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831A -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 Google Patents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831A
KR19980039831A KR1019960058947A KR19960058947A KR19980039831A KR 19980039831 A KR19980039831 A KR 19980039831A KR 1019960058947 A KR1019960058947 A KR 1019960058947A KR 19960058947 A KR19960058947 A KR 19960058947A KR 19980039831 A KR19980039831 A KR 1998003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ain
channel
communication system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417B1 (ko
Inventor
박재선
김홍규
조성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5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417B1/ko
Priority to CN97122620A priority patent/CN1086868C/zh
Publication of KR1998003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70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gain control parameter
    • H03G2201/704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gain control parameter being number of multiplexed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각 채널별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각각 이득을 조정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각 채널별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득조정부로 구성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본 발명은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전송 채널로 분배된 수신신호의 이득을 채널별로 조정하는 수신 이득 조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신안테나100과 대역통과필터110과 증폭기120과 국부발진기130과 믹서140과 전력분배기150과 대역통과필터161∼16n과 자동이득조정용 증폭기171∼17n과 A/D변환기181∼18n으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안테나100은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통과필터110으로 전달한다. 대역통과필터110은 안테나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신신호 중 대역내의 주파수에 해당되는 신호만을 통과시켜 증폭기120으로 출력한다. 증폭기120는 대역통과필터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적정 레벨만큼 증폭하여 믹서140으로 출력한다. 국부발진기130은 수신신호를 각 채널에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140으로 출력한다. 믹서140는 증폭기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국부발진기130에서 출력되는 발진주파수에 의해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력분배기150은 믹서14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대역통과필터161∼16n으로 분배한다. 대역통과필터161∼16n은 전력분배기150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해당 대역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자동이득조정용 증폭기171∼17n으로 출력한다. 자동이득조정용 증폭기171∼17n은 대역통과필터161∼16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 채널별로 적정 레벨로 증폭 또는 감쇠하여 A/D변환기181∼18n으로 출력한다. A/D변환기181∼18n은 각 자동이득조정용 증폭기171∼17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종래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채널수 만큼 중간주파수단이 존재하고 이에 해당하는 A/D변환기를 각기 따로 구비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는 서로 다른 수신레벨을 갖는 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증폭하는 경우 수신신호의 증폭을 적게 하면 수신레벨이 낮은 수신신호의 증폭도가 적어 신호대 잡음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는 서로 다른 수신레벨을 갖는 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증폭하는 경우 수신레벨이 높은 수신신호의 증폭을 많이 하면 상기 수신신호가 왜곡되거나 스퓨리어스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종래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는 신호의 왜곡이나 스퓨리어스의 발생으로 인해 다른 수신신호에 영향을 주어 전체적으로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각 채널별로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각 채널별로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각 채널별로 수신되는 신호를 하나의 A/D변환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석하는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채널 통신시스템의 수신 장치에서 각 채널별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수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합성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주파수가 f1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주파수가 f2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주파수가 f3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주파수가 f3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안테나100과 대역통과필터110과 증폭기120과 국부발진기130과 믹서140과 전력분배기150과 대역통과필터161,162,...,16n와 이득조정기201,202,...,20n과 레벨검출기211,212,...,21n과 신호보상부221,222,...,22n과 신호합성기230과 증폭기240과 A/D변환기250으로 구성된다.
도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수신신호는 각 주파수별 그 크기가 다르다.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합성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신신호가 각 채널별 이득조정기에서 이득 조정된 후 신호합성기에서 합성된 신호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주파수가 f1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주파수f1에 대응되는 수신신호가 증폭된다.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주파수가 f2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주파수f2에 대응되는 수신신호가 감쇠된다.
도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주파수가 f3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주파수f3에 대응되는 수신신호가 증폭된다.
도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주파수가 f4인 이득조정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주파수f4에 대응되는 수신신호가 증폭된다.
도2 내지 도4d를 참조하면, 안테나100은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통과필터110으로 전달한다. 대역통과필터110은 안테나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신신호 중 대역내의 주파수에 해당되는 신호만을 통과시켜 증폭기120으로 출력한다. 증폭기120는 대역통과필터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적정 레벨만큼 증폭하여 믹서140으로 출력한다. 국부발진기130은 수신신호를 각 채널에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140으로 출력한다. 믹서140는 증폭기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국부발진기130에서 출력되는 발진주파수에 의해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력분배기150은 믹서14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각 주파수별로 분배하여 대역통과필터161,162,...,16n로 출력한다. 대역통과필터161,162,...,16n은 서로 다른 통과대역 특성을 갖는다. 대역통과필터161,162,...,16n은 전력분배기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기 통과대역의 특성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 중 해당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켜 이득조정기201,202,...,20n으로 출력한다. 이득조정기201,202,...,20n은 각각 대응되는 대역통과필터161,162,...,16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적정 레벨로 증폭 또는 감쇠시켜 신호보상부221,222,...,22n로 출력한다. 레벨검출기211,212,...,21n은 이득조정기201,202,...,20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 채널별로 수신되는 상기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이득조정기201,202,...,20n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상기 이득조정기로 인가한다. 이득조정기201,202,...,20n은 각각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로 수신된 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즉, 이득조정기201,202,...,20n은 도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채널별로 수신된 신호를 도4a 내지 도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성에 따라 이득을 조정하여 도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도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주파수별로 크기가 다른 수신신호는 각 주파수별로 이득조정기201,202,...,20n에 의해 증폭 또는 감쇠되어 도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슷한 크기의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보상부221,222,...,22n은 이득조정기201,202,...,20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각 경로의 지연오차를 보상하여 신호합성부230으로 출력한다. 신호합성부230은 신호보상부221,222,...,22n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합성하여 증폭기240으로 출력한다. 신호합성부210에서 출력되는 합성신호는 도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 특성을 가진다. 즉, 합성신호는 이득조정기에 의해 이득이 조정되어 도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주파수간 신호의 최대값RXmax와 최소값RXmin에 대한 크기의 편차가 줄어든다. 증폭기240은 신호합성기230에서 출력되는 상기 합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정 레벨로 증폭하여 A/D변환기250으로 출력한다. A/D변환기250은 증폭기2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각 채널별로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에 있어서,
    각 채널별로 수신된 수신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득조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수신 경로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수신신호의 지연오차를 보상하는 신호보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각 채널별로 이득조정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합성하는 신호합성부와,
    상기 신호합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출력하는 A/D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KR1019960058947A 1996-11-28 1996-11-28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KR10021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47A KR100217417B1 (ko) 1996-11-28 1996-11-28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CN97122620A CN1086868C (zh) 1996-11-28 1997-11-28 多信道通信系统中分开控制多信道增益的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47A KR100217417B1 (ko) 1996-11-28 1996-11-28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31A true KR19980039831A (ko) 1998-08-17
KR100217417B1 KR100217417B1 (ko) 1999-09-01

Family

ID=1948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947A KR100217417B1 (ko) 1996-11-28 1996-11-28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17417B1 (ko)
CN (1) CN1086868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116A (ko) * 1999-11-10 2001-06-05 박종섭 적응 갱신 이득값 변환기를 사용한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6223B1 (ko) * 2000-11-1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신호의 파워 보장을 위한 자동 이득 조정 회로
CN106375035A (zh) * 2015-07-24 2017-02-0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校准信号路径之间的延迟的设备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4306B (zh) 2014-03-27 2018-03-13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通道阵列失真补偿装置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116A (ko) * 1999-11-10 2001-06-05 박종섭 적응 갱신 이득값 변환기를 사용한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06223B1 (ko) * 2000-11-1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신호의 파워 보장을 위한 자동 이득 조정 회로
CN106375035A (zh) * 2015-07-24 2017-02-0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校准信号路径之间的延迟的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7417B1 (ko) 1999-09-01
CN1189022A (zh) 1998-07-29
CN1086868C (zh)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4624A (en) Channelized feed-forward system
US5924022A (en) RF repeater for TDMA mobile telephone systems
US5263180A (en) Space diversity reception system
US7231191B2 (en) Spurious ratio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feed-forward linear amplifiers
US5450035A (en) Automatic gain control apparatus
EP1413052B1 (en) Intermodulation product cancellation circuit
US6744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ar reduction of distortion in a transmitter
US6999012B2 (en) Temperature compensation device for automatic gain control loop
KR100217417B1 (ko) 다채널 통신시스템에서 수신 이득 조정 회로
JP2003234628A (ja) 無線基地局
US6748173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used therefor
JPH11174143A (ja) ダイナミックレンジ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回路
JP2002232336A (ja) 多周波中継装置
US6459397B1 (en) Saturation compensating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6931242B2 (en) Down converter using C/N ratio correcting circuit of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60227907A1 (en) Broadcasting receiver
JP3043656B2 (ja) ブースタ中継装置
JPS61131625A (ja) スペ−スダイバ−シチ受信方式
KR20040005295A (ko) 수신기의 수신전계강도 측정장치
US6333676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rrangement
KR0133336B1 (ko) 위성중계기용 무선주파수 신호 자동 레벨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388B1 (ko) 보상필터를 사용하는 간섭제거 중계 방법과 장치
JP2504214B2 (ja) 超小型衛星通信装置の自動レベル制御方式
KR100252784B1 (ko) 이동통신기기의송신출력제어회로
JP2000244353A (ja) Agc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