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392A -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392A
KR19980041392A KR1019960060695A KR19960060695A KR19980041392A KR 19980041392 A KR19980041392 A KR 19980041392A KR 1019960060695 A KR1019960060695 A KR 1019960060695A KR 19960060695 A KR19960060695 A KR 19960060695A KR 19980041392 A KR19980041392 A KR 1998004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ehicle
fire extinguisher
sprinkler head
closed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392A/ko
Publication of KR1998004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392A/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차실이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기(100)를 트렁크룸(A)에 설치하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차실(B)과 엔진룸(C)에 각각 설치한 후 파이프(300)를 상기 소화기(100)로부터 분기시켜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에 연결하여, 자동차의 화재발생시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구동으로 상기 소화기(100)의 소화약재를 자동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차실이나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어린이가 불장난하거나 또는 충돌사고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에 간이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연기에 질식되거나 자동차 충돌로 인하여 의식이 혼미할 경우 그리고 차체에 끼어 차량으로부터 탈출이 불가할 경우에는 차량에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할 여유가 없다.
특히, 자동차의 충돌시 누유된 연료에 인화가 되면 화염이 급속히 확산되어 그 만큼 탈출시간 이나 구조시간이 부족하여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량의 화재로 인한 탑승자의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속한 화재 진압체계와 차량의 화재 특성에 맞는 소화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화재발생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차량에 비치된 소화기가 작동되면서 소화약제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소화기 200.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a. 감열체 b. 반사판
300. 파이프 A. 트렁크룸
B. 차실 C. 엔진룸
D. 루프 E. 차체 바닥
본 발명은 소화기(100)를 트렁크룸(A)에 설치하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차실(B)과 엔진룸(C)에 각각 설치한 후 파이프(300)를 상기 소화기(100)로부터 분기시켜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에 연결하여, 자동차의 화재발생시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구동으로 상기 소화기(100)의 소화약재를 자동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압장치의 구성도 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화기(100)는 별도의 브라켓이나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트렁크룸(A)에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한다.
부언하여, 상기한 소화기(100)는 자체에 열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되, 감열체(a)를 갖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구비한다. 예를들어 소화기(100)로는 유류화재에 적당한 탄산가스, 증발성 액체, 분말, 포 소화기(1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렁크룸(A)은 공간확보가 유리하므로 적절한 브라켓이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2개를 마련하여 하나는 차체의 루프(D) 안쪽면에 고정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엔진룸(C)에 적당한 위치에 설치한다. 엔진룸(C)은 구조가 복잡하며 고열이 발생하므로 통풍이 잘되고 소화약재가 넓게 확산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여,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반사판(b)이 있는 것으로 사용한다.
파이프(300)의 연결시 파이프(300)상에 소화약제가 충만된 상태로 되도록 소화기(100)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연결하되, 감열체(a)가 불을 감지하면 파이프(300)를 개방시켜 충전된 소화약제가 즉시 방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파이프(300)의 연결시에는 소화기(100) 로부터 분기한 다음 루프(D) 내부와 차체 바닥(E)을 통하여 연장시키고, 이때 파이프(300)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실(B)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차실(B)이나 엔진룸(C)에 화재가 발생하면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감열체(a)가 불을 감지하면 파이프(300)를 개방시키고 이와 동시에 소화기(100)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화재발생 공간에 즉시 방사되므로 화재를 자동적으로 빠르게 진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사고 등으로 인하여 차실(B)이나 엔진룸(C)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의 화재를 초기에 빠르게 진압하므로 탑승자의 인명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소화기(100)를 트렁크룸(A)에 설치하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차실(B)과 엔진룸(C)에 각각 설치한 후 파이프(300)를 상기 소화기(100)로부터 분기시켜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에 연결하여, 자동차의 화재발생시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구동으로 상기 소화기(100)의 소화약재를 자동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KR1019960060695A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KR19980041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695A KR19980041392A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695A KR19980041392A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92A true KR19980041392A (ko) 1998-08-17

Family

ID=6647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695A KR19980041392A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3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35U (ko) * 2018-10-29 2018-11-16 구강영 자동차 엔진룸내 화재진압을 위해, 카울 어셈블리에 소화용 노즐 추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35U (ko) * 2018-10-29 2018-11-16 구강영 자동차 엔진룸내 화재진압을 위해, 카울 어셈블리에 소화용 노즐 추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265B2 (ja) 火災の予防と消火のための方法と装置
RU9711185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пасности пожара
US6352121B1 (en) Vehicle fire extinguisher system
RU94030725A (ru) Систем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53167U1 (ru) Система объем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WO1995023630A1 (en) Fire suppressing system for motor vehicle
KR19980041392A (ko)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GB2128084A (en) Fire extinguisher
CN211798449U (zh) 一种应用于氢能汽车的防自燃保护装置
KR19980017740U (ko) 자동차의 화재 진압장치
RU26119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вентивной огнезащиты
KR20060004219A (ko) 버스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970000278A (ko) 자동차 기관실의 자동소화장치
KR20120009050A (ko) 버스용 엔진룸 자동 소화 장치
KR200148919Y1 (ko) 소화기 고정기를 갖는 대형버스
KR200145911Y1 (ko) 엔진룸 화재자동소화장치
KR970032933A (ko) 자동차용 엔진룸의 자기소화장치
TR199900376A2 (xx) Motorlu araçlarda yangın söndürme sistemi.
KR0129072Y1 (ko) 자동차용 화재진압장치
KR0129532Y1 (ko) 차량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KR19980063858U (ko) 차량용 소화장치
KR100189254B1 (ko) 운전자 보호장치
JP2003088594A (ja) 自動車用防災設備
KR970009829A (ko) 자동차용 소화 장치
KR20040042444A (ko) 차량용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