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349A - Car door impact bar - Google Patents

Car door impact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349A
KR19980036349A KR1019960054912A KR19960054912A KR19980036349A KR 19980036349 A KR19980036349 A KR 19980036349A KR 1019960054912 A KR1019960054912 A KR 1019960054912A KR 19960054912 A KR19960054912 A KR 19960054912A KR 19980036349 A KR19980036349 A KR 1998003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mpact bar
impact
bracket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349A/en
Publication of KR1998003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349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부에 대한 외부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보다 큰 외부의 충격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이며, 도어 임펙트 바는, 도어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에서 도어 외부 패널에 종방향으로 용접, 설치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도어에 설치되며, 브라켓의 홈에 수용되는 사각 돌출면과, 상기 브라켓의 플랜지부에 각각 접하는 평면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obile door impact bar that primarily absorbs an external impact on the side of an automobile and can withstand a larger external impact load, and the door impact bar is a door outer panel between the door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It is installed on the door through a bracket which is welded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members each having a rectangular projecting surface accommodated in the groove of the bracket, and a flat portion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bracket.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Car door impact bar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에 임펙트 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act bar is installed on a door of a conventional vehicle.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서 취한 종래의 임펙트 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impact bar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바가 도어 외부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mpact ba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outer pane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임펙트 바2:브라켓1: Impact bar 2: Bracket

3:보강물4:도어 외부 패널3: reinforcement 4: door outer panel

5:사각 홈6:플랜지부5: square groove 6: flange part

8:평면부9:부재8: flat part 9: member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으로부터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f a moto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impact bar of a motor vehicle capable of absorbing a shock so as to absorb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from the side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occupant of the vehicle.

[종래의 기술][Prior art]

통상적으로, 자동차 도어는 소정 두께의 패널로 만들어져,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록 어셈블리, 차창을 개폐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및 손잡이 등 다양한 구성 부품들이 도어 내부와 외부 패널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는 소정 두께의 패널로 만들어지므로, 어떠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차량의 탑승자의 안전을 의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탑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도어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다양하게 강구되었다.Typically, an automobile door is made of a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door lock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 regulator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a car window, and a handle are mount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er panel of the doo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oor of the vehicle is made of a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must have a certain rigidity by the safety of the occupant of the vehicle against any external impact. Therefore,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from external impact,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door has been variously made.

그 중 하나의 방법은 도어에 사용되는 패널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도어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꾀하는 것이었다.One of the methods was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panel used for the door, thereby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door, thereby preventing the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ccupant from the external shock, thereby making the occupant safe.

그러나, 도어에 사용되는 패널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제조비의 상승을 초래하고, 이는 자동차를 사고자 하는 구매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하며, 또한, 도어에 사용되는 패널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켜, 그에 따른 주행 연비의 저하가 필연적이었다.However, thickening the thickness of the panels used for the doors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which adds to the economic burden on buyers who want to buy a car, and also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anels used for the doors. Increasing the weight, and thus lowering the fuel economy was inevitable.

또한, 외부 충격에 대한 도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의 패널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시도와 아울러, 도어의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에 막대 형상의 도어 임펙트 바를 장착하여, 도어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자 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door to the external impact, the rod-shaped door impact bar is mounted between the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of the doo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door. At the same time, it tried to absorb external shocks.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의 한 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도어 임펙트 바(1)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서 취한 제2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파이프로 만들어 진다. 임펙트 바(1)의 양쪽 단부는 2개의 연결 브라켓(2)을 통하여 도어 외부판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 설치된다.One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automobile door impact bar is shown in FIG. The door impact bar 1 shown in FIG. 1 is made of a cylindrical pipe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Both ends of the impact bar 1 are fixed to the door outer plate by means of welding or the like through the two connecting brackets 2.

연결 브라켓(2)은 외향 연장한 양쪽의 평판부를 구비한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반원형 부분은 임펙트 바(1)의 바깥 절반부를 감싼 상태로 임펙트 바(1)에 용접 등으로 연결되고, 연결 브라켓(2)의 양쪽 평판부는 도어 외부 패널의 내부 림 부분에 또한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임펙트 바(1)와 도어 외부 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막대 형상의 보강물(3)이 임펙트 바(1)를 따라서 장착된다.The connecting bracket 2 has a semicircular shape with two outwardly extending plate portions, and the semicircula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mpact bar 1 by welding or the like while covering the outer half of the impact bar 1, and the connecting bracket Both flat plates of (2) are fixedly fixed to the inner rim of the door outer panel by welding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a rod-shaped reinforcement 3 is mounted along the impact bar 1 in the space between the impact bar 1 and the door outer panel.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도어 임펙트 바는 임펙트 바만이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도어 외부판의 내부 림 부분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한 임펙트 바 양단의 지지점이 단지 하나만이 형성되어, 일정량 이상의 충격값을 가지는 어떠한 물체로부터의 자동차 측부에 대한 정면 충돌시, 외부의 충격을 임펙트 바 전체로 분산시키지 못하고, 충돌 부분에서 집중 하중을 받아, 임펙트 바가 충격값(충격 하중)을 버티지 못하는 것에 의하여, 임펙트 바는 자동차의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해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oor impact bar of such a structure, since only the impact bar is mounted on the inner rim of the door outer plate through the connecting bracket, only one support poin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mpact bar against the external impact, so that the impact value is higher than a certain amount. In the event of a frontal impact on the vehicle side from any object having an impact, the impact bar is not distributed to the entire impact bar, receives a concentrated load at the impact portion, and the impact bar does not endure the impact value (impact load). The vehicle wa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car, which could harm the occupant's safety.

또한, 이러한 종래의 도어 임펙트 바는 외부의 충격을 분산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자동차 측부에 대한 정면의 충돌 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거의 평행 상태에 근접한 정도의 비켜 부딛치는 측면의 충격에 대해서도 임펙트 바에 부과되는 충격 하중이 크기 때문에, 약한 충돌에 의해서도 임펙트 바의 굽힘량이 크게 되어 탑승자가 다칠 수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oor impact bar does not disperse external shocks, the impacts imposed on the impact bar not only for the frontal impact on the side of the vehicle but also for the impact on the lateral side that is almost parallel to the vehicle. Since the load was large, the bending amount of the impact bar was large even by a weak collision, which could injure the occupa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측부에 대한 외부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보다 큰 외부의 충격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obile door impact bar that primarily absorbs an external impact on the side of an automobile and can withstand a larger external impact load.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바에 있어서, 도어의 측방향을 따라서 사각의 홈과 상기 홈 양측에 플랜지부를 가지며, 도어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에서 도어 외부 패널에 종방향으로 용접, 설치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홈에 수용되는 사각 돌출면과, 상기 브라켓의 플랜지부에 각각 접하는 평면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in the door impact bar of an automobile, having a square groove along the side of the door and flanges on both sides of the groove, and welded and installed longitudinally to the door outer panel between the door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Is installed on the door through the bracket is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members each having a rectangular projection surface accommodated in the groove of the bracket, and a flat portion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bracket It is achieved by the impact bar.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의 설치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임펙트 바(1)는 도어 외측 패널(4)에 용접에 의하여 설치되는 브라켓(2)을 통하여 도어 외측 패널에 설치된다. 브라켓(2)은 도어의 측방향을 따라서 사각의 홈(5)과, 홈(5)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6)를 가진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automobile door impact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bar 1 is installed on the door outer panel via a bracket 2 which is installed by welding to the door outer panel 4. The bracket 2 has a rectangular groove 5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oor and a flange portion 6 extending outwardly on both sides of the groove 5.

브라켓(2)은 도어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에서 도어 외부 패널(4)에 종방향으로 용접, 설치된다.The bracket 2 is welded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door outer panel 4 between the door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임펙트 바(1)는 브라켓(2)의 홈(5)에 수용되는 사각 돌출면(7)과, 브라켓(2)의 플랜지부(6)에 각각 접하는 평면부(8)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부재(9)를 포함한다. 한 쌍의 부재(9)는 평면부와에서 서로 용접된 후에, 도어 외부 패널(4)에 용접 설치된 브라켓(2)을 통하여 도어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impact ba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projection surface (7) accommodated in the groove (5) of the bracket (2), and a flat portion (8)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lange portion (6) of the bracket (2) It includes a pair of members 9 each having a. After the pair of members 9 are welded to each other in the flat portion, they are mounted to the door through a bracket 2 welded to the door outer panel 4.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임펙트 바는 브라켓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한 상태에서, 충격이 전달되므로, 종래의 임펙트 바에 비하여 전달되는 충격량이 적기 때문에, 보다 큰 강도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자동차의 측부에 대한 외부의 충격을 고르게 분산시켜 외부의 충격 하중을 견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impact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is transmit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bracket primarily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re is less impact amount deliver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mpact bar, and thus, greater strength is achieved. By having it, the external impact on the side of the vehicle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withstand the external impact load.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는 임펙트 바의 단면 형상을 사각의 형상으로 하였으나, 임펙트 바의 단면 형상은 D자 형상 또는 그외의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Althoug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mpact bar has a rectangular shap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mpact bar can be a D-shape or other shape.

Claims (1)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 바에 있어서, 도어의 측방향을 따라서 사각의 홈과 상기 홈 양측에 플랜지부를 가지며, 도어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에서 도어 외부 패널에 종방향으로 용접, 설치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홈에 수용되는 사각 돌출면과, 상기 브라켓의 플랜지부에 각각 접하는 평면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임펙트 바.In a door impact bar of a vehicle, the door has a square groove along the side of the door and flanges on both sides of the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door through a bracket welded and installed longitudinally to the door outer panel between the door outer panel and the inner panel. And a pair of members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bracket, the pair of members each having a planar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lange portions of the bracket.
KR1019960054912A 1996-11-18 1996-11-18 Car door impact bar KR199800363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912A KR19980036349A (en) 1996-11-18 1996-11-18 Car door impact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912A KR19980036349A (en) 1996-11-18 1996-11-18 Car door impact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349A true KR19980036349A (en) 1998-08-05

Family

ID=6632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912A KR19980036349A (en) 1996-11-18 1996-11-18 Car door impact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3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6349A (en) Car door impact bar
KR0118851Y1 (en) Vehicle door
KR100372702B1 (en) Door of an automobile resistant to side collision
KR200161056Y1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impact bar for a car
KR0118852Y1 (en) Vehicle door
KR0131508B1 (en) Door reinforcement structure
KR970002212Y1 (en)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sides body of 3-door automobile
KR0138928B1 (en) A center pillar reinforcing structure
KR19990009836A (en) Door reinforcement structure of car
KR0120448Y1 (en) Side sill structure of a car
KR100192840B1 (en) Center filler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ar
KR920003874Y1 (en) Bumper
KR200152943Y1 (en) Structure of door reinforcement for a car
KR100226671B1 (en) Front filler jungle prevention structure of a vehicle
KR0184173B1 (en) Side sill reinforcing structure of a car
KR19980044317A (en) Impact bar mounting structure of car door
KR0183175B1 (en) Safety bracket for a car
KR0147738B1 (en) Car rear door
KR200149300Y1 (en) Door impact bar
KR19980036922A (en) Shock absorber bar of car door
KR200148035Y1 (en) Door impact bar
KR0139456B1 (en) A vehicle door impact beam
KR200252717Y1 (en) Center pillar connection structure of automobile
KR19980033262U (en) Automobile front side member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30083202A (en) Side door with reinforced bracket of impact-ba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