간 정도의 전류 범위로 연장될 수 없다. 그러나, Ag-WC재의 사용은 본 발명의 온회전 코일(14)의 사용에 의해서 중간 전도의 전류로 이들 실시예에서 가능하게 하며, 이 코일(14)은 진공 아크를 중간정도의 전류에서조차 저 부식 확산 모드로 억제할 수 있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제공한다. 고전력 회로에서, Cu-Cr 또는 Cu-Cr-Bi재가 바람직하지만, Cu-Cr에 대해 전류 차단 레벨이 더 높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향상하는 몇가지 가능한 특징부 및/또는 차단기(10)의 제조측면을 포함한다. 도 2와 도 5는 고정형 전극(12)이 코일(14)과 결합되었을 때 얼마나 전극(12)보다 더 저전도성의 강한 재료로 제조되는 원통형 스터브(64)용 지지부를 제공 또는 구비할 수 있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스터브(64)는 이것이 절환 메카니즘(도시안함)에 부착되게 하는 너트(도시안함)를 수용하도록 그 외측부상에 나사가동되게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구조체는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하며 쉽게 측정되는 내구성있고 저렴한 차단기를 제공한다. 이것은 장착 스터브(64), 또한 아크 차폐기(72)의 주요 부품으로서 역할을 하는 상술한 단일품의 컵형 단부 장착부(54)를 사용한다. 전극(12), 보스(99), 전극 연장부(93), 코일(14)의 섹션(82 83) 및 전기적 접속부(90, 91)는 모두 구리와 같은 고전도성 재료의 일체형이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32)는 코일(14)을 수납하는 공간을 유지하고 구조적으로 접점상에 가해지는 폐쇄력을 지탱하도록 이 관련 전극과 접점 사이에 저 전도성(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관상 피트의 분할된 길이를 포함한다. 최소 부품을 가지며 특히 소형이며 내구성있고 값이 저렴한 변형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스터브(64)와 지지 부재(32)가 일체형이다. 지지 부재(32)는 저전도성 재료(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스터브(64)의 연장된 자루부(84)의 내부 단부에 달리게 설치되어 있다. 필요 공간(34, 35)을 유지하기 위해서 접점(22)에 대하여 부착된 단부에 얇은 관상 슬리브를 제공하게 이 피이스의 단부를 지탱함으로써, 지지 부재(32)를 지금 포함하는 섹션의 저항이 경우에 따라 코일(14)의 저항과 비교하여 더 크게 한다.
도 3은 코일(14)[즉 이 경우 접점(24)]과 결합되는 접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계단(45)이 바람직하게는 평활하게, 코일 섹션(82, 83)의 래디얼 두께의 대략 1/2의 외층이 이 접점의 주변부상의 계단의 최외부인 보다 직경이 작은 섹션(63)과 축방향으로 나란한 방식으로 접점(24) 표면의 외주부로 기계가동된다. 이것이 계단(45)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경계지워진 간극의 중앙 영역내에 확산 아크의 오염을 증가시키므로 따라서, 아크는 이 섹션은 자기장이 코일 섹션에 대한 그 위치로 인하여 축방향 성분이 소거된 보다 두께가 작은 섹션(63)의 영역내로 거희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또한 접점중 하나[이 경우 접점(24)]에 중앙 강하면(68)을 선택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이것이 접점 용접을 감소시키는 것과 용접 파손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코일이 도 3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형 전극(16)상에 배치되어 있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고정형 전극(12)와 관련된 접점(22)은 접점 재료로 제조된 컵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컵은 그 베이스(26)가 장착부(54)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고 차폐기(72)를 설치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지지 부재(32)를 접점(24)에 접속하는 보스(66)가 저 전도성 재료(예를들면 스테인레스 스틸)로부터 분리된 피이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변형예와 실시예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며 이제 부가의 변형예가 당해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언급된 변형예에 한정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의 설명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대하여 참고적으로 사용되어 배타적인 권리가 청구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정한다.
본 발명은 축방향 자기장을 접점 간극에 제공하는 소형의 내부 구조체를 사용하여 확산 진공 아크를 유지함으로써 고 전류에서 특히 접점자형 실시예에서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Claims (22)

  1. 회로 차단기(10)에 있어서,
    충합가능한 접점(22, 24)를 갖는 제 1, 제 2 전극(12, 16)으로서, 상기 전극중 적어도 하나(16)가 다른 하나의 전극(12)에 대하여 종축(44)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접점(22, 24)는 전류를 전극(12, 16) 사이에 이동하도록 서로를 향하여 충합되고 전류를 차단하도록 분리되고 그 사이에 아크를 형성하며, 상기 전극(16)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압력에 의해서 상기 다른 하나의 전극(12)을 향하여 가압되며, 접점(22, 24)을 멀리 이격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카니즘에 부착이 의도되는 제 1, 제 2 전극(12, 16)과,
    대향 단부 장착부(52, 54) 사이에 배치된 전기적 절연체(48), 전극(12, 16)을 지지하는 단부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전극(12, 16), 단부 장착부(52, 54) 및 절연체(48)가 함께 접점(22, 24)을 둘러싸는 진공 밀폐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22, 24)중 하나는 접점(22, 24)중 하나에 부착된 강건한 지지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32)는 종축(44)을 따라 길이를 연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코일(14)은 지지부재(32)둘레를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코일( 4)은 코일(14)이 축방향으로 배향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전류용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는 전류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2)와 코일(14)은 모두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상기 코일(14)은 지지 부재(32)보다 더 전도성이 좋은 회로 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2)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이며 상기 코일(14)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회로 차단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2)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14)은 구리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2)는 관상 슬리브와 단체중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2)는 관상 슬리브와 단체중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4)은 적어도 두 개의 코일 섹션(82, 83)을 포함하며, 코일 섹션(82, 83)의 각각은 단부 장착부(52, 54)중 하나로부터 접점(22, 24)중 하나까지 지지 부재(32) 둘레를 나선경로로 연장되는 회로 차단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코일은 적어도 두 개의 코일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섹션의 각각은 단부 장착부중 하나로부터 접점의 하나까지 지지 부재 둘레를 나선경로로 연장되는 회로 차단기.
  9. 제 7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코일 섹션(82, 83)을 포함하며, 각기 상기 지지 부재(32) 둘레로 대략 180°감싸고 일단부가 접점(22, 24)중 관련 접점에 대하여 결합되며 다른 단부가 단부 장착부(52, 54)중 상기 하나에 결합되는 회로 차단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측부에 대하여 결합되는 보호 차폐기(72)를 추가로 포함하며, 차폐기(72)는 접점(22, 24)과 절연체(48)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중 하나는 단부 장착부(54)중 하나에 대하여 부착되는 고정형 전극이고, 상기 지지 부재(32)는 상기 단부 장착부(54)에 단단히 고정되며 접점(22)의 고정 단부를 지지하는 회로 차단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중 하나는 단부 장착부(54)중 하나에 대하여 부착되는 고정형 전극이고, 상기 지지 부재(32)는 상기 단부 장착부(54)에 단단히 고정되며 접점(22)의 고정 단부를 지지하는 회로 차단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2, 16) 중 하나는 자루부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32)는 상기 자루부와 상기 접점(22, 24)중 하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도록 접점(22, 24)중 하나와 상기 자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관상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14)이 이 간극에 존재하는 회로 차단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2, 16)중 하나는 자루부(84)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32)는 상기 접점(22, 24)중 하나와 충합하는 자루부(84)의 단부에 보어에 의해서 형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관상 슬리브를 포함하며, 슬리브는 자루부(84)의 단체부푼과 상기 접점(22, 24)중 하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며, 코일(14)이 간극내에 존재하는 회로 차단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슬리브는 전극(12, 16)중 하나를 따라 배치된 일체형 슬리브인 회로 차단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2, 16)중 하나는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회로 차단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2, 16)중 하나는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되는 회로 차단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22, 24)중 적어도 하나는 접점(24, 22)의 다른 부분과 충합 접촉되도록 거희 디스크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22, 24)중 적어도 하나는 Ag-WC와 Cu-Cr-Bi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를 갖는 표면인 회로 차단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22, 24)중 적어도 하나는 Cu와 Cr의 합금을 포함하는 재료의 표면인 회로 차단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22, 24)중 하나는 컵형상의 중앙 강하면(68)과 접점(24, 22)의 다른 하나에 대면하는 주변 계단(45)을 가지는 회로 차단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22, 24)중 하나는 컵형상의 중앙 강하면(68)과 접점(24, 22)의 다른 하나에 대면하는 주변 계단(45)을 가지는 회로 차단기.
KR1019970057161A 1996-11-01 1997-10-31 콤팩트한내부구조의회로차단기 KR100525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42,550 1996-11-01
US8/742,550 1996-11-01
US08/742,550 US5793008A (en) 1996-11-01 1996-11-01 Vacuum interrupter with arc diffusing contact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04A true KR19980042004A (ko) 1998-08-17
KR100525219B1 KR100525219B1 (ko) 2005-12-21

Family

ID=2498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161A KR100525219B1 (ko) 1996-11-01 1997-10-31 콤팩트한내부구조의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93008A (ko)
EP (1) EP0840339B1 (ko)
KR (1) KR100525219B1 (ko)
CN (1) CN1122290C (ko)
DE (1) DE69733627T2 (ko)
ZA (1) ZA9797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32B1 (ko) * 2005-06-16 2013-09-17 세쉐롱 에스.아. 전기기계식 회로차단기 및 상기 전기기계식회로차단기에서의 전류차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99365T1 (de) * 1999-04-13 2008-07-15 Abb Inc Eingekapselte magnetisch betätigte vakuumschaltröhre mit integrierten durchgangsverbinder
US6723940B1 (en) 1999-04-13 2004-04-20 Abb Inc. Encapsulated magnetically actuated vacuum interrupter with integral bushing connector
US6043446A (en) * 1999-06-07 2000-03-28 Eaton Corporation Vacuum switch including shield and bellows mounted on electrode support structure located in electrode circumferential groove
NL1017985C2 (nl) * 2001-05-03 2002-11-05 Holec Holland Nv Vacuümonderbreker voorzien van een coaxiale spoel voor het opwekken van een axiaal magneetveld nabij de contactorganen van de onderbreker.
FR2841682B1 (fr) * 2002-06-27 2004-12-10 Schneider Electric Ind Sas Ampoule a vide pour un appareil de protection electrique tel un interrupteur ou un disjoncteur
US6867385B2 (en) * 2003-02-21 2005-03-15 Mcgraw-Edison Company Self-fixturing system for a vacuum interrupter
US6965089B2 (en) * 2003-02-21 2005-11-15 Mcgraw-Edison Company Axial magnetic field vacuum fault interrupter
US7802480B2 (en) * 2004-05-18 2010-09-28 Thomas And Bett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high pressure conditions in a vacuum-type electrical device
JP4765538B2 (ja) * 2005-10-20 2011-09-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真空バルブ、真空バルブの製造方法
US7772515B2 (en) * 2005-11-14 2010-08-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Vacuum switchgear assembly and system
US7488916B2 (en) * 2005-11-14 2009-02-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Vacuum switchgear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7781694B2 (en) * 2007-06-05 2010-08-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Vacuum fault interrupter
US8450630B2 (en) * 2007-06-05 2013-05-2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ntact backing for a vacuum interrupter
DE102009031598B4 (de) * 2009-07-06 2011-06-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akuumschaltröhre
US8643221B2 (en) 2010-06-08 2014-02-04 Siemens Energy, Inc. Retrofit kit, circuitry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tap changer to avoid electrical arcing
US8248760B2 (en) * 2010-07-07 2012-08-21 Eaton Corporation Switch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US8575509B2 (en) 2011-09-27 2013-11-05 Eaton Corporation Vacuum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assemblies, and vacuum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640353B2 (en) 2014-10-21 2017-05-0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Axial magnetic field coil for vacuum interrupter
CN106558447B (zh) * 2015-09-30 2018-12-25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断路器接触系统
US9842713B2 (en) * 2016-03-30 2017-12-12 Eaton Corporation Vacuum circuit interrupter
CN108320997B (zh) * 2018-03-23 2019-01-08 西安交通大学 多极式横向永磁体结构直流开断真空灭弧室及应用
US10580599B1 (en) 2018-08-21 2020-03-0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Vacuum circuit interrupter with actuation having active damping
US10796867B1 (en) 2019-08-12 2020-10-0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il-type axial magnetic field contact assembly for vacuum interrupt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3271A (en) * 1965-08-06 1969-09-04 English Electric Co Ltd Circuit Interrupters
US3792214A (en) * 1972-01-28 1974-02-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interrupter for high voltage application
US3889080A (en) * 1973-12-19 1975-06-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interrupter shield protector
US4117288A (en) * 1976-06-25 1978-09-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type circuit interrupter with a contact having integral axial magnetic field means
US4260864A (en) * 1978-11-30 1981-04-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with an improved contact with axial magnetic field coil
GB2050060B (en) * 1979-05-22 1983-05-18 Tokyo Shibaura Electric Co Vacuum switches
US4345126A (en) * 1980-04-01 1982-08-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interrupter with transfer-type axial magnetic field contacts
US4451813A (en) * 1981-06-10 1984-05-29 Japan Radio Company, Ltd. Vacuum fuse having magnetic flux generating means for moving arc
US4401868A (en) * 1981-06-29 1983-08-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interrupter with a spacially modulated axial magnetic field contact
JPH0731966B2 (ja) * 1985-07-12 1995-04-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しや断器
JPS63105419A (ja) * 1986-10-23 1988-05-10 株式会社東芝 真空バルブ
US4743718A (en) * 1987-07-13 1988-05-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contacts for vacuum interrupter devices
US4847456A (en) * 1987-09-23 1989-07-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circuit interrupter with axial magnetic arc transfer mechanism
US4839481A (en) * 1988-02-16 1989-06-13 Cooper Industries, Inc. Vacuum interrupter
US4880947A (en) * 1988-06-29 1989-11-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interrupter with simplified enclosure and method of assembly
US5387771A (en) * 1993-04-08 1995-02-07 Joslyn Hi-Voltage Corporation Axial magnetic field high voltage vacuum interrupter
US5438174A (en) * 1993-11-22 1995-08-01 Eaton Corporation Vacuum interrupter with a radial magnetic fie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32B1 (ko) * 2005-06-16 2013-09-17 세쉐롱 에스.아. 전기기계식 회로차단기 및 상기 전기기계식회로차단기에서의 전류차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3627T2 (de) 2006-04-27
ZA979722B (en) 1998-05-22
DE69733627D1 (de) 2005-08-04
EP0840339B1 (en) 2005-06-29
CN1122290C (zh) 2003-09-24
KR100525219B1 (ko) 2005-12-21
CN1182949A (zh) 1998-05-27
US5793008A (en) 1998-08-11
EP0840339A3 (en) 1999-01-13
EP0840339A2 (en) 199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219B1 (ko) 콤팩트한내부구조의회로차단기
US5597992A (en) Current interchange for vacuum capacitor switch
KR100484076B1 (ko) 진공단속기용전극조립체,축방향자계단속기용전극코일및진공단속기용전극코일제조방법
KR100685507B1 (ko) 진공 밸브
US3980850A (en) Vacuum interrupter with cup-shaped contact having an inner arc controlling electrode
JP2008504659A (ja) 真空しゃ断器バルブにおける開閉接触子
KR930011829B1 (ko) 진공 차단기
US4553002A (en) Axial magnetic field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US6479779B1 (en) Vacuum switching device
US4471184A (en) Vacuum interrupter
US20220270837A1 (en) Vacuum interrupter with double live shield
US3792214A (en) Vacuum interrupter for high voltage application
CA1319731C (en) Vacuum circuit interrupter with axial magnetic arc transfer mechanism
US3508021A (en) Vacuum switch
US3806680A (en) Vacuum interrupter
US4661665A (en) Vacuum interrupter and method of modifying a vacuum interrupter
CA1111883A (en) Low voltage vacuum switch with three internal contacts including a center floating contact
JP3611855B2 (ja) 真空スイッチバルブ
US5461205A (en) Electrode stem for axial magnetic field vacuum interrupters
US4713644A (en) Vacuum fuse
KR20210019957A (ko) 진공 인터럽터용 코일형 축 자기장 접촉 어셈블리
US4072837A (en) High continuous current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US4797522A (en)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EP2715762B1 (en) Vacuum interrupter
US20230116363A1 (en) Insulated drive vacuum interru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