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225U -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225U
KR19980033225U KR2019960046132U KR19960046132U KR19980033225U KR 19980033225 U KR19980033225 U KR 19980033225U KR 2019960046132 U KR2019960046132 U KR 2019960046132U KR 19960046132 U KR19960046132 U KR 19960046132U KR 19980033225 U KR19980033225 U KR 199800332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projector
air
intake fan
dissip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1071Y1 (ko
Inventor
박정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46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0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를 직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방열구조체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광학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과; 속이 빈 몸체와, 흡기팬이 체결되며 몸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구와, 몸체로 유입된 공기가 램프, 안정기 및 액정패널 각각으로 배기되도록 분기된 제1, 제2 및 제3 배기구를 가지는 덕트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덕트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하는 방출팬;을 포함하여 된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에 있어서, 덕트는 흡기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제1, 제2 및 제3 배기구 각각에 대해 소정 분할비로 배기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분할판과; 램프에서 출사된 광을 난반사시키는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본 고안은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흡기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가이드하여 스크램블러를 직접 냉각 할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하나의 액정패널(panel)로 칼라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칼라 액정프로젝터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에서 출사되고 반사경(11)에서 반사된 광은 어퍼쳐(12)를 통과하면서 스크린(24)에 대응하는 가로 대 세로 비율을 갖는 사각형상의 광으로 된다. 이 사각형의 광은 스크램블러(13)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광이 되고, 이미지렌즈(14)와 적외선광을 투과시키는 핫미러(15) 그리고 입사광을 집속하는 제1수속렌즈(16)를 경유하여 거의 평행한 상태로 화상생성수단(17)(18)에 입사된다. 화상생성수단(17)(18)은 액정표시소자(18) 및 그 전후에 형성된 편광판(17)을 포함하며, 그 후면에서 입사된 광을 매개로 화상을 생성한다. 이 화상생성수단(17)(18)에서 생성된 광은 제2수속렌즈(19)를 통과하고, 화상의 초점정도 및 확대비를 결정하는 반사미러(21) 및 다수의 렌즈유니트(22)를 포함하는 투사렌즈(20)를 경유한 후, 스크린(24)의 후면에 소정 각도의 기울기로 배치된 전반사미러(23)에서 반사되어 스크린(24)에 확대 투영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10)는 할로겐(halogen), 제논(Xenon)램프 등의 방전램프로 초기 방전을 위해 안정기(9)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프로젝터는 하우징에 내부에 대체로 밀폐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10)에서 광을 출사하는데 있어서, 안정기(9)와 램프(10)가 쉽게 가열되고, 상기 램프(10)에서 출사된 광에 의해 광학부재 특히, 어퍼쳐(12)와, 액정패널(17)에 열이 전달된다. 이러한 열은 프로젝터의 손상을 초래하며, 제품 수명 단축을 초래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종래의 프로젝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흡기팬(30)과, 이 흡기팬(3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안정기(9)(도 1 참조), 램프(10)(도 1 참조) 및 액정패널(18)(도 1 참조)로 전달되도록 된 덕트(40)와, 흡입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된 방출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40)는 광학부재들을 감싸는 하우징(미도시)의 내측에 설치되며, 속이 빈 몸체(41)와, 체결수단(50)에 의해 상기 흡기팬(30)이 체결되며 상기 몸체(41)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구(42)와, 상기 몸체(41)로 유입된 공기가 세부분으로 나뉘어 배기되도록 분기된 제1, 제2 및 제3배기구(43)(44)(4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배기구(43)는 유입된 공기를 상기 램프(10)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램프의 광조사에 의해 야기된 열을 방열시킨다. 제2배기구(44)는 안정기(9)쪽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 제2배기구(44)를 통해 배기된 공기는 안정기(9)의 열을 방열시킨다 상기 제3배기구(45)는 액정패널(18)쪽으로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배치된다. 상기 방출팬(미도시)은 상기 제1배기구(43)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배기구(43)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램프(1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하우징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종래의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는 덕트(40)의 구조에 있어서, 몸체(41)는 속이 빈 관으로 흡기구(4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분배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흡입된 공기는 임의로 분배되어 세 배기구(43)(44)(45)를 통해 배기되어, 공기에 의한 방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어퍼쳐(13) 및 스크램블러(13)를 직접 냉각시키는 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냉각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언급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소정 비로 분배하여 각 배기구를 통해 배출함과 아울러 스크램블러를 직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하나의 액정패널(panel)로 칼라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칼라 액정프로젝터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열구조체를 채용한 프로젝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흡기팬80...덕트 81...몸체
82...흡기구83,84,85...배기구
86...분할판87...방열공
90...방출팬100...하우징
102...흡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광학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과; 속이 빈 몸체와; 상기 흡기팬이 체결되며 상기 몸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구와, 상기 몸체로 유입된 공기가 램프, 안정기 및 액정패널 각각으로 배기되도록 분기된 제1, 제2 및 제3 배기구를 가지는 덕트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하는 방출팬;을 포함하여 된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흡기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제2 및 제3 배기구 각각에 대해 소정 분할비로 배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분할판과; 램프에서 출사된 광을 난반사시키는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구조체를 채용한 프로젝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방열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는 광학부재들이 배열된 하우징(60)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흡기팬(70)과, 이 흡기팬(7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열을 많이 받는 광학부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덕트(80)와, 광학부재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 더워진 공기를 배출하는 방출팬(90)을 포함한다.
상기 흡기팬(70)은 상기 덕트(80)의 흡기구(82)에 체결되어 유입된 공기가 덕트(80) 내부로 향하도록 하며, 상기 방출팬(90)은 램프 주변의 하우징(6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흡기팬(70)과 방출팬(90)은 그 중앙에 회전수단으로 모터(71)를 구비하고, 이 모터(71) 주위에 다수의 날개(72)를 구비하여, 날개의 회전에 의해 공기을 흡입 또는 방출한다. 이 흡기팬(70)과 방출팬(90)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덕트(80)는 상기 하우징(60)에 체결되며, 상기 흡기팬(70)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하우징(60) 내에 배치된 소정 광학부재로 안내한다. 이 덕트(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는 하나의 흡기구(82)와 제1, 제2 및 제3배기구(83)(84)(85)를 가지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다. 상기 흡기구(82)는 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곳으로 체결수단(100)에 의해 상기 흡기팬(70)이 외측에 체결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배기구(83)(84)(85)는 상기 흡기구(8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다수의 광학부재쪽으로 향하도록 된 위치에 구비된다. 제1, 제2 및 제3배기구(83)(84)(85) 각각은 램프(10)(도 1 참조), 안정기(9)(도 1 참조) 및 액정패널(18)(도 1 참조) 쪽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흡기구(8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소정 비로 분기되어 각 배기구(83)(84)(85)로 배출되도록 상기 몸체(81)의 내부에는 복수의 분할판(86)이 구비된다. 상기 분할판(86) 각각은 제1배기구(83)와 제2배기구(84) 및, 제2배기구(84)와 제3배기구(85)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몸체(81)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분할판(86)은 상기 흡기팬(70)에서 상기 몸체(81)로 공기가 유입시 분할판(86)의 두께에 의해 분할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할판(86) 각각의 상기 흡기팬(70)과 마주하는 일측부(86')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81)에는 상기 흡기팬(7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로 향하도록 된 방열공(87)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공(87)은 상기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를 감싸는 하우징(100)의 흡기구(10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100)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방열공(87)을 통해 상기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로 안내함으로서, 상기 어퍼쳐(12)의 배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는 덕트(80)의 몸체(81) 내부에 분할판(86)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방열공을 형성함으로서, 각 배기구(83)(84)(8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분배비가 거의 일정하므로, 유입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를 직접 냉각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하다.

Claims (1)

  1.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광학부재가 설치된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과;
    속이 빈 몸체와, 상기 흡기팬이 체결되며 상기 몸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구와, 상기 몸체로 유입된 공기가 램프, 안정기 및 액정패널 각각으로 배기되도록 분기된 제1, 제2 및 제3 배기구를 가지는 덕트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하는 방출팬;을 포함하여 된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흡기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제2 및 제3 배기구 각각에 대해 소정 분할비로 배기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분할판과;
    램프에서 출사된 광을 난반사시키는 스크램블러 및 어퍼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KR2019960046132U 1996-12-06 1996-12-06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KR200151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132U KR200151071Y1 (ko) 1996-12-06 1996-12-06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132U KR200151071Y1 (ko) 1996-12-06 1996-12-06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25U true KR19980033225U (ko) 1998-09-05
KR200151071Y1 KR200151071Y1 (ko) 1999-07-15

Family

ID=1947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132U KR200151071Y1 (ko) 1996-12-06 1996-12-06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08B1 (ko) * 1997-09-16 2007-04-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상표시장치및광학장치용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139B1 (ko) 2004-05-12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투사장치
KR100715854B1 (ko) 2005-06-22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08B1 (ko) * 1997-09-16 2007-04-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상표시장치및광학장치용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1071Y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285B2 (en) Projector
KR100196681B1 (ko) 광학장치 및 그 냉각방법
JP4059251B2 (ja)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100358621B1 (ko) 액정투사장치와 램프
US6450646B1 (en) Display unit
TWI237153B (en) Projection type display equipment and lamp cooling apparatus
KR20000056980A (ko) 디스플레이 광학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H01186908A (ja) 冷却可能な光照射装置及びその方法
US6966655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KR200151071Y1 (ko) 프로젝터용 방열구조체
KR0133675Y1 (ko) 프로젝터의 방열구조체
CN116482921A (zh) 冷却装置、光源装置、图像投影装置和波长转换装置
JP2004219752A (ja) 映像投射装置及び映像投射装置の冷却方法
JPH10186517A (ja) 投写形表示機の冷却装置
JP2004054055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H09288315A (ja) 投写型表示装置
US8511832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angled exhaust fan
JP3467032B2 (ja) プロジェクタ
JP2017003792A (ja) 照明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2003084368A (ja) プロジェクタ
JP2004133310A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04095261A (ja) 光源ランプ冷却構造
US20230110462A1 (en) Phosphor wheel unit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2701216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20071284A (ja) 光変調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