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994A -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994A
KR19980033994A KR1019960051897A KR19960051897A KR19980033994A KR 19980033994 A KR19980033994 A KR 19980033994A KR 1019960051897 A KR1019960051897 A KR 1019960051897A KR 19960051897 A KR19960051897 A KR 19960051897A KR 19980033994 A KR19980033994 A KR 19980033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wireless dat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박정옥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옥,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박정옥
Priority to KR101996005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994A/ko
Publication of KR1998003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994A/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경비들이 현장에서 직접 비상발생신호를 관제소까지 전달하는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안전시스템에서 관제소와 출동한 경비간에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데이터와 상기 정보데이터에 대한 조치 정보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소에 설치되어 상기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조치 정보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1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상기 출동한 경비들이 휴대하여 이상 발생시 현장에서 비상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으로 보내는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상기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데이터와 상기 조치 정보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비상신호를 받아 상기 제1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중계하는 제2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안전시스템의 다중 경비운용 시스템에 이용.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본 발명은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은행이나 점포, 가정 등에는 외부 침입, 화재 발생, 가스 누출 등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시스템이 많이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안전시스템은 은행이나 점포, 가정 등에 설치되어 외부 침입이나 화재 발생 등의 이상을 감지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는 감지 및 이상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이상신호 발생시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관제소의 호스트 컴퓨터와, 상기 감지 및 이상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관제소의 호스트 컴퓨터를 연결하여 이상신호를 중계하는 중계장치와 전송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제소에서는 상기 안전시스템의 상기 감지 및 이상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중계장치와 전송로의 상태를 항상 점검하여 항상 정상상태로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또한 이상 발생 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관제소와 각 출동한 경비들 사이에 원활한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이 이용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관제소용 무전기와 다중의 차량용 무전기(1-N)로 구성된다. 상기 무전기는 마이크와, 스피커와, 안테나와, 무선송수신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무전기의 동작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에서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상기 스피커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무전기의 동작은 상기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받아 상기 무선송수신장치에서 무선 주파수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서 상기 관제소용 무전기와 상기 다중의 차량용 무전기(1-N)사이의 통신방식은 음성통신이었다. 그리고 상기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서는 상기 관제소용 무전기의 송신 주파수와 상기 차량용 송신 주파수를 각각 다르게 설정되었다. 그래서 상기 관제소용 무전기에서 송신하는 것은 모든 차량용 무전기에서 수신 가능하고, 차량용 무전기의 송신 내용은 상기 관제소용 무전기에서만 수신하였다. 만약 상기 관제소에서 1번 차량과 통화를 하고 싶으면 상기 관제소용 무전기에서는 모든 차량용 무전기에 음성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모든 차량 무전기들은 상기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송신내용을 확인한다. 그래서 1번 차량용 무전기는 상기 관제소의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관제소용 무전기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호 음성통신을 한다. 그런데 이때 만약 다른 차량에서 상기 관제소와 통화하기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1번 차량과의 통화가 끝나야만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은 하나의 특정 차량과 통화중일 때 다른 차량에서 긴급사항이 발생해도 상기 특정 차량과의 통화가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은 음성통신으로 같은 주파수대역에서 도청이 될 확률이 매우 높아 보안유지가 어려웠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은 음성통신이므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매우 적었다. 그래서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서는 출동할 때 경비들은 자신의 차량에 필요한 문서(예: 자신이 점검할 중계장치를 나타내는 점포나 은행 등에 설치된 도면이나, 감지 및 이상신호 송신장치들을 나타낸 도면 등)들을 싣고 가야만 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은 음성통신이므로 통화 내용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은 잘못 들었을 경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만약 통화를 끝난 후에 잘못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재통화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출동한 경비가 차량에서 내려 순찰하는 도중에 이상을 발견하였을 경우 상기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은 직접 차량까지 와서 차량용 무전기를 통해서 이상을 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로 인해 만약 도둑의 침입을 발견했을 때 지원을 요청하면서 동시에 감시까지 할 수 없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도둑이나 강도와 직접 대면하였을 때 경비 스스로 상대하기 어려운 경우에 도움을 요청하기가 곤란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비들이 순찰 중에 현재 위치에서 직접 관제소로 비상 발생을 알릴 수 있는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소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절차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과, 차량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200과,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 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출하고,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복조하여 표시한다. 상기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200은 상기 관제소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100에서 송출한 무선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이를 복조하여 표시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이를 변조하여 송출하며, 비상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관제소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송출하도록 중계한다. 상기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 300은 경비들이 휴대하고 있다가 현장에서 비상발생시 조작하면 상기 비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200으로 송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제소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구성도로서, 제어부 110과, 메모리 120과 조작부 130과, 표시부 140과, 변복조부 150과, 무선송수신부 160과, 안테나 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 130은 각종 문자키들과, 숫자키들과, 기능키들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조작에 의해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신호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 130은 키보드를 이용한다. 상기 표시부 140은 음극선관(Cathode-ray tube; 이하 CRT라 한다.) 표시장치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한다.)로서, 소정의 제어를 받아 해당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 120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 120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저장한다. 상기 안테나 170은 무선 주파수를 수신하고 변조된 신호들을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 160은 상기 안테나 17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복조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또한 변조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송신에 필요한 크기로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 170으로 송출한다. 이때 송수신되는 신호는 멀리 전파하기 위한 고출력의 고주파신호이다. 상기 변복조부 150은 상기 무선송수신부 16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소정의 제어에 의해 입력받은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 16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 110은 상기 조작부 130과, 상기 표시부 140과, 상기 메모리 120과, 상기 변복조부 150과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120에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이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 110은 상기 변복조부 150에서 복조된 데이터를 받아 상기 메모리 120에 보내 저장하면서 상기 표시부 140으로 보내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 130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 110은 상기 조작부 130으로부터 키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상기 표시부 140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 120에 저장하며 상기 변복조부 150으로 보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의 구성도로서, 제어부 210과, 메모리 220과, 조작부 230과, 표시부 240과, 변복조부 250과, 무선송수신부 260과, 안테나 270과, 복조부 290과, 무선수신부 28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중, 상기 조작부 230과 상기 표시부 240과 상기 변복조부 250과 상기 무선송수신부 260과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220은 상기한 도 3에서와 같이 소정의 제어안테나 270은 상기한 도 3의 구성요소와 같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한 도 3의를 받아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 220은 설치된 차량에 따라 고유의 식별코드와 비상신호 입력에 따른 비상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상기 무선수신부 280은 상기 안테나 27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에 필요한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무선수신부 280과 상기 무선송수신부 260의 차이는 상기 무선수신부 280이 미약신호에 의한 저주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송수신부 260은 고출력의 고주파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복조부 290은 상기 무선수신부 280으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받아 이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 210은 상기한 도 3의 제어부 110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 210은 상기 복조부 290에 연결되어, 상기 복조부 290으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받아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 220에서 비상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변복조부 250으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의 구성도로서, 제어부 310과, 메모리 320과, 버튼조작부 330과, 변조부 340과, 무선송신부 350과, 안테나 3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중, 상기 버튼조작부 330은 버튼을 구비하고, 외부의 조작에 의해 비상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 320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고유의 식별코드와 상기 버튼조작부 33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상기 제어부 310은 상기 버튼조작부 33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 320에서 상기 고유의 식별코드와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두신호로 비상신호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변조부 340은 상기 제어부 310으로부터 상기 비상신호를 받아 이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무선송신부 350은 상기 변조부 340으로부터 변조된 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안테나 360은 상기 무선송신부 350으로부터 증폭된 비상신호를 받아 송출한다. 여기서 송출되는 신호는 저 출력의 저주파신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서 주로 이용되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절차도로서,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와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과정과,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에서 송출한 비상신호의 전달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도 2와 도 3과 도 4와 도 5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관리자는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을 통해서 차량에 대기중인 경비들에게 출동신호을 내린다. 여기서 출동신호는 출발명령과, 출발장소과, 점검내용 등을 포함한다. 그러면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200에는 이를 받아 상기 표시하고 경비들은 이를 보고 출동응답 신호를 상기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으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은 상기 출동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출동응답신호에는 출동시간과 출동경비이름과 출동인원수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출동한 경비가 도착장소에 도달하여서 도착신호를 상기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200을 통해 상기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도착신호에는 도착시간과 도착인원과 이름 등을 포함한다. 그러면 관리자는 상기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을 통해 상기 도착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200의 경비와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의 관리자는 서로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상기 두 장치를 통해 주고받는다.
그리고 경비가 차량에서 내려 순찰 중에 이상을 발견하였을 때 차량까지 직접가지 않고 휴대하고 있는 비상신호 발생장치 300을 조작하여 비상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차량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200에서는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중계한다. 그러면 관제소용 무선데이터 통신장치 100에서는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이를 표시부 140에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 140에 나타난 비상신호를 보고 관리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도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음성통신에 비해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 특히 한 번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다시 송수신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경비가 순찰 중에 비상이 발생할 때 차량까지 직접 가지 않고 현장에서 비상 발생상태를 관제소까지 알릴 수 있다.

Claims (2)

  1. 안전시스템에서 관제소와 출동한 경비간에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데이터와 상기 정보데이터에 대한 조치 정보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소에 설치되어 상기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하여 이를 표시하고, 상기 조치 정보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제1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상기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데이터와 상기 조치 정보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하는 제2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한 경비들이 휴대하여 이상 발생시 현장에서 비상신호를 발생하여 무선으로 보내는 휴대용 비상신호 발생장치와,
    상기 제2무선 데이터 통신장치에 상기 비상신호를 받아 상기 제1무선 데이터 통신장치로 중계하는 기능을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KR1019960051897A 1996-11-04 1996-11-04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KR19980033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897A KR19980033994A (ko) 1996-11-04 1996-11-04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897A KR19980033994A (ko) 1996-11-04 1996-11-04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994A true KR19980033994A (ko) 1998-08-05

Family

ID=6651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897A KR19980033994A (ko) 1996-11-04 1996-11-04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9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785A (en) Subscriber control unit for united home security system
AU715234B2 (en) Checking the presence of mobile stations communicating on a direct mode channel
GB2247761A (en) Security systems
EP1220556A1 (en) Remote disabling of a mobile phone device
JP2002159056A (ja) 携帯端末紛失・盗難防止システム、ならびに携帯端末紛失・盗難防止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および専用通信機器
JP3924837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KR19980033994A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다중 경비운영 시스템
JP3261217B2 (ja) 安全管理送受信方法及び安全管理送受信装置
JP4935168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S62230233A (ja) 無線電話装置
JP2589231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2162137A (ja) 異常通報装置
KR950007499B1 (ko) 멀티형 무선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4119354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970000822B1 (ko) 음향을 이용한 경보장치
KR100764353B1 (ko)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이를 이용한시스템
KR100472027B1 (ko) 휴대용 경보 스위치를 갖는 경보장치
JP2926490B1 (ja) 無線通信機
JPH05266386A (ja) 地域防災無線システム
JP200209503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06314383A (ja) 緊急連絡システム
JPH01293022A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の自動試験方式
RU2187842C1 (ru) Способ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H0468924A (ja) 無線中継システム
KR20050109092A (ko)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는 도어락 장치 제어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