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647U -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0647U KR19980040647U KR2019960053728U KR19960053728U KR19980040647U KR 19980040647 U KR19980040647 U KR 19980040647U KR 2019960053728 U KR2019960053728 U KR 2019960053728U KR 19960053728 U KR19960053728 U KR 19960053728U KR 19980040647 U KR19980040647 U KR 1998004064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ancing weight
- crankshaft
- width
- present
- streamlin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20—Shape of crankshafts or eccentric-shafts having regard to 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피스톤 왕복 운동을 받아 회전 운동하여 동력을 전달시키는 크랭크 샤프트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크랭크 핀에 대향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발란싱 웨이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블로우 바이 가스와 공기등과의 충돌에 의한 풍절 소음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발란싱 웨이트는 기존의 평면형상의 너비를 대신하여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유선형상의 너비부는 단지 발란싱 웨이트의 하면부 뿐만 아니라 양쪽 측면부상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랭크 샤프트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된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 샤프트는 크랭크 케이스 내에 설치된 메인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고, 각 실린더의 동력 행정에서 발생된 피스톤의 직선동력을 커넥팅 로드를 통해 회전동력으로 바꾸고, 반대로 다른 행정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가해 연속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크랭크 샤프트는 크랭크 핀(2), 크랭크 아암, 크랭크 저어널(3)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1의 (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의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해 크랭크 아암에 발란싱 웨이트(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는 플라이 휘일을 부착시키기 위한 플랜지와 클러치 샤프트의 단부를 지지하는 파일럿 베어링을 끼우는 하우징이 있으며, 전방 단부에는 캠 샤프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타이밍 기어, 또는 타이밍 체인 스프로킷과 물 펌프 및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크랭크 풀리가 부착된다.
또한, 크랭크 샤프트의 내부에는 커넥팅 로드 베어링과 피스톤 핀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윤활유 통로가 있으며, 메인 베어링에 공급되는 오일의 일부가 이 기름 통로를 통해서 압송된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의 전후방 단부에서 크랭크 케이스 내의 윤활유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뒤의 베어링 바깥쪽에 오일 시일이 들어있으며, 뒤쪽에 오일 시일을 쓰지 않고 오일 슬링거와 오일 스토퍼를 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랭크 샤프트의 구조에 있어서, 이러한 크랭크 샤프트는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크랭크 케이스내에는 엔진의 블로우 바이 가스와 공기 등이 가득차 있게 되므로써, 크랭크 핀(2)에 대향하여 축 중심의 외측으로 연장된 발란싱 웨이트가 이러한 블로우 바이 가스 및 공기와 부딪치게 되므로써 풍절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크랭크 샤프트에 형성된 발란스 웨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블로우 바이 가스와 공기 등과의 충돌에 의한 풍절 소음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의 (가)는 종래의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된 발란싱 웨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나)는 (가)에 도시된 발란싱 웨이트의 하면도이다.
도 2의 (가)는 본 고안에 발란싱 웨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나)는 (가)에 도시된 발란싱 웨이트의 하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란싱 웨이트2 ; 크랭크 핀
3 ; 크랭크 저어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은 피스톤 왕복 운동을 받아 회전 운동하여 동력을 전달시키는 크랭크 샤프트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크랭크 핀에 대향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발란싱 웨이트의 구조로서, 발란싱 웨이트는 기존의 평면형상의 너비를 대신하여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유선형상의 너비부는 단지 발란싱 웨이트의 하면부 뿐만 아니라 양쪽 측면부상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도 2의 (가)는 본 고안에 발란싱 웨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나)는 (가)에 도시된 발란싱 웨이트의 하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크랭크 핀(2)에 대향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으로 연장된 발란싱 웨이트(1)는, 도 2(나)에서와 같이, 기존의 평면형상의 너비를 대신하여 유선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유선형상의 너비부는 단지 발란싱 웨이트(1)의 하면부 뿐만 아니라 양쪽 측면부상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라 유선형의 너비를 갖는 발란싱 웨이트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기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채워져 있는 블로우 바이 가스 및 공기 등과의 충돌에 의한 저항이 감소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에 의하면, 크랭크 핀(2)에 대향하여 형성된 발란싱 웨이트의 너비를 기존의 평면형상으로부터 유선형으로 변경시키므로써,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서의 회전시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블로우 바이 가스와 공기와의 부딪침에 의한 저항 및 풍절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 엔진의 피스톤 왕복 운동을 받아 회전 운동하여 동력을 전달시키는 크랭크 샤프트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크랭크 핀에 대향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발란싱 웨이트의 구조로서, 발란싱 웨이트는 기존의 평면형상의 너비를 대신하여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유선형상의 너비부는 단지 발란싱 웨이트의 하면부 뿐만 아니라 양쪽 측면부상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3728U KR19980040647U (ko) | 1996-12-23 | 1996-12-23 |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3728U KR19980040647U (ko) | 1996-12-23 | 1996-12-23 |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0647U true KR19980040647U (ko) | 1998-09-15 |
Family
ID=5399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53728U KR19980040647U (ko) | 1996-12-23 | 1996-12-23 |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40647U (ko) |
-
1996
- 1996-12-23 KR KR2019960053728U patent/KR1998004064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286171C (en) | Engine balancing device with a lubricant side discharge | |
CN212690200U (zh) | 发动机及其曲轴箱 | |
KR100946746B1 (ko) | 엔진의 밸브 작동 장치 | |
JP3754572B2 (ja) | 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シールの潤滑装置 | |
US5850764A (en) | Crankshaft dri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9980040647U (ko) | 크랭크 샤프트의 발란싱 웨이트 구조 | |
KR960003787Y1 (ko) | 자동차용 크랭크 샤프트 | |
JP2000027948A (ja) | 船外機のバランサ装置 | |
CN110821596B (zh) | 水平对置活塞式发动机 | |
KR20080007377A (ko) | 엔진 | |
KR200152336Y1 (ko) | 엔진 발란스 샤프트 고정구조 | |
JP2007002740A (ja) | エンジン | |
JP2007002739A (ja) | エンジン | |
KR100191916B1 (ko) |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블록 조립체 | |
KR100270903B1 (ko) | 차량의 엔진 | |
KR200166292Y1 (ko) | 밸런스 샤프트 장치 | |
JPH02275020A (ja) | バーチカルクランク軸エンジン | |
JP2505193Y2 (ja) |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 | |
CN116537907A (zh) | 发动机 | |
JPH04266645A (ja) |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 |
KR19980034294U (ko) | 자동차 크랭크축의 굽힘 진동 완화장치 | |
KR19990032843U (ko) | 일체형 베어링 캡을 구비한 엔진 | |
KR20010066003A (ko) | 크랭크축의 가변 회전 관성 장치 | |
KR19990032830U (ko) | 크랭크축 메인 베어링의 윤활구조 | |
KR890004313Y1 (ko) | 내연기관의 평형축용 베어링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