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637U - 오일여과기 - Google Patents

오일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637U
KR19980039637U KR2019960052708U KR19960052708U KR19980039637U KR 19980039637 U KR19980039637 U KR 19980039637U KR 2019960052708 U KR2019960052708 U KR 2019960052708U KR 19960052708 U KR19960052708 U KR 19960052708U KR 19980039637 U KR19980039637 U KR 199800396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engine
filtration
oi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637U/ko
Publication of KR19980039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637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하부에 설치된 오일팬으로부터 엔진에 공급되는 오일을 여과기로서, 원통형 본체(11), 토출관(12) 및 바이패스밸브(13)를 구비하며 여과필터(20)를 내장한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여과필터(20)는 다수의 불규칙한 주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주름 사이에는 미로형오일통로(20a)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필터(20)는 재사용가능한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과필터의 화학적 성질 및 물리적 성질에 의해 오일을 정화 및 여과할 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일여과기.
본 고안은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 가능한 제올라이트로 형성된 오일 여과포를 내장한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는 윤활장치가 제공되어 있는바, 이같은 윤활장치는 엔진 출력의 일부가 마찰로 인하여 베어링 소멸 등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품 상호간의 섭동면에 유막(oil film)을 형성하며 마찰 손실과 부품의 마멸을 최소화 한다. 이같은 일반적인 윤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에는 일반적인 엔진오일여과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오일여과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오일 여과지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2A, 도 2B 및 도 3에 따르면 일반적인 윤활장치가 오일팬(1), 오일스트레이너(oil strainer)(2), 오일펌프(oil pump)(3), 오일 냉각기(4), 오일여과기(5)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오일여과기(5)는 엔진내로 공급되는 오일 속의 수분, 연소생성물, 금속분말, 슬러지(sludge) 등의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오일여과기(5)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본체(6)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본체(6)내에는 여과지(filtering paper)(7)가 내포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6)내에 제공된 토출관(6a)을 포위하는 방식으로 내포되어 있어 흡입구(6b)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이 여과되어 토출관(6a)을 통하여 엔진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같은 오일 여과지(7)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 기능이 저하되므로 예컨대 4500 내지 8000㎞를 주기로하여 오일여과기를 교환해야 한다. 이같은 여과 성능의 저하는 대부분 상기 여과기(6)내의 여과지(7)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오일여과기를 빈번하게 교환함에 따라, 비용이 현저히 소모되며, 특히 이같은 오일여과기의 폐기로 환경오염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사용 가능한 여과필터를 내장한 오일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 가능한 제올라이트필터를 내장한 오일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영구 사용가능하며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엔진의 하부에 설치된 오일팬으로부터 엔진에 공급되는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본체, 토출관 및 바이패스밸브를 구비하며 여과필터를 내장한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다수의 불규칙한 주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주름 사이에는 미로형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오일여과기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사시도.
도 2A는 일반적인 엔진오일여과기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오일 여과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의 여과필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필터의 미세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오일여과기11: 본체
12: 토출관13: 바이패스밸브
14: 흡입구20: 여과필터
20a: 오일통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의 여과필터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필터의 상세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10)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본체(1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내에는 또한 토출관(12) 및 바이패스밸브(13)가 내장되어 있어 오일팬으로부터 본체(11)내에 공급된 오일을 여과하여 도시되지 않은 엔진으로 공급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10)내에는 여과필터(20)가 제공된다. 상기 여과틸터(20)는 재순환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바, 이같은 재료는 제올라이트(zeoli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제올라이트는 예컨대 알미늄, 나트륨, 칼슘 등의 규산염 수화물로서 나트륨이온 또는 칼슘이온 등과 같은 교환성 이온을 지니고 있어 오일 속의 불순물의 이온성분을 치환하는 방식으로 여과시킨다.
이와같은 제올라이트로 형성된 여과필터(20)는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다. 즉, 엔진의 오일 교환시 여과기를 해체하거나 또는 원상태에서 여과기의 흡입구(14)를 통해 압축공기 또는 세정수를 주입시키면 여과기(10)의 필터(20)가 원상태로 세정된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20)의 형성은 전술된 바와 같이 토출관(12)을 포위하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정두께를 지니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린더형은 상기 토출관에 외삽되는 방식으로 본체(11)내에 내장되며,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트형은 상기 토출관(12)을 감싸는 방식으로 여과기의 본체(11)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같은 여과필터(20)는 다수의 오일통로(20a)를 지니는 바, 이같은 오일통로(20a)는 다양한 형태의 미로구조를 지닌다. 즉, 제올라이트가 불규칙한 주름(20b)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주름사이에 미로구조의 오일통로(20a)가 형성된다. 이같은 미로구조의 오일통로(20a)들은 상호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필터(20)를 구비한 오일여과기(10)의 오일여과모드에 의하면, 도시되지 않은 오일팬에 연결된 오일메인통로에 연통하는 오일여과기(10)의 흡입구(14)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토출관(12)을 포위하는 여과필터(20)에 이르면, 이같은 오일은 여과필터(20)의 오일통로(20a)를 지나면서 여과 또는 정화된다. 즉, 여과필터(20)의 미로형 미세구조를 지니는 오일통로(20a) 사이를 지나는 중에 제올라이트의 화학적 성질 및 통로 자체의 구조에 따라 물리적 특징에 의해 오염 또는 변질된 오일이 정화되고 또한 오일에 내포된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이 제거된다.
이에따라 이같이 정화된 오일은 토출관(12) 또는 바이패스밸브(13)를 통해 엔진의 각부분으로 공급된다.
이후, 자동차의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는 오일여과기를 여과장치로부터 탈거하여 흡입구(14)내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세정액을 주입하면 상기 여과필터(20)의 오일통로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외부로 방출되어 오일필터가 정상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이에따라 오일교환후 재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를 오일여과장치에 설치하면, 엔진에 공급되는 오일이 제올라이트의 화학적 성질 및 미로형 통로의 물리적 성질에 의해 정화 및 여과될 수 있으며, 특히 오일여과기 자체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의 성능이 보장되며 또한 여과기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엔진의 하부에 설치된 오일팬으로부터 엔진에 공급되는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본체(11), 토출관(12) 및 바이패스밸브(13)를 구비하며 여과필터(20)를 내장한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20)는 다수의 불규칙한 주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주름 사이에는 미로형 오일통로(2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20)는 재사용가능한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기.
KR2019960052708U 1996-12-20 1996-12-20 오일여과기 KR199800396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708U KR19980039637U (ko) 1996-12-20 1996-12-20 오일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708U KR19980039637U (ko) 1996-12-20 1996-12-20 오일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637U true KR19980039637U (ko) 1998-09-15

Family

ID=5399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708U KR19980039637U (ko) 1996-12-20 1996-12-20 오일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63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3972A1 (en) * 2006-12-12 2008-06-19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device with releasable additive
WO2012078758A2 (en) * 2010-12-08 2012-06-14 Clarcor Inc. Filter with dissolvable se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3972A1 (en) * 2006-12-12 2008-06-19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device with releasable additive
US7563368B2 (en) 2006-12-12 2009-07-21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device with releasable additive
US8007667B2 (en) 2006-12-12 2011-08-30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device with releasable additive
WO2012078758A2 (en) * 2010-12-08 2012-06-14 Clarcor Inc. Filter with dissolvable seal
WO2012078758A3 (en) * 2010-12-08 2012-11-01 Clarcor Inc. Filter with dissolvable se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cleaning of oil filter
US5785850A (en) Cleanable oil filter
US5145033A (en) Sandwich adapter reusable oil filter mounted to same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AU4607285A (en) Repelling- action filter unit and assembly
US5817232A (en) Rebuildable spin-on filters
KR19980039637U (ko) 오일여과기
US5776315A (en) Oil reclamation device
EP0859147B1 (en) Filter arrangement
US4058459A (en) Liquid filter apparatus
JP2011190804A (ja) 内燃機関のエンジンオイルの貯留および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内燃機関のエンジンオイルの循環および濾過のための方法
KR950003447B1 (ko) 자동차용 오일 여과기(OIL Cleaner)
CN2860585Y (zh) 油品净化用过滤器
CN215026484U (zh) 一种双筒式油过滤器
JP2000140524A (ja) 濾過装置
US6818125B2 (en) Engine block with angled oil outlets
GB2150456A (en) Oil cleaner
KR200222054Y1 (ko) 엔진오일필터
KR100466115B1 (ko) 차량용 에어드라이어
KR930004749Y1 (ko) 폐윤활유의 정제 장치
KR0120304B1 (ko) 내연기관의 오일필터 분리시 엔진윤활계통의 폐오일 유입방지 및 그 내연기관 오일필터의 오일 불순물 분리장치
US3326376A (en) Fluid filter devices
JP2583454Y2 (ja) 空気圧縮装置
US2647635A (en) Filter
KR100228092B1 (ko) 공기 청정기
RU20521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трибохимического режима в системе смазки механиз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