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102Y1 - 오일 여과기 - Google Patents

오일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102Y1
KR960009102Y1 KR2019930026127U KR930026127U KR960009102Y1 KR 960009102 Y1 KR960009102 Y1 KR 960009102Y1 KR 2019930026127 U KR2019930026127 U KR 2019930026127U KR 930026127 U KR930026127 U KR 930026127U KR 960009102 Y1 KR960009102 Y1 KR 960009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ayer
oil
mount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806U (ko
Inventor
장대근
Original Assignee
장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근 filed Critical 장대근
Priority to KR2019930026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102Y1/ko
Publication of KR950016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일 여과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기의 절단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기의 장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터하우징 12 : 필터캡
14 : 장착캡 16 : 유입구
18 : 유출구 20 : 내통
21 : 배출통로 22 : 복귀통로
24,26 : 튜브 28 : 장착브라켓
P : 오일펌프 30 : 시일부재
31,33 : 다공판 F1,F6 : 면사층
F2 : 실리카겔층 F3 : 알루미나겔층
F4,F7 : 부직포층 F5,F8 : 여과지층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윤활계통에 사용되는 엔진오일의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엔진오일에 함유된 먼지나 카본, 수분, 금속입자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엔진오일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아울러 오일여과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용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엘리먼트가 오일여과기에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은 수분이나 금속입자와 같은 이물질이 잘 여과되지 아니하며 그 수명도 짧아서 수시로 여과엘리먼트를 교체하거나 오일을 교환해야만 했다. 또한 복수의 여과층을 이용하여 여과효과를 높이거나 히터를 부착하여 수분의 제거에 효과적인 오일여과기등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들도 그 여과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구조에 따라 오일여과기 본체나 장착부의 구조가 특수하게 제작되므로 자동차 제조공장에서 출고된 이후에는 오일여과기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기존의 여러 가지 엔진에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모델의 오일 여과기가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오일여과기가 지닌 전술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엔진에 함유된 먼지나, 카본, 수분, 금속입자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일여과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오일여과기 본체와 오일여과기의 장착부를 별체로 구성하여 여과기를 장착할 엔진의 구조가 다르더라도 여러종류의 오일여과기를 준비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오일여과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 장착부는 기존의 가장 일반적인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엘리먼트식 여과기를 대체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성능이 우수하여 오일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서 수시로 오일을 교환함에 따른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폐유의 처리와 관련하여 환경오염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저면에 유입구가 구비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끼워지며 상면에 유출구가 구비된 필터캡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복수의 여과층이 내장된 여과기 본체와, 상기 여과기 본체와 별체를 이루고 엔진에 장착되며 상면에 배출통로와 복귀통로를 구비한 장착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기 본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장착캡의 배출통로 및 복귀통로와 튜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여과기 본체에 내장된 복수의 여과층은 면사층, 실리카겔층, 알루미나겔층, 부직포층 및 여과지층으로 이루어진 제1여과층과 면사층, 부직포층 및 여과지층으로 이루어진 제2여과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여과지층란 종래의 통상적인 소위 여과엘리먼트식 여과기에 사용되는 여과지로 만든 여과층을 말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절단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여과기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일여과기 본체는 하부에 오일 유입구(16)가 구비된 필터하우징(10)과 필터하우징(10)의 상부에 끼워지는 필터캡(12)으로 구성되며, 필터캡(12)의 상면에는 오일 유출구(18)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유입구와 유출구(16, 18)는 내부에 오일통로가 형성된 볼트로 구성된다. 필터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장착브라켓(28)이 부착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오일여과기 본체와는 별도로 장착캡(14)이 구비되는데 이 장착캡(14)의 상면에는 오일펌프(P)로부터 압송된 오일을 오일여과기로 보내는 배출통로(21)와 여과기에서 여과된 오일을 엔진으로 복귀시키는 복귀통로(22)를 구비한다. 상기 여과기 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16, 18)는 가요성 튜브(24, 26)에 의해 장착캡(14)의 배출통로 및 복귀통로(21, 22)에 연결된다. 엔진룸내의 오일펌프(P)에 부착되는 장착캡(14)의 기판(33)에는 복귀통로(22)에 연통되는 중심구멍(34)과 그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유입구멍(35)이 천공되며, 장착캡의 기판(33)과 엔진 또는 오일펌프(P) 사이에는 밀봉용 시일부재(30)가 개재되어 있다.
필터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통(20)이 구비되고 그 안에 복수의 여과층(F)이 적층되어 있다. 이 여과층은 상하부 양단의 다공판(31, 32)을 사이에 두고 대략 아래로부터 면사층(F1), 실리카겔층(F2), 알루미나겔층(F3), 부직포층(F4) 및 여과지층(F5)이 차례로 적층된 제1여과층과, 면사층(F6), 부직포층(F7) 및 여과지층(F8)이 차례로 적층된 제2여과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오일펌프(P)에 의해 압송된 오일은 장착캡(14)의 기판(33)에 천공된 다수의 유입구멍(35)를 통해 장착캡 내부와 배출통로(21)를 거쳐 튜브(24)를 통해 여과기본체의 유입구(16)로 도입된다. 이어서 다공판(31)을 통해 오일이 확산되어 복수의 여과층(F)을 지나게 된다. 먼저 면사층(F1)을 지나면서 오일속에 함유된 슬러지, 먼지, 수분, 카본, 금속입자등의 이물질이 1차 걸러지고, 다음에 1차 수분흡수층인 실리카겔층(F2)을 지나면서 상기 면사층(F1)에서 걸러지지 않은 수분을 포획하여 2차 수분흡수층인 알루미나겔층(F3)층에서 상기 실리카겔층(F2)을 통과한 미세한 수분을 다시 잡아주게 된다. 다음에 1차 카본흡수층인 부직포층(F4)을 지나면서 미연소된 카본입자를 포획하고 이어서 부직포층(F4)을 통과한 미량의 카본입자는 2차 카본흡수층인 여과지층(F5)을 통해서 재차 여과시킴으로써 1단계의 여과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1단계 여과층을 통과하여 1차 여과된 오일을 다시 면사층(F6), 부직포층(F7) 및 여과지층(F8)으로 이루어진 2단계 여과층을 통해서 다시 한번 여과시키게 된다. 이렇게 여과된 청정한 오일은 유출구(18)와 튜브(26)를 거쳐서 장착캡(14)의 복귀통로(22)를 통해 엔진의 오일팬으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일을 복수의 오일층을 거치도록 하여 2단계로 여과시키면 여과된 오일은 새 오일처럼 불순물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청정한 오일이 된다. 따라서 오일사용시간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으며, 오일교환에 따른 비용과 수고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오일여과기 본체(1)와 엔진에의 장착부인 장착캡(14)을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엔진측의 여과기 설치부의 구조가 다르더라도 여과기 본체(1)의 구조변경없이 적절한 장착캡(14)에 의해 간단히 엔진 또는 오일펌프에 장착시킬 수 있다. 특히 여과기 본체와 장착캠을 자유로이 휘어지는 튜브(24, 26)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써 여과기 본체를 엔진룸 내의 적절한 곳에 설치할 수 있어서 기존의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엘리먼트식 오일여과기를 대체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2)

  1. 저면에 유입구가 구비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끼워지며 상면에 유출구가 구비된 필터캡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복수의 여과층이 내장된 여과기 본체와, 상기 여과기 본체와 별채를 이루고 엔진에 장착되며 상면에 배출통로와 복귀통로를 구비한 장착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기 본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장착캡의 배출통로 및 복귀통로와 튜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본체에 내장된 복수의 여과층은 면사층, 실리카겔층, 알루미나겔층, 부직포층 및 여과지층으로 이루어진 제1여과층과, 면사층, 부직포층 및 여과지층으로 이루어진 제2여과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기.
KR2019930026127U 1993-12-03 1993-12-03 오일 여과기 KR960009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127U KR960009102Y1 (ko) 1993-12-03 1993-12-03 오일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127U KR960009102Y1 (ko) 1993-12-03 1993-12-03 오일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06U KR950016806U (ko) 1995-07-20
KR960009102Y1 true KR960009102Y1 (ko) 1996-10-15

Family

ID=1936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127U KR960009102Y1 (ko) 1993-12-03 1993-12-03 오일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1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06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69459B2 (en) Repelling- action filter unit and assembly
JP4685760B2 (ja) 燃料ろ過装置
US6422395B1 (en) Filter with preferential fluid affinity
JP3646342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固定構造
CA1190155A (en) Oil filter assembly
US20050103701A1 (en) Liquid filter arrangement with secondary filter and bypass flow
EP0830885A1 (en) Filer assembly
KR100362759B1 (ko) 필터,특히유체필터
KR960009102Y1 (ko) 오일 여과기
US4058459A (en) Liquid filter apparatus
US2683536A (en) Filter
JPS6221289Y2 (ko)
CA2026860A1 (en) Oil filter
KR20050060165A (ko) 블로바이가스 내의 오일 및 이물질 분리장치
WO2001068217A1 (en) Oil filter
GB2356825A (en) A fuel filter with suspended filter element
KR950003447B1 (ko) 자동차용 오일 여과기(OIL Cleaner)
RU228946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масляного фильтра
KR100228092B1 (ko) 공기 청정기
SU865331A2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 патронный фильтр дл жидкости
KR900003730Y1 (ko) 오일 여과기
KR950003579Y1 (ko) 자동차용 오일여과 필터
KR960004761Y1 (ko) 에어 필터 구조체
KR890003974Y1 (ko) 공기압축기용 필터
US20050061734A1 (en) Anti-corrosive engine oil system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