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223A -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223A
KR19980040223A KR1019960059367A KR19960059367A KR19980040223A KR 19980040223 A KR19980040223 A KR 19980040223A KR 1019960059367 A KR1019960059367 A KR 1019960059367A KR 19960059367 A KR19960059367 A KR 19960059367A KR 19980040223 A KR19980040223 A KR 1998004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olyester copolymer
polymer
ppm
antim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5202B1 (ko
Inventor
손영호
백문수
최오곤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제일합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제일합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6005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2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Germanium, 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6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에 암모늄화합물을 투입하여 에스테르반응이 완료된 반응물에 이소프탈산을 다시 공중합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축합반응 직전에 인화합물과 주석화합물을 반응물의 안정제로, 안티몬화합물을 중합촉진제로 사용하며, 안트라퀴논의 구조를 갖는 아민화합물과 코발트아세테이트를 색조 개선제로 사용하여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에 암모늄화합물을 투입하여 에스테르반응이 완료된 반응물에 이소프탈산을 다시 공중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폴리에스테르라 한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축합반응 직전에 인 화합물과 주석화합물을 반응물의 안정제로, 안티몬화합물을 중합촉진제로 사용하며, 안트라퀴논의 구조를 갖는 아민화합물과 코발트아세테이트를 색조개선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는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류, 필름, 탄산음료병, 화장품용기 및 타이어코드등 그 용도가 실로 다양하며, 앞으로도 그 사용처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그런데, 이들 폴리에스테르를 용도로 전개함에 있어 특히, 용기로의 전개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여 그 수요가 최근 수년사이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이러한 폭발적 수용의 확산으로 탄산음료, 청량음료, 세제 및 화장품등의 일회용기가 환경적인 문제로 심각하게 대두되어 유리병처럼 세척을 통해 20회 이상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에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기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분자구조가 직선형으로 고결정성, 고융점이기 때문에 두꺼운 용기의 성형에는 결정형 구조의 형성으로 투명성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종의 직선형 폴리에스테르의 수지에 방향족 또는 지방족 다가알코올의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결정화속도가 느리게 일어나도록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투명성과 결정화 속도를 낮추는 공중합체로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또는 나프탈렌카르복실산을 에스테르 형성하는 산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디올 성분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1,4-히드록시디메틸시클로헥산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등은 대량으로 생산할 경우 제조방식, 공법 및 조건에 따라 중합체의 물성은 물론 투명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종래 기술들의 예를 보면, 일본특공소 55-40704, 일본특공소 52-49292호에서는 게르마늄 촉매가 사용되었는데-이는 안티몬 화합물을 흑색화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나, 게르마늄 촉매의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게르마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투명성을 양호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일본 특공소 49-35461, 일본특공소 49-33998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도 사용하는 촉매가 티탄화합물이므로 중축합반응의 속도측면에서는 유리하나 폴리머의 색조가 나빠져 용기등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미국특허 제4281104호에서는 촉매 및 안정제의 종류와 함량을 조절하고, 영국특허 7066290호에서는 디에틸글리콜을 사용하여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촉매 사용으로는 투명성은 극복할 수 있으나 색조향상과 부반응물인 아세트알데히드나 디에틸글리콜등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결정화억제용 공중합화합물에 부반응 억제제인 암모늄화합물을 에스테르반응물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안정제로서 인화합물과 주석화합물을, 중합촉매로는 안티몬화합물을, 색조개선제로는 코발트화합물과 안트라퀴논의 구조를 갖는 아민화합물을 적정비율로 첨가하여 투명성이 우수하고 색조가 양호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에스테르촉매인 테트라알킬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A)를 사용하고 테레프탈산에 에틸렌글리콜의 몰비가 1.05에서 1.40몰비로 에스테르화 반응관에 동시 투입하여 반응율이 84 내지 93% 범위의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T)를 제조한다. 이 BHT반응물에 이소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몰비를 0.7 내지 1.60 으로, 적합하게는 0.9-1.3의 몰비로 첨가, 제조하여 폴리머의 카르복실 말단기가 20을 초과하고 40(eq/106g)미만을 갖는 에스테르반응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인화합물(C) 및 하기 일반식[I] (D)의 화합물과 색조개선제로 코발트 화합물(E)과 1,4-비스 [2,6-디메틸-4-하이드록시 페닐] 아민 안트라퀴논화합물(F)을 제2 에스테르화 반응관에 투입하여 촉매 및 열안정제의 첨가량이 식 [Ⅱ]~[Ⅴ]를 만족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여 부반응물이 적고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식중 M은 주기율표 Ⅵ족의 Si, Ge, Sn, Pb이고 R1,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며, R3, R4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릴기이며, B, C, D, E, F는 각각 폴리머 중의 안티몬화합물, 인화합물, 주석화합물, 코발트화합물, 아민화합물의 환산량(ppm)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부반응을 억제하는 에스테르촉매로는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가 사용되며 투입량은 폴리머에 대하여 50~600ppm범위가 적당하다. 투입량이 50ppm이하이면 말단기 [COOH] 의 수가 적어져 고상반응 속도가 늦어지는 결점이 있다. 중축합 촉매로는 안티몬트리클로라이드 또는 안티몬트리플루오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촉매의 사용량은 폴리머에 대해 150~700ppm이 적당하다. 촉매가 150ppm보다 적으면 중합도의 상승이 늦게되며 700ppm이상이면 색조가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정제로는 인산트리메틸포스페이드, 인산트리에틸포스페이드 또는 인산트리페닐포스페이드등이 좋으며 함량은 폴리머에 대해 50~200ppm의 범위가 적당하며 안티몬화합물과 인화합물의 비는 1.25~6.0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사용된 주석화합물은 폴리머가 고온에서 중축합반응시 열안정제 역할을 하는데 이 화합물의 적당량 사용은 중축합반응시 폴리머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하는 말단 비닐기의 함량을 줄여 착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종류로는 디에틸틴말레이트, 디부틸틴말레이트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폴리머에 대해 15~40ppm의 범위가 좋으며 안티몬화합물과 주석화합물의 비는 3.75~46범위가 적당하다. 사용량이 46이상에서는 착색방지효과가 없으며 3.75이하에서는 폴리머의 색조가 붉은색으로 변화되어 성형된 용기의 미관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 주석화합물이 첨가될때 색조개선제 1,4-비스 [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 아민안트라퀴논을 폴리머에 대해 1~50ppm범위로 첨가하면 폴리머의 색조가 얼음과 같이 푸른색을 나타내어 색조가 크게 향상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코발트화합물(E)은 식(Ⅴ)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주석화합물과 아민화합물에 의해 결정되며 그 첨가량이 식(Ⅴ)에서 1.50미만 또는 4.0이상이면 폴리머의 색조가 얼음과 같은 푸른색을 잃어버려 용기의 미관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안티몬화합물과 주석화합물은 촉매 용해조에서 140℃로 완전히 용해하여 투입하여야 하며 색조개선제인 1,4-비스 [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 아민안트라퀴논화합물은 인화합물과 함께 안티몬화합물보다 먼저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용기제조용수지는 결정화속도가 늦기 때문에 용기성형시 냉각시간이 짧아져서 성형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성을 향상 시킬수 있어 좋으며, 용도 또한 식품용은 물론 의약품, 두꺼운 화장품용기등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기에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중 극함점도는 오르토클로로페놀을 용매로 사용하여 25℃에서 위벨로드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고, 아세트알데히드는 폴리머를 추출하여 가스크로마토그레피로 측정하여 ppm단위로 나타내었으며, 폴리머 색조는 중합반응이 완료된 후 25℃수온에서 고화된 칩을 실온에서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색조L치는 명도(값이 클수록 백색), b치는 황색(값이 클수록)과 푸른색(값이 적을수록) 색상을 표시한다.
또한 폴리머의 투명성은 용액 헤이즈(HAZE)로 나타내는데 그 방법은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 중량비)혼합용액에 120℃로 용해시킨 후 헤이즈 측정기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값이 낮을수록 양호함).
실시예 1
테레프탈산 슬러리관(3)에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몰비를 1.12로 하여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200ppm을 에스테르반응과(4)에 투입하여 에스테르반응율이 88%가 되면 BHT반응관(5)으로 이행하면서 이 반응관의 전단부에 이소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몰비가 1.30으로 조제된 슬러리액을 연속적으로 첨가한다. 열안정제인 트리메틸포스페이스 120ppm과 비스 [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 아민 안트라퀴논 2ppm을 저장조(13)에서 BHT반응관(6)으로 투입되도록 하며 중합촉매인 안티몬화합물과 안정제인 디부틸틴말레이트를 용해조(12)에서 2.0%용액으로 용해한 후 저장조(14)로 이송하고 여기에 코발트아세테이트를 용해시킨 다음 촉매저장조(14)에서 BHT(5)로 정량적 투입을 한다.
이때 투입되는 촉매량은 안티몬 트리옥사이드가 170ppm,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가 300ppm, 디부틸틴말에이트가 20ppm, 코발트아세테이트가 60ppm이 되도록 한다, 중축합반응관(6),(7),(8)를 통해 얻어진 공중합체는 극한점도 [η] 가 0.640이고 아세트알데히드의 함량은 95ppm이었다. 색조(L/b)는 56.0/2.0, 헤이즈는 0.4로 매우 투명하였다.
이때 공정상의 반응과의 온도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2-7
실시예에서 행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진행하고 촉매의 투입량은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도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위의 표에서 나타난 것은 중합촉매인 안티몬트리옥사이드 양이 증가하면 색조 L치가 낮아지고, b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1,4-비스 [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 아민안트라퀴논의 함량이 증가하면 b치가 낮아짐과 동시에 투명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시예 1-3
실시예 1에서 행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진행시키고 촉매의 투입량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1-3에서 나타난 것은 안티몬화합물과 인화합물의 함량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투입하면서 4와 5의 화합물 중 하나를 투입하지 않으면 색조와 투명성이 조금씩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두 물질을 모두 투입하지 않을 경우는 색조와 투명성이 상당히 나빠짐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에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암모늄화합물(A)을 에스테르화 반응관에 투입한 다음 에스테르반응율이 84% 내지 93%의 범위에서 이소프탈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테레프탈산에 대한 에틸렌글리콜의 몰비는 1.05에서 1.40몰비로 하고 이소프탈산은 에틸렌글리콜의 몰비가 0.70에서 1.60몰비로 하여 카르복실 말단기가 20을 초과하여 40(eq/106g)미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합물의 반응율이 93 내지 99%의 범위에서 중합촉매로 안티몬화합물(B), 열안정제로 인화합물(C) 및 하기 일반식 [Ⅰ](D)의 화합물, 색조개선제로 코발트화합물(E)을 제 2 에스테르화 반응관에 투입하여 촉매 및 열안정제의 첨가량이 식[Ⅱ]~[Ⅴ]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상기 식중 M은 주기율표 Ⅳ족의 Si, Ge, Sn, Pb이고 R1,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1-5의 알킬기이며, R3, R4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릴기이며, B, C, D, E, F는 각각 폴리머 중의 안티몬화합물, 인화합물, 주석화합물, 코발트화합물, 아민화합물의 환산량(ppm)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1,4-비스 [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 아민안트라퀴논을 폴리머에 대해 1~50ppm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부반응을 억제하는 에스테르촉매로 테트라메틸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테트라에틸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폴리머에 대하여 50~600ppm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안티몬화합물로 안티몬트리옥사이드,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 안티몬 트리클로라이드 또는 안티몬트리플루오라이드를 폴리머에 대해 150~700ppm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인화합물로 인산메틸포스페이트, 인산트리에틸포스페이트 또는 인산 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폴리머에 대해 50~200ppm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주석화합물로 디메틸틴말레이트 또는 이부틸틴말레이트를 폴리머에 대하여 15~40ppm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9960059367A 1996-11-29 1996-11-29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20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67A KR100205202B1 (ko) 1996-11-29 1996-11-29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67A KR100205202B1 (ko) 1996-11-29 1996-11-29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23A true KR19980040223A (ko) 1998-08-17
KR100205202B1 KR100205202B1 (ko) 1999-07-01

Family

ID=1948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367A KR100205202B1 (ko) 1996-11-29 1996-11-29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080A (ko) * 1998-01-07 1999-08-05 한형수 반응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보틀용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080A (ko) * 1998-01-07 1999-08-05 한형수 반응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보틀용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5202B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4759B2 (ja) 色調のすぐれ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5681918A (en) Process for preparing copolyesters of terephthalic acid ethylene glycol and 1 4-cyclohexanedimethanol exhibiting a neutral hue high clarity and increased brightness
AU720667B2 (en) Ethylene terephthalate/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 copolymer for bottles
US5378796A (en) Process for preparing copolyesters
KR100845379B1 (ko) 1,4-사이클로헥산디메타놀 및 이소프탈산을 기초로 하는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US3714125A (en) Aromatic ortho-carbamates added to polyester polycondensation
JP2000511211A (ja) アンチモン化合物を触媒として使用して生成された熱安定性ポリエステル
US5898060A (en) Copolyester for molding a bottle
US3984379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olyesters
KR100205202B1 (ko)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3108047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19980020221A (ko) 색조와 투명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연속중합 제조방법
JPH07216074A (ja)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9990065080A (ko) 반응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보틀용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H1113085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970009428B1 (ko)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940003868B1 (ko) 개선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및 제조방법
KR101709862B1 (ko) 결정화 특성이 향상된 저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방법
US4200732A (en) Process for preparing very viscous heat stable poly(butylene terephthalate)
JPS6136777B2 (ko)
KR0122004B1 (ko)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US3424727A (en) Catalyst system for preparation of alkylene terephthalate polymers
KR100226193B1 (ko)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S6136529B2 (ko)
JPS61402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