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448A -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 Google Patents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448A
KR19980036448A KR1019960055016A KR19960055016A KR19980036448A KR 19980036448 A KR19980036448 A KR 19980036448A KR 1019960055016 A KR1019960055016 A KR 1019960055016A KR 19960055016 A KR19960055016 A KR 19960055016A KR 19980036448 A KR19980036448 A KR 1998003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relay
vehicle speed
switching
swi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윤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448A/en
Publication of KR1998003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448A/en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속에 따른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속이 거의 없이 일시 정차후 다시 일정속도 이상으로 속도를 증가시킨 경우 일일 전조 등을 껐다 다시 켜지 않고 차속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전조등 주사방향이 제어되는 전조등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헤드라이트 주사방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헤드라이트 점등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시키는 릴레이와 이 릴레리의 절환으로 헤드라이트를 상,하방으로 일정각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 헤드라이트 하우징의 어저스트스크류를 전,후진 시키는 제어부(100); 속도계와, 주차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센서 등을 검출하여 전자제어 유닛(E.C.U)을 통하여 일정한 절환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속검출부(300); 상기 차속검출부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서 절환되는 제 3릴레이와, 상기 제 3릴레이의 업,다운 단자에 대응하여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형성한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제 1릴레이와 제 2릴레이가 상기 제어부(100)의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스위칭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라이트 주사방향 제어 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헤드라이트의 주사각도가 차속에 맞추어 자동 조정되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 headlight control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headlight sca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without turning off and on again the daily headlight when the speed is increased again above a certain speed after a temporary stop with little vehicle speed In the headlight scanning direction control device, the headlight housing is provided as a technical object to provide a device, the headlight housing serving as a relay for applying power according to whether the headlight is turned on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headlight up and down at an angle by switching the relay. The control unit 100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adjust screw;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for detecting a speedometer, a parking brake, an accelerator sensor, and the like and transmitting a constant switching signal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third relay switched as a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switching means for forming a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up and down terminals of the third relay, and a first relay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means. And a switching unit 200 for driving the actuator of the controller 100 to the second relay, wherein the scanning angle of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re is this.

Description

차속에 따른 전조등 제어장치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본 발명은 차속에 따른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속이 거의 없이 일시 정차후 다시 일정속도 이상으로 속도를 증가시킨 경우 일일 전조 등을 껐다 다시 켜지 않고 차속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전조등 주사방향이 제어되는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In detail, if the speed is increased again by a certain speed after stopping temporarily, the headlight scanning direct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without turning off and on again the daily headlight. To the headlight control device.

종래에 차량을 야간주행하는 과정에서 횡단보도나 신호등 앞에서는 대부분의 차량이 전조등을 꺼주게 되며 이것은 상대방 차량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하려는 방어적인 운전 습관이다. 이후 다시 주행하면서 전조등을 켜고 있으나 때때로 전조등의 점등을 잊고 주행하다가 전방시야가 불안정하게 되어 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Conventionally, most vehicles turn off the headlights in front of a pedestrian crossing or a traffic light in the process of driving a vehicle at night, which is a defensive driving habit that does not obstruct the view of the other vehicle. Afterwards, while driving again, the headlights were turned on, but sometimes the front vision became unstable while driving while forgetting the lighting of the headlights, causing an accident.

따라서, 이와같은 헤드라이트의 점,소등 원인이 주사방향에 따른 상대방 시야를 가린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으므로 이를 필요에 따라 하향등으로 자동 절환되게 할 경우 상대방 차량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며 일일이 점,소등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와같은 헤드라이트가 차속의 상태에 따라 정상으로 혹은 하향으로 자동 절환되는 장치가 필요로 되어 왔다.Therefore, since the cause of the headlights and the light off of the headlights is that they obscure the view of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the scanning direction, the headlights do not obstruct the view of the other party's vehicle. Since there is no need to turn off, there has been a need for a device in which such headlights are automatically switched to normal or downward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일시 정차중에는 자동적으로 하향등이 되고 주행중에서는 정상적인 주사방향을 갖는 헤드라이트 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necessitie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headlight automatic adjusting device which automatically turns down while temporarily stopping and has a normal scanning direction while driv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구성도이고,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헤드라이트의 단면도이며,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ligh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ed,

도 3의 (A)는 헤드라이트가 정상 주사되는 경우의 스위칭수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B)는 헤드라이트가 하향 주사되는 경우의 스위칭 수단의 위치를 나타낸다.Fig. 3A shows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means when the headlights are normally scanned, and (B) shows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means when the headlights are scanned downwar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2:헤드램프 릴레이, 14: 헤드라이트 하우징, 16: 정역모터, 18: 피벗축, 20:어저스트 스크류, 22:제 3릴레이, 24:고정접점, 26,28:가동접점, 30:스위칭수단, 32:제 1릴레이, 34:제 2릴레이.12: headlamp relay, 14: headlight housing, 16: forward and reverse motor, 18: pivot shaft, 20: adjust screw, 22: third relay, 24: fixed contact, 26, 28: movable contact, 30: switching means 32: first relay, 34: second relay.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라이트 주사방향 제어 장치에 있어서,헤드라이트 점등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시키는 릴레이와 이 릴레리의 절환으로 헤드라이트를 상,하방으로 일정각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 헤드라이트 하우징의 어저스트스크류를 전,후진 시키는 제어부(100); 속도계와, 주차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센서 등을 검출하여 전자제어 유닛(E.C.U)을 통하여 일정한 절환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속검출부(300); 상기 차속검출부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서 절환되는 제 3릴레이와, 상기 제 3릴레이의 업,다운 단자에 대응하여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형성한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제 1릴레이와 제 2릴레이가 상기 제어부(100)의 액츄에이터를 구동6시키도록 하는 스위칭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라이트 주사방향 제어 장치로서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light scanning direct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a relay for applying power according to whether a headlight is turned on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headlight at an angle up and down by switching between the relays. Control unit 100 for forward and backward adjustment screw;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for detecting a speedometer, a parking brake, an accelerator sensor, and the like and transmitting a constant switching signal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third relay switched as a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switching means for forming a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up and down terminals of the third relay, and a first relay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means. And the second relay includes a switching unit 200 for driving the actuator of the control unit 100.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가 설정된 일정속도 이하에서는 헤드라이트를 하향으로 자동조정하고 차량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헤드라이트를 정상상태로 조정되도록 하여 종래 일일이 주행중 일시 정차하는 경우에나 주차시 일일이 헤드라이트를 소등한 뒤 주행하면서 다시 점등시키는 번거로움 및 반복적인 점,소 등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불량을 개선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downwar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and the headlight is adjusted to the normal stat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re is a feature that improves the contact failure of the switch due to the hassle and repetitive points, lights, etc. to turn on the lights after turning off the headligh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헤드라이트의 단면도이며, 도 3의 (A)는 헤드라이트가 정상주사되는 경우의 스위칭수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B)는 헤드라이트가 하향 주사되는 경우의 스위칭 수단의 위치를 나타낸다.Figure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ligh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3 (A) shows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means when the headlight is normally scanned, (B) shows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means when the headlight is scanned downward.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어부(100)와, 스위칭부(200)와, 차속검출부(300)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a switching unit 200, and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제어부(100)는 전조등이 턴온되면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헤드램프 릴레이(12)가 전원을 온,오프하게 된다. 이 릴레이(12)는 전자제어유닛을 통하여 검출된 차량속도에 맞추어 헤드라이트를 정상 주사방향으로 혹은 하향주사방향으로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00 is the headlamp relay 12 that is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the headlight is turned on, the power is turned on, off. The relay 12 controls the headlight in the normal scanning direction or the downward scann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detected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헤드라이트를 정상방향 혹은 하향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 하우징(14)에 소정의 방향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그것은 본 발명의 정역모터(16)가 헤드라이트의 피벗축(18)을 중심으로 어저스트 스크류(20)를 따라 전,후진 됨에 의하여 가능하다.In order to control the headlight in the normal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direction adjusting means in the headlight housing 14. It is possible by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6 of the present invention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adjust screw 20 about the pivot axis 18 of the headlight.

스위칭부(200)는 상기와 같은 차량의 일정속도 이하에서는 헤드라이트()를 하향으로 향하게 하고 일정속도 이상에서는 주사방향이 정상상태로 변경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접점(24)과 이에 접촉하는 두 개의 가동접점(26)(28)으로된 스위칭수단(30)을 구비하며, 이 스위칭수단(30)은 전자제어 유닛(E.C.U)에 의하여 검출된 속도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여 차속이 정상일때는 헤드라이트 방향도 정상을 유지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속도가 저속일 경우에는 헤드라이트가 하향을 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 3릴레이(22)에 의하여 제어된다.The switching unit 200 moves two head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24 in order to direct the headligh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speed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and to change the scanning direction to a normal state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Switching means 30 with contacts 26 and 28, which transmits the speed detect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s a constant electrical signal, and the headlight direction when the vehicle speed is normal. It is controlled by the third relay 22 which supplies power to maintain the normal state, and supplies power so that the headlight is downward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제 3릴레이(22)는 고정접점(24)과 이에 접촉하는 두 개의 가동접점(26)(28)으로된 스위칭수단(30)에 전원을 공급함에 의하여 제 1릴레이(32)와 혹은 제 2릴레이(34)로 절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정역모터(16)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킨다.The third relay 22 is the first relay 32 or the second relay by supplying power to the switching means 30 consisting of the fixed contact 24 and the two movable contacts 26 and 28 in contact therewith. A switching signal is applied to the 34 to drive or stop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6 of the controller 100.

이 스위칭수단(30)은 첨부도면 도 3의 (A)와 같이 차량속도에 맞추어 헤드라이트가 정상일때는 정역모터를 정지시키고, 차량속도와 틀리는 경우에는 도 3의 (B)와 같이 하향상태로 변경되도록 정역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The switching means 30 stops the stationary motor when the headlight is normal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s shown in (A)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hanges to a downward state as shown in (B) of FIG. If possible, the stationary motor is driven.

즉, 제 3릴레이(22)가 엎 위치에 있고 스위칭수단(30)도 도 3의 (A) 위치에 있다면 정역모터(16)는 동작하지 않으나, 제 3릴레이(22)는 업인데 스위칭수단(30)이 도 3의 (B)와 같이 하향상태이면 정역모터(16)는 구동되어 헤드라이트의 위치를 하향으로 조정하게 된다. 이것은 차량속도에 대응하여 작동되므로 차속이 저속일때는 하향등으로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일때는 정상상태로 헤드라이트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if the third relay 22 is in the upside position and the switching means 30 is also in the position (A) of FIG. 3, the stationary motor 16 does not operate, but the third relay 22 is up, but the switching means ( If 30) is in the down state as shown in FIG. 3B, the stationary motor 16 is drive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light downward. I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vehicle speed, so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 the headlight is maintained in a normal state when the vehicle speed is lower than the constant speed.

차속 검출부(300)는 전자제어유닛으로 속도계, 주차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 위치센서 등의 조건을 종합하여 일정속도 이상일때는 헤드라이트의 주사방향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일정속도 이하일때는 헤드라이트를 하향위치로 변경 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300 is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ombines conditions such as a speedometer, parking brake, and accelerator position sensor to maintain the scan direction of the headlight at a constant speed or higher, and to change the headlight to a downward position at a constant speed or less. Send a signal.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조등이 턴온되면 자동적으로 헤드램프 릴레이(12)가 전원을 턴온하게 되고 차속상태를 검출한 차속검출부(300)에서 차량의 속도가 일정속 이상으로 주행중인 경우에는 제 3릴레이(22)의 출력은 스위칭수단(30)에서 끊어져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헤드라이트의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의(A)는 제 3릴레이(22)로 부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이며 a단자가 가동접점이되나 고정접점과는 연결이 되지 못한다(b단자 와 다운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나 b단자에는 전원이 인가되지않고 있음). 그러나, 차속검출부(300)에서 차속이 일정속도 이하이고 헤드라이트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차속검출부(300)에서는 제 3릴레이(22)에 다운 절환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3 의 (A)와 같이 가동접점의 b신호가 고정접점의 다운단자에 인가되어 제 2릴레이(34)가 작동되어 정역모터(16)가 헤드라이트를 하향으로 조정하게 된다.When the headlamp is turned on, the headlamp relay 12 automatically turns on the power,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being driven at a certain speed or higher in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that detects the vehicle speed state, the output of the third relay 22 is output. Disconnected from the switching means 30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maintain the angle of the headlight. 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third relay 22, and terminal a is a movable contact but is not connected to a fixed contact (terminal b and down terminal are connected but terminal b is connected to terminal b). Power is not applied). However, when the vehicle speed is less than a certain speed in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and the headlight is in a steady state,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applies a down switching signal to the third relay 22, and thus, FIG. As shown in (A), the b signal of the movable contact is applied to the down terminal of the fixed contact so that the second relay 34 is operated so that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6 adjusts the headlight downward.

반대로 저속을 유지하던 차속이 빨라지면 차속검출부(300)에서는 제 3릴레이(22)에 업신호를 인가하여 도 3의 (B)상태 스위칭수단(30)에서 가동측과 고정접점측이 접속되어 제 3릴레이(22)를 통한 전원이 제 1릴레이(32)에 인가되어 헤드라이트릴레이(12)를 통한 전원이 정역모터(16)에 인가되어 업시키면서 헤드라이트를 하향에서 정상으로 변경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vehicle speed is maintained at a low spee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applies an up signal to the third relay 22 to connect the movable side and the fixed contact side in the state switching means 30 of FIG. The power through the three relays 22 is applied to the first relay 32 so that the power through the headlight relay 12 is appli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s 16 and up to change the headlights from down to normal.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가 설정된 일정속도이하에서는 헤드라이트를 하향으로 자동조정하고 차량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헤드라이트를 정상상태로 조정되도록 하여 종래 일일이 주행중 일시 정차하는 경우에나 주차시 일일이 헤드라이트를 소등한 뒤 주행하면서 다시 점등시키는 번거로움 및 반복적인 점,소 등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불량을 개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set below a predetermined speed,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downward, an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headlight is adjusted to a normal state. Ena parking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tact failure of the switch due to the hassle and repetitive points, such as turning off the headlights and turning on again after driving.

Claims (1)

헤드라이트 주사방향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headlight scanning direction control device, 헤드라이트 점등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시키는 릴레이와 이 릴레리의 절환으로 헤드라이트를 상,하방으로 일정각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 헤드라이트 하우징의 어저스트스크류를 전,후진 시키는 제어부(100); 속도계와, 주차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센서 등을 검출하여 전자제어 유닛(E.C.U)을 통하여 일정한 절환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속검출부(300); 상기 차속검출부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서 절환되는 제 3릴레이와, 상기 제 3릴레이의 업,다운 단자에 대응하여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형성한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제 1릴레이와 제 2릴레이가 상기 제어부(100)의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스위칭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라이트 주사방향 제어 장치.A control unit (100) which moves the adjust screw of the headlight housing forward and backward as an actuator for moving the headlight up and down at an angle by switching the relay and the relay to apply power according to whether the headlight is turned on or off;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300 for detecting a speedometer, a parking brake, an accelerator sensor, and the like and transmitting a constant switching signal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third relay switched as a signal output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switching means for forming a fixed contact and a movab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up and down terminals of the third relay, and a first relay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means. And a switching unit (200) for causing the second relay to drive the actuator of the control unit (100).
KR1019960055016A 1996-11-18 1996-11-18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KR199800364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016A KR19980036448A (en) 1996-11-18 1996-11-18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016A KR19980036448A (en) 1996-11-18 1996-11-18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448A true KR19980036448A (en) 1998-08-05

Family

ID=6632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016A KR19980036448A (en) 1996-11-18 1996-11-18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44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218B1 (en) * 2005-09-16 2007-05-11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Car speed interlocked-type lift apparatus of warning 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218B1 (en) * 2005-09-16 2007-05-11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Car speed interlocked-type lift apparatus of warning 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7400A (en) Automatic headlight control system
KR19980036448A (en) Head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ehicle speed
US5170097A (en) Intermittent windshield wiper and headlight control
CN1760775A (en) Method for adjusting illumination distance of vehicle headlight in photoresponse type based on speed of vehicle
KR0138387B1 (en) Lighting device of interior lamp
KR100232343B1 (en) Head lamp
KR0120323B1 (en) Automatic direction lamp control device
KR0180312B1 (en) Cut-off of power supply
KR970037412A (en) Automatic lighting position control of headlight
KR200151555Y1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head lamp
KR100199575B1 (en) Headlamp working with speed
KR100410940B1 (en) Controlling circuit for preventing the alternation of a headlamp circuit for an automobile
KR0138482Y1 (en) Headlight auto switching device
KR0117527Y1 (en) Auto-switching device of headlamp
KR19980040432U (en) Headlight auto-off device when vehicle is stopped
KR100326676B1 (en) Head lamp leveling device for vehicle
KR0145593B1 (en) Retractable headlamp
KR20010048343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ront fog lamp of automobiles in case of rain
KR100214005B1 (en) Head lamp
KR0154416B1 (en) Headlamp switching device
KR200224277Y1 (en) Head Lamp Auto On / Off Device
KR19990019845U (en) Headlight control device
JPH0247526Y2 (en)
KR0167918B1 (en) Headlamp of a car
KR0158298B1 (en) Headlamp aiming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