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642A - 방조망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방조망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642A
KR19980033642A KR1019980016006A KR19980016006A KR19980033642A KR 19980033642 A KR19980033642 A KR 19980033642A KR 1019980016006 A KR1019980016006 A KR 1019980016006A KR 19980016006 A KR19980016006 A KR 19980016006A KR 19980033642 A KR19980033642 A KR 1998003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rchard
guard net
support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395B1 (ko
Inventor
염학수
조현욱
김이남
Original Assignee
염학수
조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학수, 조현욱 filed Critical 염학수
Priority to KR101998001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39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에 의해 과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과수원에 설치되는 방조망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며, 방조망을 올려서 덮기 위해 과수원에 설치되는 방조망 설치 구조에 있어서, 과수원의 지면에 격자 모양으로 매립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대(10), 상기 지주대(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방조망캡(30),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지주대(10)를 하나의 쌍으로 하여 한쪽 지주대(10)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방조망캡(30)을 거쳐 다른 쪽 지주대(10)에 고정되는 와이어(40), 및 상기 지주대(10)에 와이어(40)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망 설치 구조가 제공되고, 이로써 방조망을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파손의 염려가 적으며, 사후 관리가 용이하고, 방조망을 올리고 내리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조망 설치 구조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과수원의 방조망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조류에 의해 과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과수원에 설치되는 방조망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는 까치, 참새, 찌르레기와 같은 각종 새들에 의해 과실이 손상되는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공기총, 폭발음 발생기, 박제새, 반사테이프 등의 용구를 사용하여 새의 접근을 방지하고 있지만, 이런 용구들에 의한 새의 퇴치는 새의 빠른 적응으로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과수의 상부와 둘레에 방조망을 설치하여 새가 과수원에 침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방조망은 새들이 과수에 접근할 수 없도록 제조된 일종의 그물망으로서, 과수원 전체에 소정 간격으로 과수의 높이 보다 높은 다수의 지주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이들 지주대의 상단에 와이어를 격자모양으로 건 상태에서 그 위에 방조망을 덮어씌워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도6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조망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과수원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는, 다수의 지주대(110)를 과수원의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각 지주대(110)의 상단에 방조망캡(112)을 끼우고, 일렬로 위치하는 지주대들(110)의 방조망캡(112)에 와이어(114)를 걸어 그 양단을 과수원의 양측 외각의 지면에 고정하므로써 지주대들(110)의 상단에 와이어(114)를 격자 모양으로 팽팽하게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지주대들(110) 중 과수원의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들(110a)만이 지면에 매설되어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지주대들(110b)은 지면에 매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114)를 받치고 있다. 과수원의 양측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들(110a)에는 강관으로 된 가로대(116)가 수평방향으로 결속되어서 과수원의 울타리를 형성하고 있고, 와이어들(114) 사이에는 보다 좁은 간격으로 다수(3개)의 피복강선(118)이 촘촘하게 배열하여서 마주보는 가로대(116) 사이에 결속되어 있다. 방조망(120)은 와이어(114)와 피복강선(118)으로 형성된 격자 모양의 지지면 위에 올려 결속하므로써 과수의 상부를 덮게 된다.
지주대(110)의 높이 및 설치 간격은 과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선택되며, 예를 들어 배나무 과수원인 경우, 지주대(110)의 지상 높이는 4.5m, 지주대의 설치 간격은 6m, 피복강선의 간격은 150cm 정도이다.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과수원의 외각에 일정 간격(6m)으로 지주대들(110a)을 매설하고, 이들 매설된 지주대들(110a)과 그 사이에 일렬로 위치하는 뉘어진 지주대들(110b)에 방조망캡(112)을 조립한 다음, 이 방조망캡(112)에 형성된 관통구에 가로방향으로 와이어(114)를 차례로 끼운다.
다음에, 과수원 외곽의 지면에 매설된 한쪽 지주대(110a)에 와이어(114)를 결속하고 과수원 외곽의 지면에 매설된 다른 쪽 지주대(110a)에 와이어(114)를 걸어 팽팽하게 당기면서 그 사이에 일렬로 위치하는 지주대들(110b)을 동시에 또는 하나씩 세우고, 와이어(114)를 팽팽하게 결속하여 하나의 열을 이루는 지주대들을 설치한다. 이때 지면의 불균일을 보상하기 위해 각 지주대들(110b)의 아래에 블록과 같은 적당한 받침대(122)를 받치거나 지면을 골라서 지주대의 높이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열의 지주대들도 먼저 설치한 지주대들의 위치에 맞추어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각 지주대들(110)의 세로 방향의 열을 따라 와이어(114)를 방조망캡(112)에 걸어서 와이어 격자를 만들고, 이들 와이어 격자에 다시 피복강선(118)을 격자 모양으로 연결하여 방조망 설치를 위한 지지면을 완성시킨 후에, 그 위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방조망(120)을 약간씩 중첩되게 연속적으로 올려 고정하여 방조망 설치를 완성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와 그 시공방법은, 시공 및 보수 유지에 많은 인력을 요할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쉽게 파손되고, 또한 어느 정도 사용하면 방조망 설치 구조에 사용된 재료들이 휘어서 나중에 이들 재료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 및 시공방법은, 과수원의 양측 지주대(110a) 만을 매설하여 그 사이에 긴 단일의 와이어(114)를 연결한 후 매설되지 않은 다수의 지주대(110b)로 와이어(114)를 받쳐주는 구조로서, 다수의 지주대들을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하여야 하고 지면의 불균일을 맞추기 위해 지면을 골라주거나 지주대 밑에 받침대(122)를 받치면서 기둥을 한 개씩 세워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고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하여 시공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또한, 팽팽하게 설치해야 하는 와이어 자체의 장력과 지면의 불균일에 따라 와이어를 위로 밀고 있거나 와이어(114)에 매달려 있게 되는 지주대(110b)의 하중에 의해 발생된 와이어의 장력이 매설된 외각의 지주대(110a)에 집중되기 때문에 이들 외각 지주대가 파손되기 쉽고, 온도차에 의한 와이어의 수축팽창과 지면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와이어가 처지거나 과도하게 장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수시로 점검하고 보수하여야 하며, 보수에 있어서도 시공 때와 마찬가지로 작업이 어렵고 많은 인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조망(120)을 와이어 격자 위로 올일 때에도 일일이 인력으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을 요할 뿐만 아니라 방조망이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 및 시공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파손의 염려가 적으며, 사후 관리가 용이한 방조망 설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조망 설치 구조에 방조망을 올리고 내리기 용이한 방조망 탑재장치를 구비한 방조망 설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의 지주대로서 과수원 내에 설치되는 지주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의 지주대로서 과수원 외각에 설치되는 지주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4는 와이어 고정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방조망 탑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의 개략도
도6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조망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과수원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지주대 12: 매립부
18: 기둥 22: 회전방지대
26: 보조대 30: 방조망캡
40: 와이어 50: 와이어 고정구
80: 방조망 탑재장치 82: 망대
84: 가이드선 86: 방조망 견인선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외각의 지주대만을 매설하여 그 사이에 일렬로 위치하는 지주대들을 하나의 와이어로 일시에 연결하고 구조가 아니라, 모든 지주대를 매설하고 인접하는 2개의 지주대마다 이를 한조로 하여 길이가 짧은 와이어로 연결하므로써 전체의 격자 모양의 방조망 설치 구조를 구축해 나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조망을 올려서 덮기 위해 과수원에 설치되는 방조망 설치 구조에 있어서, 과수원의 지면에 격자 모양으로 매립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끼워지는 방조망캡,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지주대를 하나의 쌍으로 하여 한쪽 지주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방조망캡을 거쳐 다른 쪽 지주대에 고정되는 와이어, 및 상기 지주대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망 설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렇게 구축된 방조망 설치 구조의 와이어들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복강선이 촘촘히 설치되고, 그 위에 방조망이 올려져 고정되므로써 완전하게 방조망이 구축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대는 지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에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기둥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대들 중 과수원의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들에는 울타리를 형성하는 가로대를 수평방향으로 2열로 결속하고,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상기 가로대의 사이에는 방조망을 상기 와이어 위로 올리고 내리기 위한 방조망 탑재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조망 탑재장치는,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가로대의 하부 가로대에 선회 및 착탈 가능하게 단위 방조망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된 두 쌍의 망대,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망대들 사이에 그 상단에 설치된 고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며 이동 가능한 고리가 각각 끼워진 2개의 가이드선, 및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망대의 상단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가이드선의 이동고리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선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방조망을 견인하는 방조망 견인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의 지주대로서 과수원 내에 설치되는 지주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의 지주대로서 과수원 외각에 설치되는 지주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4는 와이어 고정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방조망 탑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1)는, 기본적으로 두개의 지주대(10)와 방조망캡(30), 하나의 와이어(40), 및 각각의 지주대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구(50)를 기본 단위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주대(10)는, 방조망(2)을 과수 위에 올려놓는 와이어(4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예, 4.5m)로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과수원의 지면에 일정한 간격(예, 6m 간격)으로 격자 모양으로 예컨대 80cm 정도 매립하여 고정한다.
지주대(10)는 단일의 강관 등으로 형성하여 바로 지면에 타격하여 매설하거나, 또는 단일 강관의 하단에 콘크리트나 회전방지대를 설치하여 지면에 매설하므로써 강관의 지면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주대(10)는 작업자의 신장보다 훨씬 높은 예컨대 4.5m의 높이에 이르므로, 지주대가 단일의 강관으로 되어 있는 경우, 그 상단에 방조망캡(30)을 끼우고 와이어를 걸어야 하는 등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지면의 침하나 과수의 성장에 따라 지주대를 더 높은 것으로 교체하여야 할 때, 매립된 지주대를 파내고 다시 매설해야 하는 등 작업상에 불편함이 있으므로, 지주대(10)를 지면에 매립되는 부분과 이 매립되는 부분에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립식 지주대(10)의 예로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을 위한 상단의 돌기(14)와 지면(4)과의 마찰저항을 높이기 위한 측면의 블레이드(16)가 구비된 매립부(12)를 예컨대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형성하고, 상기 매립부(12)의 돌기(14)에 강관으로 된 기둥(18)을 삽입하여 돌기(14)와 기둥(18)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20)를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지주대(10)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지주대(10) 중 과수원의 외각에 매설되어 울타리를 형성하는 지주대(10a)는,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대(70)나 방조망 탑재장치(80:도5 참조)와 같은 추가의 구조물이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지주대들에 비하여 하중을 많이 받게 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매설될 필요가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12)에는 지주대(10a)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전방지대(22)를 나사결합하고, 기둥(18)에는 매립부(12)로부터 소정 거리(예, 190cm) 이격된 위치에 매설된 말뚝(24)과의 사이에 보조대(26)를 체결할 수 있다.
도3에서 도면 부호28은 방조망캡(30)과 와이어 고정구(50)에 고정된 와이어(40)를 최종적으로 지면(4)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에 매립되는 와이어 매립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과수원의 외각에 매설되어 지주대(10a)의 경우 와이어(4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이유는, 이들 외각 지주대(10a)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지주대가 3개 또는 2개뿐이므로 그 하중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지주대(10)의 상단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방조망캡(30)이 끼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방조망캡(30)으로서는 지주대 위에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깊은 열십자 홈(3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에 있어서는 하나의 긴 와이어를 여러 지주대에 걸쳐 고정시켰기 때문에 열십자 홈을 가진 방조망캡을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가 처질 때 와이어가 쉽게 방조망캡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었으므로, 이런 이탈을 방지할 목적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방조망캡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와이어(40)가 방조망캡(30)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적고 이탈된다고 하더라도 용이하게 재고정할 수 있으므로 열십자형 홈(32)을 가지는 방조망캡(30)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와이어를 관통홀에 꿰어 넣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조망 설치 구조(1)에서는 열을 이루는 지주대들(10)을 하나의 긴 와이어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짧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두 지주대 사이만을 연결한다. 즉,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지주대(10)를 하나의 쌍으로 하여 와이어(40)의 일단을 한쪽 지주대에 고정하고, 한쪽 지주대의 방조망캡(30)과 다른 쪽 지주대의 방조망캡을 거쳐 다른 쪽 지주대(1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와이어(40)를 연결한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지주대(10)는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4개의 지주대(10)와의 사이에 각각 1개씩 4개의 와이어(40)가 연결된다. 물론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10a)에는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3개의 지주대만이 위치하므로 3개의 와이어가 연결되고, 코너에 있는 지주대에는 2개의 와이어만이 연결되며, 이들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10a)의 와이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면에 매립하여 하중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와이어 연결구조에 따라, 과수원의 양측에 매설된 두 지주대 사이에 연결된 긴 단일의 와이어를 매설되지 않은 다수의 지주대로 받쳐주는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가 가지는 시공 작업, 유지, 관리보수의 과정에서 가지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모든 지주대에 대하여 4개의 와이어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될 염려가 없고, 지주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세우는 작업도 지면의 불균일에 따라 지주대를 받쳐주는 작업 없이 적은 인력(2명 정도)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온의 변동으로 와이어가 수축팽창하여 처지거나 지나치게 팽팽하게 될 경우에도 각각의 지주대에 대하여 와이어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여 재연결하면 되므로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지주대(10)를 연결하는 와이어(40)는 일부 외각의 지주대(10a)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제외하고 지면에 고정하지 않고 바로 지주대에 고정된다. 지주대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50)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와이어의 고정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고정구의 바람직한 예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와이어 고정구(50)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와이어 고정구(50)는, 일정 높이와 직경으로 플라스틱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본체(52), 방조망(2)을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40)를 소정 높이에 유지하는 지주대(10)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있도록 본체(52)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지주대 삽입구(54), 본체(52)의 둘레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삽입구(56), 지주대(10)에 본체(52)를 고정시키는 본체 고정구(58), 와이어 삽입구(56)에 연통되게 본체(52)에 형성된 핀삽입구(60), 및 핀삽입구(60)에 끼워지는 와이어 고정핀(6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체 고정구(58)로 본체(52)를 지주대(10)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한 후, 핀삽입구(60)에 와이어 고정핀(62)을 끼운 상태에서 와이어(40)를 와이어 삽입구(56)에 통과시켜서 와이어 고정핀(62)을 조이는 방법으로 지주대(10)에 와이어(4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와이어 고정구(50)의 구성에 따라 지주대(10)에 와이어를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와이어 고정구(50)를 지주대(10)의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도1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원의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들(10a)에는 강관으로 형성된 가로대(70)를 수평방향으로 2열로 결속하여 울타리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 울타리용 가로대(70)에는 피복강선(72)이 결속되는 지지대의 기능도 가진다. 이들 가로대(70)의 사이 및 지면과의 사이에는 각각 와이어(74)를 둘러쳐서 울타리로서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외각 지주대들(10a)의 하단에 추가로 2줄의 와이어(76)를 둘러쳐서, 울타리의 측면에 늘어지게 되는 방조망(2)의 자락을 정돈하여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방조망 설치 구조는, 격자모양으로 설치된 와이어와 피복강선 위로 방조망을 올리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였으므로, 방조망 설치 구조 위에 방조망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일일이 인력으로 끌어올리거나 내려야 했고 그 과정에서 방조망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방조망 설치 구조(1)는 이런 불편을 없애기 위해 과수원 외각의 지주대들(10a)에 설치된 울타리용 가로대(70)를 이용하여 방조망 탑재장치(80)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조망 탑재장치(8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망대(82: 2개는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되므로 도시 생략), 2개의 가이드선(84), 및 2개의 견인선(8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망대(82)는 방조망(2)의 높이, 즉 지주대(10a)의 높이 보다 충분히 높은 길이(예, 6m)의 강관 등으로 되어 있고,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양측의 하부 가로대(70a)에 각각 2개씩 선회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의 두 망대(82) 사이의 간격은 시판되는 단위 방조망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이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대(82)는 상부 가로대(70b)의 바깥쪽으로부터 하부 가로대(70a)의 안쪽으로 교차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가로대(70a)에 선회 가능하게 크램프(88)로 체결되며, 따라서 망대(82)는 하부 가로대(70a)를 기준으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망대(82)의 상단이 과수원의 바깥쪽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망대(82)의 상단에는 가이드선(84)과 견인선(86)을 위한 고리(90a,90b)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선(84)은 방조망(2)을 설치할 때 이를 안내하여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강선으로서,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두 망대(82)의 고리(90a)에 끼워져서 과수원 양쪽의 지면(4)에 팽팽하게 고정되며, 여기에는 방조망(2)을 처지지 않은 상태로 매달고 있으면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고리(92)가 끼워져 있다.
견인선(86)은 상기 가이드선(84)을 따라 방조망(2)을 이동시키기 위한 강선으로서, 상기 망대(82)의 다른 고리(90b)에 끼워져서 과수원의 양측에서 잡아당길 수 있게 되어 있다. 도5에서 도면부호 94는 방조망(2)을 고리(92)를 통해 가이드선(84)과 견인선(86) 사이에 연결하기 위한 바부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조망 탑재장치(80)의 구성에 따라, 과수원의 한쪽에 있는 망대(82)를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눕혀 논 상태에서 두 견인선(86)에 방조망(2)의 양측단을 고정하여 가이드선(84)의 이동고리(92)에 연결하고, 다시 망대(82)를 새워 가이드선(84)을 팽팽하게 지면에 고정시킨 후에 과수원의 다른 쪽에서 견인선(86)을 당기면, 방조망(2)이 가이드선(84)을 따라 이동하여 와이어(40)의 상부에 펼쳐지게 되고, 견인선(86)으로부터 방조망(2)을 풀어 와이어(40)에 고정시키면 방조망의 탑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망대(82)를 옮겨가면서 전체의 방조망 탑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조망의 교체나 제거작업도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과수원의 방조망 설치 구조에 의하면, 첫째 모든 지주대에 대하여 4개의 와이어가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시설이 파손될 염려가 없고, 지주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세우는 작업도 지면의 불균일에 따라 지주대를 받쳐주는 작업 없이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둘째, 지주대를 지면에 매립되는 부분과 이 매립되는 부분에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써, 방조망캡을 끼우는 작업, 와이어를 거는 작업, 지주대를 교체하는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과수원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에 회전방지대와 보조대를 설치하므로써,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력을 가지게 된다.
넷째, 과수원 외각의 지주대들에 설치된 울타리용 가로대를 이용하여 방조망 탑재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므로써, 적은 인력으로 방조망 설치 구조 위로 방조망을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방조망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1. 방조망(2)을 올려서 덮기 위해 과수원에 설치되는 방조망 설치 구조에 있어서, 과수원의 지면에 격자 모양으로 매립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대(10), 상기 지주대(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방조망캡(30), 가로와 세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두 지주대(10)를 하나의 쌍으로 하여 한쪽 지주대(10)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방조망캡(30)을 거쳐 다른 쪽 지주대(10)에 고정되는 와이어(40), 및 상기 지주대(10)에 와이어(40)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망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0)는 상단의 돌기(14)와 측면의 블레이드(16)가 구비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매립부(12)와, 상기 매립부(12)의 돌기(14)에 조립되는 기둥(1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망 설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0) 중 과수원의 외각에 매설되는 지주대(10a)의 상기 매립부(12)에는 지주대(10a)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전방지대(22)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기둥(18)에는 매립부(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매설된 말뚝(24)과의 사이에 보조대(26)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망 설치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들(10) 중 과수원의 외각에 위치하는 지주대들(10a)에는 가로대(70)가 수평방향으로 2열로 결속되어 있고,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상기 가로대(70)의 사이에는 방조망(2)을 올리고 내리기 위한 방조망 탑재장치(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조망 탑재장치(80)는,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가로대(70)의 하부 가로대(70a)에 선회 및 착탈 가능하게 단위 방조망(2)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된 두 쌍의 망대(82),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망대들(82) 사이에 그 상단에 설치된 고리(90a)를 통해 지면(4)에 고정되며 이동 가능한 고리(92)가 각각 끼워진 2개의 가이드선(84), 및 과수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망대(82)의 상단에 설치된 고리(90b)와 상기 가이드선(84)의 이동고리(92)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선(84)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방조망(2)을 견인하는 방조망 견인선(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망 설치 구조.
KR1019980016006A 1998-05-04 1998-05-04 방조망설치구조 KR10027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06A KR100276395B1 (ko) 1998-05-04 1998-05-04 방조망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06A KR100276395B1 (ko) 1998-05-04 1998-05-04 방조망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642A true KR19980033642A (ko) 1998-07-25
KR100276395B1 KR100276395B1 (ko) 2000-12-15

Family

ID=1953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006A KR100276395B1 (ko) 1998-05-04 1998-05-04 방조망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3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289B1 (ko) * 2006-11-07 2007-06-28 전라북도 방조망의 적설방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한 방조망의 설치구조
KR200459885Y1 (ko) * 2010-12-13 2012-04-20 박효선 부품 장착용 그리드
KR101148634B1 (ko) * 2010-03-17 2012-05-21 박만기 농산물용 방충망 연결구조
CN108934660A (zh) * 2018-10-10 2018-12-0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连栋拱形棚架及其浇灌栽培方法
CN108935438A (zh) * 2018-08-10 2018-12-0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果园防鸟网大棚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2613A (zh) * 2016-08-30 2017-01-25 浙江清华长三角研究院 全程防虫网室和蔬菜安全生产方法
KR20210072445A (ko) 2019-12-09 2021-06-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방조망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방조망 조립체
KR102531773B1 (ko) 2022-04-21 2023-05-10 이진희 스위블조인트 조류퇴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959U (ko) * 1981-03-20 1982-09-29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289B1 (ko) * 2006-11-07 2007-06-28 전라북도 방조망의 적설방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한 방조망의 설치구조
KR101148634B1 (ko) * 2010-03-17 2012-05-21 박만기 농산물용 방충망 연결구조
KR200459885Y1 (ko) * 2010-12-13 2012-04-20 박효선 부품 장착용 그리드
CN108935438A (zh) * 2018-08-10 2018-12-0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果园防鸟网大棚
CN108934660A (zh) * 2018-10-10 2018-12-0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连栋拱形棚架及其浇灌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395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483A (en) Canopy support system
KR200427015Y1 (ko) 과수의 가지 처짐 방지장치
KR100276395B1 (ko) 방조망설치구조
US6922953B1 (en) Diamond post stabilizer
KR101899524B1 (ko) 2중 지주를 이용한 동물 유도 펜스
KR100276396B1 (ko) 방조망설치용와이어고정구
KR20046043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JP3214169U (ja) 折り畳み傘式 防鳥網
US20180310491A1 (en) Crop Protection System
JP2000224929A (ja) 樹木の被害防止装置
JP5185053B2 (ja) 網又はシートの定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植物育成用ハウス
JP5977097B2 (ja) 簡易型防護柵
JPH09238582A (ja) 蓮田用防風・防鳥ネット棚の構造
JP2858084B2 (ja) 仮囲い等への緑化装置
SU1759319A1 (ru) Виноградна шпалера
Agnew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exashelter
US5954155A (en) Bridge containment system
CA2199560A1 (en) Tree supported structure
KR200448674Y1 (ko) 방조망 지주대 고정지주
KR20210072445A (ko) 방조망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방조망 조립체
JP3679654B2 (ja) 擬木通信塔
RU2017916C1 (ru) Градирня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JPH039640Y2 (ko)
JP2006161336A (ja) 施工・養生テント
JPH07286436A (ja) 吊り足場の屋根付きステ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