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222U -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 Google Patents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222U
KR19980035222U KR2019960048195U KR19960048195U KR19980035222U KR 19980035222 U KR19980035222 U KR 19980035222U KR 2019960048195 U KR2019960048195 U KR 2019960048195U KR 19960048195 U KR19960048195 U KR 19960048195U KR 19980035222 U KR19980035222 U KR 19980035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trim member
plug
band pa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7577Y1 (ko
Inventor
장재홍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8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5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5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6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using a toothed surf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트림부재와 와이어링을 하나의 부재로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와이어링 협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링을 감싸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일단을 통과시켜 와이어링을 고정토록 협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트림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트림부재의 구멍에 끼워지는 플러그와; 및
상기 플러그 내에 형성되는 나합돌기와; 로 구성되므로써
상기 트림부재를 장착하게 되는 패널에 용착된 스터드볼트에 상기 플러그가 나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본 고안은 트림부재 장착을 겸용하는 와이어링 협지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 2 에 도시하는 것과같이 차체를 따라 배선되는 와이어링(20)을 가지런히 정돈 고정되도록 와이어링 협지구(21)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와이어링(20)이 예를들면 도어트림부재나 대쉬패널패드 등의 트림부재(22) 부근을 지나가도록 배선될 때 종래의 경우 도어트림부재나 대쉬패널패드를 별도 고정수단(23)으로 지지패널(24)에 용접된 나사에 장착하며 와이어링(20) 역시 와이어링 협지구(21)를 사용하여 별도로 지지패널(24) 또는 트림부재(22)에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링과 트림부재 장착을 위한 부품수 증가로 원가가 상승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바는 트림부재와 와이어링을 하나의 부재로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와이어링 협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링을 감싸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일단을 통과시켜 와이어링을 고정토록 협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트림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트림부재의 구멍에 끼워지는 플러그와; 및
상기 플러그 내에 형성되는 나합돌기와; 로 구성되므로써
상기 트림부재를 장착하게 되는 패널에 용착된 스터드볼트에 상기 플러그가 나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협지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기술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링 협지구 2 : 와이어링
3 : 밴드부 4 : 고정부
7 : 지지부 8 : 트림부재
9 : 구멍 10 : 플러그
11 : 나합돌기 12 : 패널
13 : 스터드 볼트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트림부재의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중 부호 1은 와이어링(2)을 협지하여 고정하는 와이어링 협지구이다.
와이어링 협지구(1)는 와이어링(2)을 협지하기 위한 밴드부(3)와 밴드부(3)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4)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3)로 와이어링(2)을 감싼 후 고정부(4)를 통과시켜 잡아당기면 톱니부(5)와 검림돌기(6)에 의해 고정 결속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3)의 배면에는 원반형태의 지지부(7)가 일체로 성형되며 지지부(7)에는 트림부재(8)의 구멍(9)에 끼워지는 플러그(10)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10)의 삽입시 상기 지지부재(7)가 트림부재(8) 표면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상기 플러그(10)의 중공부 내면에는 나사산의 일부인 나합돌기(11) 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플러그(10)를 트림부재(8)에 끼운후 패널(12)에 미리 용착되어 있는 스터드볼트(13)에 나합시켜 고정하므로써 트림부재(8)를 패널(12)에 장착하게 되며 밴드부(3)에 의해 와이어링(2)를 협지하여 고정시키면 하나의 와이어링 협지구(1)를 사용하여 와이어링(2)과 트림부재(8)를 패널(12)에 동시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링 협지구에 의하면 트림부재에 끼워지는 플러그에 나합돌기를 형성한 후 트림부재를 장착하여야 하는 패널에 용착되어 있는 스터드 볼트를 나합돌기와 체결하므로써 하나의 부품으로 와이어링과 트림부재의 동시장착 고정이 가능하여 부품수 및 원가가 감소되고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와이어링을 감싸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일단을 통과시켜 와이어링을 고정토록 협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트림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트림부재의 구멍에 끼워지는 플러그와; 및
    상기 플러그 내에 형성되는 나합돌기와; 로 구성되므로써
    상기 트림부재를 장착하게 되는 패널에 용착된 스터드볼트에 상기 플러그가 나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트림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KR2019960048195U 1996-12-12 1996-12-12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KR200147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195U KR200147577Y1 (ko) 1996-12-12 1996-12-12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195U KR200147577Y1 (ko) 1996-12-12 1996-12-12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22U true KR19980035222U (ko) 1998-09-15
KR200147577Y1 KR200147577Y1 (ko) 1999-06-15

Family

ID=1947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195U KR200147577Y1 (ko) 1996-12-12 1996-12-12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1049A (zh) * 2021-08-13 2021-10-22 浙江富鑫五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落功能的安全型钢丝绳头夹套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1049A (zh) * 2021-08-13 2021-10-22 浙江富鑫五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落功能的安全型钢丝绳头夹套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7577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577Y1 (ko) 트림부재 장착겸용 와이어링 협지구
KR100192459B1 (ko) 시작차의 사이드 패널 어셈블리용 지그
KR100205897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JPH01103135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端子装置
KR200154660Y1 (ko) 자동차용 전선 홀더
KR200144102Y1 (ko) 자동차용 소형 부품의 취부부재
KR0121422Y1 (ko) 지그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이프 고정브라켓 위치 조절구조
KR0129068Y1 (ko) 자동차용 유리 고정구조
KR200160383Y1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장착용 브라켓
KR19990048186A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스터드 클립
JPS5823757Y2 (ja) 操作ワイヤ−の取付装置
KR200198936Y1 (ko) 자동차 패널 압입용 와이어링 크램프
KR980008663U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H05251B2 (ko)
KR200163104Y1 (ko) 배선용 클램프
KR19980023025U (ko) 차량용 텐션로드와 로어아암의 결합구조
JP2930985B2 (ja) 照明器具
KR0132966Y1 (ko) 축전지단자와 케이블단자의 체결구조
KR0126054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20000074127A (ko) 배선고정용 타이 구조
JPH037616U (ko)
KR19980030620U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장착용 브라켓
JPH05266898A (ja) 熱電池を有する機体と熱電池の固定方法
KR19980062321A (ko) 배터리 취부구조
KR19980042107U (ko) 자동차 부재의 연결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