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237A -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237A
KR19980037237A KR1019960055953A KR19960055953A KR19980037237A KR 19980037237 A KR19980037237 A KR 19980037237A KR 1019960055953 A KR1019960055953 A KR 1019960055953A KR 19960055953 A KR19960055953 A KR 19960055953A KR 19980037237 A KR19980037237 A KR 1998003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mirror
mirror
joint
bra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237A/ko
Publication of KR1998003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237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미러(1); 상기 미러(1)에 일측이 연결된 조인트(2); 상기 조인트(2)의 타측에 고정된 브래키트(3)로 구성된 룸 미러로서, 상기 브래키트(3)는 양면 테이프(8)로 윈드쉴드 글래스(7)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룸 미러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룸 미러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제 3 도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미러2 : 조인트
3 : 브래키트7 : 윈드쉴드 글래스
8 : 양면 테이프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룸 미러의 취부위치를 변경함과 아울러 취부 작업성을 개선하고자 한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해주기 위한 룸 미러는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룸 미러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1)와, 상기 미러(1)를 지지하는 조인트(2), 및 상기 조인트(2)에 연결된 브래키트(3)로 구성되어서, 상기 브래키트(3)가 탑 실링(4)에 고정되므로써 룸 미러를 취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취부구조는 제 1 도의 A - 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5)의 실내를 향하는 면에 부착된 탑 실링(4)에 상기 브래키트(3)를 스크류(6)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종래의 룸 미러 취부구조는 탑 실링에 스크류를 이용해서 체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에어 렌치와 같은 공구로 스크류를 체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룸 미러 취부구조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룸 미러의 취부위치를 변경함과 아울러 취부방식도 단순화시켜 조립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러; 상기 미러에 일측이 연결된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타측에 고정된 브래키트로 구성된 룸 미러로서, 상기 브래키트는 양면 테이프로 윈드쉴드 글래스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없이 양면 테이프를 브래키트에 부착한 다음, 윈드쉴드 글래스에 압착하기만 하면 룸 미러의 취부가 완료되므로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룸 미러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 4 도는 제 3 도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동일 부본을 사용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미러는 미러(1)와, 상기 미러(1)에 일측이 연결된 조인트(2), 및 상기 조인트(2)의 타측에 고정된 브래키트(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브래키트(3)를 자동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므로써 룸 미러의 취부가 완료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래키트(3)를 종래의 탑 실링이 아닌 윈드쉴드 글래스(7)에 부착시킨다. 상기 윈드쉴드 글래스(7)에 브래키트(3)를 부착시키기 위해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8)가 사용된다. 즉 양면 테이프(8)가 브래키트(3)에 먼저 부착되고, 브래키트(3)를 윈드쉴드 글래스(7)에 강하게 압박시키면 양면 테이프(8)가 윈드쉴드 글래스(7)에 부착되므로써 룸 미러의 취부가 완료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 테이프(8)를 이용해서 룸 미러를 윈드쉴드 글래스(7)에 부착시키므로써 별도의 공구없이 간단하게 조립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가 있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미러; 상기 미러에 일측이 연결된 조인트; 상기 조인트의 타측에 고정된 브래키트로 구성된 룸 미러로서, 상기 브래키트는 양면 테이프로 윈드쉴드 글래스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KR1019960055953A 1996-11-15 1996-11-15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KR19980037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953A KR19980037237A (ko) 1996-11-15 1996-11-15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953A KR19980037237A (ko) 1996-11-15 1996-11-15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37A true KR19980037237A (ko) 1998-08-05

Family

ID=6632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953A KR19980037237A (ko) 1996-11-15 1996-11-15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3808A1 (en) End module assembly for installation on a veh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1998043852A3 (de) Innenlichtmodul mit regensensor
JPS62231847A (ja) 車載用映像装置
KR19980037237A (ko) 자동차의 룸 미러 취부구조
JP3475477B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一体形リアワイパー装置
KR0120096Y1 (ko)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197502B1 (ko) 자동차의 룸 미러 고정장치
JP3250674B2 (ja) 自動車用内装トリムの取付構造
KR19980037241A (ko) 윈드 실드 글라스 부착형 룸 미러
KR19980061662U (ko) 보조 사이드미러를 갖는 프론트필러
KR100195996B1 (ko) 해치-백 차량의 쿼터 글래스 취부구조
JPH0214489Y2 (ko)
KR0158361B1 (ko) 도어 프레임과 사이드 바이저의 장착구조
JPH0669783B2 (ja) 自動車のボデイサイド構造
KR19980059478A (ko) 자동차의 룸 밀러 취부구조
KR0139125Y1 (ko) 자동차용 선루프 차종의 배수 호스구조
KR0136342Y1 (ko) 자동차 백 미러 취부 구조
KR19980037236A (ko) 자동차의 룸 미러
KR970034767A (ko) 윈드 실드의 몰딩 취부구조
KR19980045292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고정용 핀구조
KR19980016776U (ko) 자동차의 글래스 찬넬구조
JPH0958368A (ja) トリムの取付構造
KR19980037599A (ko) 자동차 도어의 암 레스트 고정구조
JPH0789393A (ja) 車輌用成形天井の取付構造
KR19980056679A (ko)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