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699A - 진주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진주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699A
KR19980041699A KR1019970012087A KR19970012087A KR19980041699A KR 19980041699 A KR19980041699 A KR 19980041699A KR 1019970012087 A KR1019970012087 A KR 1019970012087A KR 19970012087 A KR19970012087 A KR 19970012087A KR 19980041699 A KR19980041699 A KR 1998004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seawater
tank
aquaculture
milk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코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우에하라노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하라노리코 filed Critical 우에하라노리코
Publication of KR1998004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6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 또는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또는 육상의 양식 시설의 담수 중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로는 아코야 조개, 클로쵸우 조개, 실로쵸우 조개 또는 마베 조개가 바람직하고,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로는 이케쵸우 조개 또는 히레이케쵸우 조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사육 방법은 상기한 해수 서식용 또는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이식후의 어미 조개의 사육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사료인 탈지 분유는 공급이 안정한 종래의 플랑크톤을 양식시킨 사료와 비교해서, 경제성이 높고, 최적의 환경에서 관리된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양식시키기 때문에, 어미 조개 및 진주층의 성장이 자연의 해수 중에서 비교해서 현저히 빠르고, 또한 태풍·적조 등의 자연 재해의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진주 양식 방법
본 발명은 육상의 양식 시설을 사용한 진주 양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또한 자세히 상술하면,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 또는 담수 중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에 의해서, 해수 서식용 또는 담수 서식용의 2매 조개를 사육하여 그 조직내에서 진주를 양식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양식 어업용의 대규모인 수조에도, 가정용 감상어의 수조에도 적용된다.
종래 아코야 조개의 채묘는 육상에서, 진주 양식은 자연의 바다 속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모두 플랑크톤을 인공 배양하여, 이 플랑크톤을 사료로 하여 조개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랑크톤의 인공 배양은 대단히 어렵고 전문 지식을 갖은 경험이 풍부한 기술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특별한 설비를 구비한 배양실과 배양시에 사용하는 다량의 약품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들의 설비등에 요하는 토지 취득비, 시설비등 고액의 고정 자산을 요한다. 또한, 플랑크톤은 광합성에 의해 배양되기 때문에, 6,000 내지 10,000lux 정도의 빛을 밤낮 연속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고, 상당히 대규모의 형광등에 의한 조사 설비 및 이것에 요하는 고액의 전력비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진주 양식에서는 채묘후 자연의 바다 속에서 어린 조개를 일정 기간 육성시킨 후, 뗏목 또는 루프에 부표를 붙이어 닻에 의해 고정 부설하여, 조개망에 조개를 넣어 양식하지만, 자연의 바다 속에서 발생하는 지진, 해일, 폭우, 맹서, 한파, 적조등의 천재등에 대하여는 유효한 방위 수단이 없었다. 때에 따라서는 양식 설비라든지 육성중의 조개가 괴멸적인 피해를 입는 일도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자연의 바다 속에서는 해수 온도가 15℃ 이하로 저하하면, 아코야 조개등의 사료가 되는 플랑크톤이 종자로 되어 해저의 진흙 속에 기어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해수 속에는 플랑크톤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어 아코야 조개등의 사료가 없어지기 때문에, 1년중 11월부터 다음해 4월 쯤까지의 약 6개월간은 조개도 동면하여 그 동안의 생육도 진주층의 성장도 정지한다. 이외, 해수의 상황 변동 때문에, 양식중인 조개의 사망율을 수% 이하로 내리는 것이 곤란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자연의 바다를 이용한 진주의 양식에서는 해수의 온도에 의해 1년중 약 반년은 조개가 동면하고, 지진, 해일, 폭우, 맹서, 한파, 적조등의 천재등에 대해서 유효한 방위 수단이 없고, 또한 이들의 문제는 하천, 호수와 늪에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의 사료가 되는 플랑크톤의 배양에는 기술적 곤란과 고액의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의 하천, 호수와 늪, 해양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어패류 양식용 수역을 2매의 조개등 진주 양식용 조개류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에서 관리하고, 이 중에서 조개류의 공급이 용이한 사료에 의해서 사육하여 조개의 조직내에서 진주를 양식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아코야 조개를 양식한 경우의 성장 곡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로쵸우 조개를 양식한 경우의 성장 곡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클로쵸우 조개를 양식한 경우의 성장 곡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이케쵸우 조개를 양식한 경우의 성장 곡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아코야 조개를 탈지 분유로 양식한 경우
2: 아코야 조개를 플랑크톤으로 양식한 경우
3: 실로쵸우 조개를 탈지 분유로 양식한 경우
4: 실로쵸우 조개를 플랑크톤으로 양식한 경우
5: 클로쵸우 조개를 탈지 분유로 양식한 경우
6: 이케쵸우 조개를 탈지 분유로 양식한 경우
본 발명자는 상술된 바와 같은 자연의 바다에서 진주를 양식하는 경우의 많은 문제점에 비추어 보고, 2매의 조개등 진주 양식에 사용되는 조개류의 육상에 있어서의 수조에서의 사육을 시도하였다. 이때, 가장 큰 장해가 되는 것은 사료가 되는 플랑크톤의 배양이다. 플랑크톤의 배양은 기술적으로도 배양 비용면에서도 고가인 것 외에, 플랑크톤은 배양조건이 미묘한 변화에 대한 반응이 예민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한 안정된 배양이 곤란한 것이 최근에도 가장 큰 문제이다.
이 때문에 플랑크톤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이들의 조개류의 사료에 대한 여러가지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탈지 분유를 수중에 분산시켜 부화액으로 한 경우, 분유의 미립자 또는 이의 일부가 수중에 존재하는 아시넥토박터(Acinectobactor) 속, 비브리오(Vibrio) 속,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 속 또는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등의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이들의 조개류의 먹이로서 소화되기 쉬운 물질에 용이하게 변화하는 동시에, 조개의 소화기관의 내부에도 존재하는 이들의 박테리아류가 소화를 촉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탈지 분유의 입자는 극히 미소하기 때문에, 조개의 유생이나 어린 조개의 먹이로서 바람직하게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진주 양식용 어미 조개 외에, 유생이나 어린 조개에 대해서도 탈지 분유를 수중에 분산시킨 부화액을 사료로 하여 사육을 시도한 결과, 장기간 순조롭게 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탈지 분유에 몰로헤이야를 첨가한 사료를 첨가하면 조개의 기호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것이 발견되고, 이러한 견지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에 의해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이다. 여기에서, 양식 시설의 액중에는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환경이 바람직하고, 사료 중에는 탈지 분유 외의 몰로헤이야 및 탄산칼슘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로서는 아코야 조개, 클로쵸우 조개, 실로쵸우 조개 또는 마베 조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에 의해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료 중에는 탈지 분유 외의 몰로헤이야 및 탄산칼슘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로서는 이케쵸우 조개 또는 히레이케쵸우 조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자연 바다 속에서 채취하거나 인공 수정에 의하여 부화시킨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또는 자연의 하천 및 호수와 늪에서 채취하여 또는 인공 수정에 의해 부화시킨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에 의해서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용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어미 조개의 사육방법 및 육상에 설치된 진주 양식용 수조에 있어서, 조내액의 순환용 배관에 여과조가 마련되고, 여과재로서 활성탄 또는 탄소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용 수조도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2매의 조개와 조개의 조직내에 이물질이 혼입된 경우, 이것은 핵으로 그 주위에 진주층을 형성시키는 습성을 지닌 2매의 조개류로, 예를 들면 아코야 조개와 같이 진주 양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개를 말한다. 또한, 육상의 양식 시설이란, 자연의 하천, 호수와 늪, 해양에서 격리되어 있는 어패류 양식용 수역에서, 인공적으로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시설을 말한다. 채묘란 천연 또는 인공 수정에 의하여 부화시킨 조개의 유생을 어린 조개로 육성하기 위해서 채집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주 양식 방법에는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 방법은 외투막편 및 핵을 이식하여 진주층을 형성시키는 유핵 진주에도, 핵은 삽입하지 않고 외투막편만을 이식하여 그 주위에 진주층을 형성시키는 무핵 진주중 어느 것에라도 적용할 수 있다.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은 외부에서 조개의 조직내에 이식하고, 그 주위에 진주 층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외투막편에는 통상 동종의 조개의 외투막의 가느다란 조각이 사용되고, 또한 핵은 일반적으로는 두꺼운 조개 껍질을 깎아서 환형으로 외투막편과 함께 조개의 조직내에 이식된다. 핵은 환형 외의 서양 배형 또는 기타 잡다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핵의 재료가 되는 조개 껍질에는 예를 들면, 미시시피 강산의 도브 조개등의 조개 껍질 외에 기타 납석, 플라스틱을 가공한 것 등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 방법의 2매의 조개에는 진주 양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개이면 해수 서식용 및 담수 서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로서는 아코야 조개, 베니코쵸우 조개, 타이완 아코야 조개, 실로쵸우 조개, 클로쵸우 조개 또는 마베 조개등이 사용 가능하고, 이들중, 아코야 조개, 실로쵸우 조개, 클로쵸우 조개 또는 마베 조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로서는 이케쵸우 조개, 카와신쥬 조개, 히레이케쵸우 조개(삼각조개), 글라스 조개, 도브 조개 또는 말도브 조개등이 사용가능하고, 이들중, 이케쵸우 조개 또는 히레이케쵸우 조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매의 조개의 양식에는 자연의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도록 조제된 인공 해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해수나 하천은 오염되어 있는 장소가 많기 때문에, 자연의 해수나 하천의 물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진주 조개에 유해한 잡균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많다. 특히 외투막편 또는 핵의 이식 수술 후의 진주 조개는 이들의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조개의 폐사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이 있다. 이 때문에 해수와 동일한 성분을 지닌 용액을 인공적으로 조제하거나 또는 청정한 자연의 해수를 채취하여, 여과외의 수단으로 정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정화란 주로 미세한 먼지나 부유물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는 의미이며, 해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를 완전히 제거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해수와 동일한 성분을 갖는 용액을 인공적으로 조제하는 것은 무기 염류, pH등 화학적 성분의 조성이 해수와 동일할 뿐 아니라, 진주의 양식에 최적의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도 포함하는 용액의 의미이다.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라는 것은 상기와 같이 인공적으로 조제된 용액의 의미이다. 이와 같은 용액을 조제하는 것은, 예를 들면, 해수와 동일한 조성의 무기 염류를 포함하도록 조제된 용액 또는 청정한 자연의 해수를 채취하여 먼지나 오물등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어느 정도 기간 진주 조개를 양식한 수조의 용액을 일부 혼합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탈지 분유를 사료로 하여 진주 조개를 장기간 양식시킨 해수의 시료를 채취하여 세균의 배양 시험을 하면,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가 다량으로 번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사료로서 탈지 분유를 사용하는 경우, 무기염류, pH 등의 화학적 성분의 조성만을 해수와 동일하게 조제한 액을 진주 조개의 양식에 사용하여도, 상술된 바와 같은 박테리아류를 번식시킨 해수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조개의 사료 섭취량이 적어 성장율도 낮다. 특히, 진주 양식용 이식 수술후의 진주 조개의 폐사율이 증가한다.
이들의 박테리아는 양식조내의 해수중에 번식하고 있을뿐 아니라, 조개의 입으로부터 먹이와 함께 삼키게 되어 소화기의 내부에 들어가 번식하고 있고, 소화기관의 기능과 더불어 영양분의 섭취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양식조내의 해수중을 항상 이들의 박테리아를 번식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내의 액의 순환계에 박테리아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인 다공성 물질을 충전한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물질충전 스페이스는 양식용 수조의 구성상 순환액 여과계와의 병용이 바람직하고, 여과 및 불순물의 흡착 기능도 갖을 필요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충전물에는 활성탄, 특히 분말형 활성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주 양식은 육상의 양식 시설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육상의 양식 시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의 하천, 호수와 늪, 해양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어패류 양식용 수역에서, 인공적으로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시설이다. 여기에서 대형 시설로서는 양식 어업용 연못 또는 풀, 수조로부터 소형의 설비로서는 가정용 열대어 감상용 수조까지 광범위한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조개류의 사육에 필요한 수조내의 수질, 온도, 광선 조사량 등의 조건은 인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소 용존량, 공급먹이, 광선 조사량 등 각종 조건도 항상 조개류의 육성에 가장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배설물 및 기타 침전물을 제거하는 설비 및 해수내에서 조개의 성장을 촉진하는 박테리아의 번식도 고려한 순환, 여과 설비등을 마련함으로써 클로즈드 시스템으로서, 인공 양식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이것도 본 발명의 큰 특징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진주 양식 방법에 있어서는 조개류를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에 의해서 양식할 필요가 있다. 탈지 분유는 통상 스킨밀크(skin milk)라고 불리고, 우유로부터 버터를 채취한 잔액을 진공 건조시켜 수득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대량으로 생산되어 주로 가축의 사료에 이용되고, 염가로서 공급도 안정되어 있다.
종래의 진주 양식에 있어서는 조개류의 사료는 플랑크톤이고, 일반적으로 인공 배양된 플랑크톤이 사료로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랑크톤의 배양은 기술적으로도 곤란하기 때문에 종종 공급이 부족하고, 또한 설비비, 조업비등이 부피가 커져서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고가로 된다. 사료로 서 탈지 분유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이다.
아코야 조개등 2매의 조개는 생존하고 있는 플랑크톤 외에, 플랑크톤의 사해가 바다속의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일부 변질된 생성물, 그 밖의 바다속의 미소한 부유 유기물(detritus)을 먹이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플랑크톤 및 미소 부유 유기물을 대신하여 2매의 조개 먹이의 각종 시험을 한 결과, 탈지 분유가 적합한 것을 발견하였다.
탈지 분유는 해수 중에서 용이하게 분산되어 유화액으로 되고, 분산된 탈지분유의 미립자 또는 미립자의 일부가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 등의 작용으로 일부 변질되어 생성된 물질이 플랑크톤과 동일하게 아코야 조개등 2매의 조개의 먹이로서, 거의 동등한 적합성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성장한 조개만이 아니고, 부화한 유생 또는 어린 조개의 먹이에도 적합하다. 또한, 이케쵸우 조개 등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사료로서도,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와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주층 형성용 외투막편 및 핵을 이식한 아코야 조개등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 또는 다른 조개의 외투막편을 이식한 이케쵸우 조개등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해수 또는 담수 중에서 탈지분유를 사료로서 주어 장기간 사육하여 진주를 양식한 결과, 어미조개 및 그 조직내에 있어서의 진주층과 함께 순조롭게 성장하는 것을 확인한다. 이것은 탈지 분유에 포함된 영양 성분이 플랑크톤과 가장 유사하다는 것외에, 해수 또는 담수내에서 용이하게 분산되어 유화액형의 미립자로 되어, 입자의 크기가 수 μm의 플랑크톤이나 미소한 부유 유기물(데트리터스)의 입자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크기로 되는 것도, 조개의 기호성을 높이는 한가지 원인이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탈지 분유는 배양이 어려운 플랑크톤과 비교하여 공급이 안정되어 있고, 경제성도 높고 또한 과대한 배양 설비, 전력 설비 및 전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아코야 조개등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 또는 이케쵸우 조개등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 먹이로서 탈지 분유에 몰로헤이야를 첨가하면, 이들의 조개류의 탈지분유에 대한 먹이의 기호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것이 발견된다. 이외에, 탄산칼슘을 첨가하면 진주 층의 성장을 현저히 촉진시키는 효과가 확인된다. 탄산칼슘은 진주층의 주성분이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탈지 분유 100중량부에 대한 몰로헤이야의 비율은 하한으로서 2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으로서 1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탄산칼슘은 탈지 분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한으로서 15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상한으로서 40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사료에는 또한 기타의 영양제등을 첨가하여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종래부터 이들의 조개류의 먹이로 되어 있는 플랑크톤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 방법에는 또한 자연의 바다 속에서 채취하고, 또는 인공 수정에 의하여 부화시킨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방법 및 자연의 하천, 호수와 늪에서 채취하고 또는 인공 수정에 의하여 부화시킨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방법도 포함되어 있다.
진주의 양식 사업에 있어서 부화시킨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를 사육하여 성장시키고, 또한 어미 조개를 성장시켜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을 이식할 수 있는 모양의 강건한 어미조개를 육성하는 것은 특히 중요한 분야이다. 이들의 조개의 육성에도 본 발명의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가 적합하며, 유생으로부터 어린 조개로, 또한 어린 조개에서 또한 진주층 형성용 이식을 할 수 있는 강건한 어미 조개로 성장시키기 까지 탈지분유만으로 순조롭게 성장시킬 수 있다.
이들중, 유생 또는 어린 조개의 사육은 곤란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탈지 분유만으로 순조롭게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은 영양 성분이 플랑크톤과 유사하게 되어 있는 것 외에, 탈지 분유를 물에 용해시킨 경우, 생성하는 유화액중의 미립자가 수μm로 플랑크톤과 거의 동일한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탈지 분유에 몰로헤이야를 첨가하면 일층 유생이나 작은 조개 먹이의 기호성이 높아지는 것은 어미 조개의 경우와 같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육상의 양식 시설에 있어서의 유생이나 어린 조개의 사육은 자연의 바다속이나 호수와 늪보다 성장율이 향상되거나 폐사율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어미 조개의 경우보다 한층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는 또한 육상에 설치된 진주 양식용 수조의 기본적 구조에 관한 발명도 포함되어 있다. 양식용 수조에는 조내의 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배관에는 여과조가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순환용 배관은 조내 또는 조외의 어느것에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조의 정기 청소, 여과재의 교환등을 고려하면 조외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주 양식용 2매의 조개는 수질의 영향을 받기 쉽고, 오염된 경우에는 급격히 폐사율이 높고, 성장 속도도 저하된다. 특히 진주층 형성용 이식 수술후에 저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 영향이 현저하고, 또한, 진주층의 성장 속도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 때문에 조내의 하층액을 꺼내어 여과하고, 부유하는 오탁물을 제거한 후 조내로 복귀된다.
또한, 여과조에 충전되어 있는 여과재에는 활성탄 또는 탄소재가 포함될 필요가 있다. 탄소재를 파쇄된 입자로서 사용한 경우, 수중에 부유하는 오탁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확인되지만, 이외의 표면이 다수의 세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내의 액에 포함되는 박테리아의 번식의 배지로 되고, 진주 조개의 성장에 유효한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의 번식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활성탄은 통상 1g당 수 100m2이상의 큰 표면적을 갖고, 높은 흡착성을 나타내는 탄소 재료이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의 원료는 통상 야시 껍질 또는 목재등의 탄화물 또는 석탄이 사용되지만, 어느것이나 무방하다. 또한 활력법도 수증기 또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고온으로 또는 염화아연, 인산, 농축 황산 처리등 어떠한 방법으로 수득된 것이라도 무방하다.
활성탄은 무극성 흡착제로서 극히 우수한 흡착성을 갖닌 특이한 물질로, 거의 모든 기상 또는 액상 물질에 대하여 높은 흡착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조내 액중의 오탁물의 다른 유해한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작용이 높고, 또한 활성탄 자체는 모두 세공 구조의 집적물로 이루어지져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박테리아의 번식 배지로서는 한층 더 바람직하다.
여과재에는 활성탄 또는 탄소재외에, 모래 또는 산호 모래를 첨가하여도 좋다. 산호 모래는 탄화칼슘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여과재로서의 기능외에, 액의 pH를 저하시킬 경우에 일부 용출시켜 pH를 상승시키는 조절 작용도 있고, 또한 표면에는 다수의 세공이 있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은 박테리아의 배지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외의 여과재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육상에 설치된 진주 양식용 수조로서, (A) 양식조, (B) 사료 조제조, (C) 여과조, (D) 환경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수조가 있다. (A) 양식조의 내부에는 수면 위에서 사료 용액을 붓고, 조내측면의 하부에 설치된 순환액 발취구로부터 발취한 액을 여과조에서 여과시킨 후, 조내측면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조내의 액이 조내 벽면을 따라서 순환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순환액 주입구에서 분사시키고, 조내에서 원주 방향의 수류가 발생하는 모양으로 되어 있다. 조내 바닥면은 완만한 역원추형으로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침전물 및 하층액 발취용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B) 사료 조제조에는 탈지분유의 계량 및 공급장치, 교반용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료 용액의 조제 및 양식조로의 공급이 일정 시간마다 이루어지도록 환경 제어장치에서 제어되고 있다. (C) 여과조에 충전된 여과재는 활성탄 및 탄소재, 모래 및 산호 모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 포함되어 있다. 또는, 여과층이 여과 및 박테리아 번식의 배지로서의 작용을 갖는 것은 상술된 바와 같다. (D) 환경 제어장치에는 형광등 조명장치 및 조내 온도 제어장치, 공기 취입장치 및 이외의 양식조에 관련된 설비의 운전 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기기에 의해 조내는 항상 진주 조개의 육성에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천연 환경에서 양식하는 경우에 비해 진주층의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층이 두껍게 되고, 품질도 양호하다.
양식은 육상의 수조에서 온도를 최적의 조건, 예를 들면 아코야 조개의 경우 22 내지 23℃로 유지하여 사육시키기 때문에 동면하지 않고, 일년중 조개의 서식에 가장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시켜서 항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개의 각사료 섭취량이 많고 성장도 빠르기 때문에, 진주층의 생성속도도 자연의 바다 속에서 양식하는 경우에 비해 2 내지 3배가 되고, 또한 직경이 큰 진주를 쉽게 수득한다. 또한, 자연의 해수 중에서의 양식에는 플랑크톤 배양의 곤란성, 자연 재해에 의한 예측 불허의 피해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들의 불이익을 고려하면, 본 발명은 극히 이익이 큰 진주 양식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을 삽입한 2매의 조개, 예를 들면 아코야 조개로 진주를 양식하는 경우, 양식용 수조에는 탈지분유 용해조 및 조내액 순환용 배관, 활성탄 및 산호 모래를 충전시킨 여과조 및 해수 보급조가 부속되어 있다. 또한 양식용 수조에는 수온 조절장치, 공기 취입장치 및 형광등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조내의 액은 항상 순환·여과시키고, 해수 온도, pH 및 용존 산소량은 항상 일정한 조건으로 관리하고 있다. 채묘후 2년의 아코야 조개에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을 삽입한 후, 조개 1개 당 전유해수 용적이 2 내지 3ℓ의 비율로 수조에 넣어 양식시킨다.
또한, 양식용 수조에 사용하는 해수는 천연의 해수를 활성탄 또는 산호 모래, 모래, 조개 껍질을 충전한 여과조로 여과하여 먼지나 오물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해수와 동일한 조성의 무기 염류를 포함하는 인공 해수를 조제하여, 장기간 진주를 양식시켜 조개의 탈지 분유의 소화를 촉진하는 박테리아가 번식하고 있는 수조의 액을 일부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사료는 탈지 분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몰로헤이야의 분말 5중량부, 탄산칼슘 미분말 20중량부의 혼합물을 탈지 분유 용해조에서 해수내에 충분이 분산시켜, 정시마다 밸브를 열어 양식용 수조에 주입한다. 탈지분유 및 아코야 조개를 자연의 바다 속에서 양식하는 경우, 사료가 되는 플랑크톤에 포함되는 영양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몰로헤이야의 영양 성분도 함께 나타낸다.
(사료 100g당)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지 분유에 포함된 영양 성분은 플랑크톤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아코야 조개등 조개류의 먹이에 대한 기호성은 영양 성분의 조성에 따라서만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생물의 습성에 근거한 고유의 선택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아코야 조개등 2매의 조개는 플랑크톤 외에, 플랑크톤의 사해가 바다 속의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일부 변질된 생성물 또는 바다속에 부유하는 미소한 유기물(데트리터스)이 먹이이다.
해수 중에 분산시킨 탈지 분유의 미립자 및 이 입자의 일부가 해수중의 아시넥토박터 속 및 비브리오 속 등의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일부 변질된 성분도 조개의 먹이가 된다고 생각되지만, 장기간 탈지 분유만으로 사육하여도 아코야 조개가 순조롭게 성장하여 고품질의 진주가 얻어지는 것은 탈지 분유에 포함되는 영양 성분이 플랑크톤과 유사하다는 점도 큰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아코야 조개의 먹이로서, 탈지 분유에 몰로헤이야의 미분말을 첨가하면, 조개의 먹이에 대한 기호성이 높아지고, 조개의 성장 속도 나아가서는 진주층의 생성 속도도 향상되는 효과가 확인된다. 몰로헤이야의 영양 성분은 플랑크톤과는 현저하게 다르지만, 그 겔타입의 성상은 탈지 분유를 조개가 먹기 쉬운 물질로 변화시키는 박테리아 번식의 촉진 또는 배지의 역할을 부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탄산칼슘은 진주층의 성장을 현저히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해지고 있다.
탈지 분유를 사료로 하여 아코야 조개를 양식할 경우, 해수내에는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되는 박테리아가 번식하고 있는 것이 배양시 험에 의해 확정된다. 이들 박테리아는 탈지 분유의 일부를 변질시켜 조개의 기호성이 높은 물질로 변화시키거나, 조개의 소화기관의 내부에서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양식용 수조에는 활성탄 및 산호 모래를 충전한 여과조가 부속되고, 수조 내부의 해수를 순환 여과시키고 있다. 여과조에서는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하여 호수를 정화하는 것외에, 여과층으로 되어 있는 활성탄이나 산호 모래가 갖는 무수한 세공은 이들 박테리아의 배지로 되어 그 번식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산호 모래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이고, 일부는 용출시켜 조개에서 채취되어 저하된 해수중의 탄산칼슘 이온을 보충하거나, pH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도 있다.
양식용 수조의 하부는 역원추형으로 오목하고, 조개의 배설물등 양식중에 조내에 생성된 불순물이 수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정시마다 밸브를 열어 침전물을 취함과 동시에, 배설물의 축적에 의한 pH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또한, 양식용 수조의 해수는 적당힌 해수 보급조로부터 보급되고 항상 일정한 해수량이 유지되고 있다. 기타 해수 온도는 아코야 조개의 성장에 최적인 22 내지 23℃로 조절하고, 또한 조개의 습성에 맞추어 사료 공급후 일정 시간은 조내의 액의 순환이 정지시키고, 또한 사료의 공급에 연속하여 형광등으로 소정 시간 소정의 밝기의 조명이 이루어지고, 이외 용존 산소 농도등의 환경도 제어되어 있다.
도 1에 상기한 양식용 수조에서 사육한 핵 삽입시의 아코야 조개의 6개월간의 육성 기록으로서, 양식 경과 기간, 탈지 분유, 몰로헤이야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사료를 투여한 경우의 조개의 중량을 도시한다. 또한, 조개의 중량은 최초 성장 정도가 평균 정도의 조개 l0개를 선택하고, 이후 평균치로 도시한다. 또한, 비교를 위해 사료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배양 플랑크톤의 사용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사육한 경우의 육성기록도 함께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결과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에 의해서 양식한 아코야 조개와 플랑크톤을 사료로 한 조개의 월 평균 중량 증가율은 각각 7.0% 및 5.4%로, 탈지 분유를 사료로 한 경우의 성장 속도는 플랑크톤의 경우보다 도리어 높게 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6개월 사육후 취한 진주층의 성장 정도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탈지 분유를 사용하는 방법이 양호했다.
자연의 바다속에서의 양식으로는, 수온이 저하하는 동계 약 6개월은 아코야 조개의 육성 및 진주층의 성장도 정지되는 것외에, 이외의 계절이라도 최적 수온이 되는 21 내지 25℃부터 떨어짐에 따라 진주층의 성장 속도가 저하되어, 조개의 폐사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항상 최적 수온 23℃로 유지되기 때문에, 자연의 바다속에 비해 진주층의 성장 속도는 현저히 빠르게 종래법의 2 내지 3배 이상에 달한다. 또한, 조개의 사망율도 2 내지 3%로 상당히 낮아진다. 자연의 바다속에서의 양식으로서는 최근 생태계의 변화에 의한 것이거나 사망율이 40 내지 60%에 달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서는 얻어진 진주도 상당히 큰입자로 되는 다른 진주층도 균질하게 양호하다. 이점도 병용하여 고려하면, 본 발명의 진주 양식 방법은 종래법에 비해 현저히 우수하다.
또한, 천연의 바다속에서 채묘하고, 또는 인공 수정에 의하여 부화시킨 유생 또는 어린 조개를 진주 양식의 경우와 동일하게 탈지 분유 또는 충분하게 분쇄후 으깬 몰로헤이야를 첨가한 사료로 사육한다. 어느것이나 순조롭게 어미 조개로 성장하여, 폐사율도 천연의 바다속에서 사육한 경우 보다도 현저히 낮다. 탈지분유는 해수중에 충분히 분산시켰을 때 입자의 직경이 0.12μm 정도의 극미립자로도 되기 때문에, 미소한 유생이나 어린 조개가 해수와 함께 작은 입으로부터 흡입하는데 적합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실로쵸우 조개에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을 이식하여, 상술된 아코야 조개에 의한 진주 양식과 동일한 육상의 대형 수조속에서,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액중에서의 양식에 대하여 기술한다. 양식용 수조의 구성은 아코야 조개의 경우와 같고, 환경 관리 방법도 거의 동일하다. 채묘후 2년의 실로쵸우 조개에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을 이식한 후, 조개 1개 당 전유 해수용적 10 내지 12ℓ의 비율로 수조에 넣어 양식한다. 또한, 해수 온도는 실로쵸우 조개의 성장에 최적인 24 내지 26℃로 조절한다.
도 2에 사료로서 아코야 조개의 경우와 동일한 조성의 탈지 분유, 몰로헤이야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투여하여 2년간 사육한 경우의 조개의 성장 정도를 껍데기 높이의 변화로 도시한다. 또한, 최초 성장 정도가 평균 정도인 조개 10개를 선택하고, 조개의 껍데기 높이는 이후 그 평균치로 도시한다. 또한, 비교용 사료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배양 플랑크톤을 사용한 것 이외는, 동일한 조건으로 1년간 사육한 경우의 육성 기록도 함께 도시한다.
조개의 폐사율은 이와 같은 최적의 조건을 선택한 환경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한 사료로 사육한 경우, 핵 이식수술 직후의 폐사율은 10 내지 12% 정도이고, 그 이후는 수 %로 저하된다. 대부분의 조개는 순조롭게 성장하여 조개의 성장율은 플랑크톤 보다 3 내지 4% 정도 높고, 탈지 분유는 실로쵸우 조개의 사료로도 적합하다고 분류한다. 2년간 사육 후 진주를 취해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진주층의 성장도 순조롭고 품질도 자연의 바다속에서 채취한 것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다.
실로쵸우 조개는 통상 아열대 해역에서 생식하고 있어 생존에 최적의 온도도 높기 때문에, 당국에서는 극히 일부의 해역을 제외하고 양식은 곤란하며, 양식된 경우도 해수 온도가 저하되는 동계는 조개 및 진주층의 성장도 정지한다. 이외의 계절이라도 최적 수온이 되는 24 내지 27℃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진주층의 성장 속도가 급속히 저하되는 것외에, 조개의 폐사율이 높게 되어 진주층의 감김도 얇고 남해양산의 진주와 비교하여 품질도 상당히 열등하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양식조내를 항상 최적 수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고, 탈지 분유에 대한 기호성도 자연의 바다속의 플랑크톤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기 때문에, 진주층의 성장 속도도 종래의 양식 방법보다 현저히 빠르다. 더욱이 조개의 폐사율도 이식수술 직후는 12 내지 15%이지만, 그 이후는 1년 당 4 내지 5%로 저하하기 때문에, 최근 자연 해수의 오염을 고려하면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수득된 진주도 상당히 큰입자로 되어 진주층도 두텁고 양호하며, 국내에서도 남해양산 실로쵸우 조개 진주와 비교하여 손색이 없는 품질의 진주가 양식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클로쵸우 조개에 대하여,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을 이식하여 상술한 실로쵸우 조개와 동일한 조건으로 1년 양식하여 폐사율, 껍질 높이의 신장에 의한 성장 속도 및 1년 후 취하여 진주층의 성장 정도를 조사한다. 도 4에 조개의 껍질 높이의 변화에 의한 성장 속도를 도시한다. 양식후 조내액의 사료로 배양시험을 한 결과,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가 번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로서 탈지 분유, 몰로헤이야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투여할 경우, 클로쵸우 조개도 순조롭게 성장하여 사료로서 탈지 분유가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조개의 폐사율은 이식 수술직후는 약 10% 이지만, 그 이후는 년당 3 내지 4%로 저하된다. 진주층의 성장도 순조롭고 품질도 자연의 바다속에서 채취한 것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국내에서도 남해양산 클로쵸우조개 진주와 비교하여 손색 없는 품질의 진주가 양식 가능하게 되고, 이 밖의 이점도 상술한 실로쵸우 조개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다음에,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 예로서, 이케쵸우 조개에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을 이식하여 소형수조, 예를 들면 열대어 감상용 수조등을 이용하여 담수속에서 양식하는 경우에 관해 기술한다. 열대어 감상용 수조에는 소형의 활성탄 입자를 포함한 산호 모래의 여과기, 수온 조절기, 공기 주입기 및 조명용 형광등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내의 담수는 수도물의 칼크를 발췌한 후 활성탄 입자를 포함한 산호 모래의 여과기에서 잠깐 순환시켜 사용하여도 되지만, 진주를 양식시킨 조개의 육성에 최적의 박테리아가 번식하고 있는 수조의 물을 일부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채묘 후 2년의 이케쵸우 조개에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을 이식하여, 수중의 1개 당 전유 용적을 3 내지 5ℓ가 되는 비율로 수조에 넣는다. 조내의 수온, pH 및 용존 산소량이 일정한 조건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사료로서 탈지 분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몰로헤이야 분말 5중량부, 탄산칼슘 미분말 20중량부의 혼합물을 정시마다 직접 수조내에 투입한다. 이케쵸우 조개의 먹이는 통상 플랑크톤 외에, 플랑크톤의 사해가 수중의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일부 변질된 생성물, 또는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미소한 유기물(데트리터스)이다. 수중에 분산된 탈지 분유의 미립자 및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일부가 변질된 생성물이 조개의 먹이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장기간 탈지 분유만으로 양식하여도 이케쵸우 조개가 순조롭게 성장하여 고품질의 진주를 얻게 되는 것은 탈지 분유에 포함된 영양 성분이 플랑크톤과 유사하다는 점도 큰 요인이다.
이케쵸우 조개도 아코야 조개의 경우와 동일하게, 먹이로서 탈지 분유에 몰로헤이야 미분말을 첨가하면 조개의 먹이에 대한 기호성이 높아지고, 성장 속도 더나아가서는 진주층의 형성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확인된다. 몰로헤이야의 영양 성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랑크톤과는 현저히 다른 것이지만, 조개가 탈지 분유를 섭취하는 작용을 촉진하는 박테리아 번식의 촉진, 또는 배지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탄산칼슘은 아코야 조개의 경우와 동일하게 진주층의 성장을 현저하게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해지고 있다.
수조 내부의 물을 항상 이케쵸우 조개의 생식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소형의 활성탄을 포함한 산호 모래의 여과기를 통해서 순환시키고 있다. 여과층으로 되어 있는 활성탄 입자 및 산호 모래의 세공은 탈지분유의 기호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박테리아의 배지에 적합하며, 그 번식을 촉진하기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산호 모래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이고, 일부는 용출하여 조개에 섭취되어 저하된 해수중의 탄산칼슘 농도를 보급하거나 pH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수조의 하부는 조개의 배설물 및 기타 부유물이 침전되기 때문에, 하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곳에 침전물이 고이도록 하고, 정시에 밸브를 열어 취하거나 또는 상부로부터 파이프를 삽입하여 흡인 제거할 필요가 있다. 기타 수온은 이케쵸우 조개의 성장에 최적인 22 내지 23℃로 조절하고, 또한 조개의 습성에 맞추어 사료 공급후 일정 시간은 조내의 순환을 정지시키고, 또한 형광등으로 소정 시간 소정의 밝기의 조명이 되게 한다.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을 이식한 이케쵸우 조개 16개를 열대어 감상용 소형 수조내에서 6개월간 사육한다. 그 결과, 죽은 조개 1개 이외에는 순조롭게 육성되어, 양호한 진주층이 성장한 형상도 좋고 직경 6 내지 8mm의 진주가 조개 1개당 2 내지 3개씩 수득된다. 자연의 호수에서 양식한 경우와 비교하여 진주층의 성장이 매우 빠른 것은 본 발명 방법의 큰 특징이며, 진주층의 품질도 양호하다. 이 같은 소형의 수조는 진주 양식용으로의 사용외에, 열대어의 감상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이케쵸우 조개를 장기간 사육했을 때의 성장 곡선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양식시의 조내의 수중에는 아시넥토박터 속, 비브리오 속, 플라보박테리움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가 번식하고 있는 것이 배양 시험 결과 확인된다.
또한, 자연의 호수와 늪에서 채묘하거나 인공 수정에 의해 부화된 유생 또는 어린 조개를 진주 양식의 경우와 동일하게 탈지 분유 또는 이에 일부를 충분히 분쇄후 으깬 몰로헤이야를 첨가한 사료로 사육한다. 어느 것이나 순조롭게 어미 조개로 성장하여, 폐사율도 자연의 호수 늪에서 사육한 경우 보다도 상당히 낮다. 탈지 분유를 수중에 충분히 분산시키면 입자 직경이 0.12μm 정도의 극미립자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소한 유생이나 어린 조개의 작은 입으로부터 물과 함께 흡입하는데 적합한 것도 한가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한 사료에 의해, 육상의 수조내에서 아코야 조개등 진주 조개를 사육하는 것에 의한 진주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지 분유는 공급이 안정된 종래의 플랑크톤을 양식한 사료와 비교하여 경제성도 높고, 공장화된 육상의 대형 수조에서 조개의 육성에 최적의 조건으로 양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어미 조개 및 진주층의 성장이 천연의 바다속에서의 양식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빠르고, 직경 l0 내지 12mm의 진주가 용이하게 수득되고, 진주층도 균일하여 품질이 우수하다. 또한 어미 조개의 사망율의 저하, 태풍·적조등의 자연 재해의 우려가 없는 것, 또한 해수의 온도 관계에서 동계 약 6개월은 조개가 동면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면, 큰 이득이 있다.

Claims (10)

  1.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2.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아시넥토박터(Acinectobactor) 속, 비브리오(Vibrio) 속,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 속 또는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의 존재하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3.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 및 몰로헤이야 또는/및 탄산칼슘을 포함한 사료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해수 서식용 2매의 조개가 아코야 조개, 클로쵸우 조개, 실로쵸우 조개 또는 마베 조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5.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6. 진주층 형성용 조개의 외투막편 및 핵, 또는 외투막편을 이식한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의 담수 중에서 탈지 분유 및 몰로헤이야 또는/및 탄산칼슘을 포함한 사료로 양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2매의 조개가 이케쵸우 조개 또는 히레이케쵸우 조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 방법.
  8. 자연의 바다속에서 채취하거나 인공 수정으로 부화시킨 해수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를 해수 또는 실질적으로 해수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또는 자연의 하천 또는 호수와 늪에서 채취하거나 인공 수정으로 부화시킨 담수 서식용 2매의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를 육상의 양식 시설에서 탈지 분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로 사육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용 조개의 유생 또는 어린 조개 및 어미 조개의 사육방법.
  9. 육상에 설치된 진주 양식용 수조에 있어서, 조내액의 순환용 배관에 여과조가 설치되고, 여과재로서 활성탄 또는 탄소재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용 수조.
  10. 진주 양식용 수조는 (A) 양식조, (B) 사료 조제조, (C) 여과조 및 (D) 환경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A) 양식조의 내부에는 수면 위에서 사료 용액을 붓고, 조내측면의 하부에 설치된 순환액 발취구로부터 발취한 액을 여과조에서 여과시킨 후, 조내측면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조내의 액이 조내 벽면을 따라 순환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순환액 주입구에서 분사시키고, 조내 바닥면은 완만한 역원추형으로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침전물 및 하층액 발취용 배출구가 설치되고, (B) 사료 조제조에는 액 및 사료 공급 설비 및 용해 장치가 설치되고, (C) 여과조에 충전된 여과재는 활성탄 및 탄소재, 모래, 산호 모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며, (D) 환경 제어장치에는 형광등 조명장치 및 조내 온도 제어장치, 공기 취입장치 및 상기한 각 설비가 포함된 운전 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 양식용 수조.
KR1019970012087A 1996-08-13 1997-04-02 진주 양식 방법 KR19980041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2600 1996-08-13
JP23260096 1996-08-13
JP8315443A JPH10108581A (ja) 1996-08-13 1996-11-11 真珠養殖方法
JP96-315443 1996-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699A true KR19980041699A (ko) 1998-08-17

Family

ID=265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87A KR19980041699A (ko) 1996-08-13 1997-04-02 진주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08581A (ko)
KR (1) KR199800416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33A (ko) * 1999-06-01 2001-01-05 조양호 유핵 전복진주 양식방법
KR100397669B1 (ko) * 2001-08-23 2003-09-13 서충구 담수에서 진주를 양식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2866A (ja) * 2004-10-28 2008-02-07 Stream Co Ltd 彫刻真珠及びその加飾方法
FR2904188B1 (fr) * 2006-07-25 2009-06-05 Raapoto Poemata Solange Procede permettant au mollusque de produire une couche nacriere sur un nucleus aux reliefs finements sculptes pour obtenir une protuberance nacriere dans le respect des proportions
FR2909287A1 (fr) * 2006-11-07 2008-06-06 Raapoto Poemata Solange Uriri Procede permettant au mollusque de produire une couche nacriere sur un nucleus finement sculpte dans la regularite du recouvrement et dans le respect des proportions
CN102217563B (zh) * 2011-04-11 2012-10-03 海南京润珍珠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核珍珠粒培育的插核方法
JP6872208B1 (ja) * 2020-03-16 2021-05-19 うみの株式会社 牡蠣などの貝類を生かしたまま任意の風味付けを施し、提供するための製造方法および該貝類の提供
CN113331097A (zh) * 2021-06-11 2021-09-03 广东海洋大学 一种珠母贝人工育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33A (ko) * 1999-06-01 2001-01-05 조양호 유핵 전복진주 양식방법
KR100397669B1 (ko) * 2001-08-23 2003-09-13 서충구 담수에서 진주를 양식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08581A (ja) 199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09763B (zh) 海水生态观赏水族箱的制作方法及海水生态观赏水族箱
US6584935B2 (en) Process for culturing crabs in recirculating marine aquaculture systems
US5732654A (en) Open air mariculture system and method of culturing marine animals
US9027510B2 (en) Multi-level aquaculture device for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aquaculture method, and biofilter using same
JP5629288B2 (ja) 魚介類養殖装置並びに養殖方法
CN108439711A (zh) 一种工厂化海水养殖废水一体化处理净化系统及方法
JP2005525801A (ja) 水生種を生産するための養殖法およびシステム
TW201216842A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CN110235826A (zh) 一种红螯螯虾苗种暖棚标粗培育方法
KR101174290B1 (ko) 사육수 순환 여과 장치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해삼 양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상 수조식 해삼 양식 방법
CN105918171A (zh) 南美白对虾室内工厂化培育方法及培育装置
CN109197709A (zh) 一种鹦鹉螺的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CN104823898B (zh) 一种多鳞鱚仔鱼开口饵料的制备方法及其投喂方法
CN1460413A (zh) 一种养殖鲑鱼的方法和装置
KR102037627B1 (ko)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KR19980041699A (ko) 진주 양식 방법
KR101711969B1 (ko) 해저면 복합 양식용 케이지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EP0841005A1 (en) Cultivation method of pearls
CN1401225A (zh) 一种文蛤育苗越冬及中间育成方法
KR20170009407A (ko) 양식용 케이지를 이용한 수산생물의 양식장치와 양식방법
CN110250047A (zh) 一种工厂化养殖四指马鲅的方法
Sorgeloos et al. Production and use of Artemia in aquaculture
WO2010017172A2 (en) Marine aquaculture system
CN213881396U (zh) 一种用于螺、贝类水产的周年规模化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