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006A -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006A
KR19980033006A KR1019970053894A KR19970053894A KR19980033006A KR 19980033006 A KR19980033006 A KR 19980033006A KR 1019970053894 A KR1019970053894 A KR 1019970053894A KR 19970053894 A KR19970053894 A KR 19970053894A KR 19980033006 A KR19980033006 A KR 1998003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buckle
buckle
protrusions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쯔비어
Original Assignee
요아힘베.히르쉬
테에르베오커판트레스트레인트시스템즈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아힘베.히르쉬, 테에르베오커판트레스트레인트시스템즈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아힘베.히르쉬
Publication of KR1998003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 Y10T24/45785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은, 긴 길이의 판형 요소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21) 및 그에 나란한 하부(23)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로 장착 요소인 삽입 설부가 수납될 수 있는 하중 지지 프레임(3,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21) 및 하부(23)는 상기 상부(21)와 상기 하부(23)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이 2개의 측면 연부(27,29)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다른 부분(21,23)의 인접 부분 둘레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자유단 영역에서 서로 상호 체결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본 발명은 하중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에 관한 것으로, 이때 하중 지지 프레임은 긴 길이의 판형 요소를 절곡, 특히 스탬핑 가공(stamping)함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및 그에 나란한 하부를 구비하며, 그 상부 및 하부 사이로 장착부인 삽입 설부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벨트 버클의 제조를 위한 스탬핑 가공부에 관한 것이기도 한다.
공지된 벨트 버클의 하중 지지 프레임은 중심축에 대해 상부 및 하부가 비록 서로 대체적으로 나란하면서도 서로 이격되는 정도로 절곡된 박판 금속 스탬핑 가공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상부 및 하부에는 그 부분들이 서로 충분하지 않은 간격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페이서가 통상 제공된다. 그렇게 절곡된 스탬핑 가공부는 템퍼링 후처리된다. 템퍼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프레임은 늘어지게 되어, 상부 및 하부간의 간격은 그 부분의 자유단에서 커지게 된다. 이 간격이 너무 커지면, 프레임은 벨트 버클에 설치되기에 적당치 않게 되며, 결국 불량품화된다. 그러한 불량품들은 조립을 위한 전 자동 부품 이송 공정 도중에 정해진 시간내에 분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벨트 버클 프레임 혹은 절곡 스탬핑 가공부는 공지되어 있으며, 그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는 프레임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리벳으로 상호 부착된다. 그러나, 리벳을 사용한 부착은 비용 집약적인 과정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갖는 벨트 버클을 제공하며, 그 버클의 제조에 있어, 프레임이 과도하게 늘어지도록 제작되는 위험은 실질적으로 배제될 수 있어서, 모든 면에 대해, 특히 비용상 효율적인 벨트 버클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것은 전술한 종류의 벨트 버클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될 수 있는데, 상부나 하부중 적어도 하나가 그 2개의 측면 연부 각각에서 상기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 부분의 인접 부분 둘레로 절곡되는 곳에 의해 상부 및 하부가 그 자유단 영역에서 서로 상호 체결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상부 또는 하부가 전체 측면 연부를 따라 상기 대응하는 다른 부분 둘레로 절곡될 수 있다 하더라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또는 하부중 단 하나의 부분만이 상기 대응하는 다른 부분의 인접 부분 둘레로 절곡되는 경우라도 이미 충분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는 상부를 하부에 연결하는 작용을 한다. 제1 돌출부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다소 돌출하는 제2 돌출부의 둘레로 U-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 제2 돌출부는 동시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반대편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상부 및 하부간의 스페이서로서 사용된다.
상부 및 하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은 제1 돌출부를 상부의 일측면 연부에 그리고 제1 돌출부를 하부의 반대쪽 연부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스템핑 가공부는 가교 요소로 작용하는 돌출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레임의 형태로 스탬핑 가공된 블랭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 블랭크간의 소정 돌출부는 소정 블랭크 근처에서 분리되며, 다른 돌출부는 다른 블랭크 근처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제1, 제2 돌출부는 일측면 연부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구성된 스탬핑 가공부의 경우, 인접 블랭크간의 공간은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비용 효율적인 측면으로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후의 설명 및 첨부된 참조 도면들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벨트 버클에 설치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프레임을 위한 2개의 인접 블랭크를 예시하는 스탬핑 가공부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
도2는 프레임이 강조된 도면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 버클에 대한 상부 정면도.
도3은 도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 버클에 대한 스탬핑 가공부의 평면도.
도4는 프레임이 강조된 도면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 버클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 따른 벨트 버클의 종단면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스탬핑 가공부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7-9는 도3-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스탬핑 가공부
3,3'; 하중 지지 프레임
5: 벨트 버클
7,9: 가교 요소
13,13'; 제1 돌출부
17,17': 제2 돌출부
21: 상부
23: 하부
25: 웨브
27,29: 측면 연부
도1에는 하중 지지 프레임(3,3')에 사용되는 2개의 인접 스탬핑 가공된 블랭크를 구비하는 스탬핑 가공부(1)의 일부가 예시되며, 도2에서 상기 하중 지지 프레임 중 하나가 벨트 버클(5)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블랭크는 이후 보다 상세하게 언급되지 않는 여러 곳의 오목부와 여러 곳의 함몰 및 돌출부를 갖는 긴 길이의 판형 형상부를 구비한다. 프레임(3)의 블랭크는 그 상부 및 하단부에서 가교 요소(7,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블랭크의 분리를 위해, 도면 부호(11)로 인식되는 중간 영역에서 가교 요소(7)가 분리됨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3,3')에서 제1 돌출부(13,13')가 형성된다. 가교 요소(9)의 중간 영역에서는 소정의 중간 요소(15)가 상기 가교 요소(9)로부터 스탬핑 가공됨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3,3')에 있어서 제2 돌출부(17,17')는 제1 돌출부(13,13')에 비해 측방 돌출되는 정도가 덜하다. 상기 돌출부들(13,13';17,17')은 중심축(19)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그 중심축(19)에 대해 블랭크를 절곡하고 난 이후의 돌출부들(13,17;13',17')은 차례로 적층된다. 블랭크의 절곡으로부터 얻어지는 양쪽 절반부들은, 서로 간격을 둔 상태로 서로 대체로 나란하며, 가운데가 오목하게 패인 웨브(25)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21) 및 하부(23)를 형성한다. 오목부에 의해, 장착부로서의 삽입 설부를 위한 삽입 구멍(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설부는 상부 및 하부(21,23)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
웨브(25)를 마주하는 프레임(3) 단부 영역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21,23) 간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돌출부(17)들은 하부(23)를 향해 기울어지고 제1 돌출부(13)들은 상부(21)를 향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돌출부들은 서로 인접하게 된다. 또한, 보다 더 길게 측방으로 연장하는 제1 돌출부(13)는 제2 돌출부(17) 둘레로 절곡됨으로써(도2 참조) 그 제2 돌출부(17)들을 사이에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그에 따라, 상부 및 하부(21,23) 간의 간격은 언제나 일정하다. 스탬핑 가공부(3)의 절곡 후에 템퍼링 처리와 같은 열처리에 의해서도 상기 간격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21,23) 간의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에 의해 치수상 정밀도가 떨어지는 프레임의 개수는 매우 적은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프레임(3)은 프레임의 절곡 및 돌출부(13,17)들의 둘레로 대응 하는 관계로 절곡함과 함께 후속 열처리를 거친 후에 버클 하우징(33)에 끼워진다. 상부 및 하부(21,23)에 차례로 적층되도록 배치된 오목부(31)(도5 참조)들은 벨트 버클(5)을 파스너 장착부(도시 생략)에 리벳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도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스탬핑 가공부(1')는 가교 요소(7,9)가 절반으로 분할되는 것이 아니라, 절삭 또는 스탬핑 다이를 지시하는 원(3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 요소(7)가 프레임(3')에 가깝게, 그리고 다른 가교 요소(9)가 프레임(3)에 가깝게 분리됨으로써,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다. 측면 연부(27) 영역에서, 상부(21)측의 돌출부(13)는 보다 더 측면으로 연장하며, 하부(23)측의 돌출부(17)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정도가 보다 덜하다. 이에 따른 결과로서, 상부(21)의 돌출부(13)는 측면 연부(27)상에서 하부(23)의 돌출부(17) 둘레로 절곡되며, 하부(23)의 돌출부(13)는 도4에서 명백하듯이 측면 연부(29) 영역에서 상부(21)측 돌출부(17) 둘레로 절곡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중간 요소(15)가 받침부(9)로부터 스탬핑 가공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돌출부(13)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도3에 도시된 스탬핑 가공부(1')에서의 2개의 인접 프레임(3,3') 사이의 간격은 도1에 도시된 간격 보다 작으며, 그에 따라 스탬핑 가공에 있어서 보다 많은 프레임(3,3')이 제조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전체적인 원료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된 오목부(31) 대신에, 스탬핑 가공부를 절곡하였을 때 서로 차례로 적층 배열되는 장반경의 타원형 개방구(31')를 상부 및 하부(21,23) 각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구(31')는 벨트 웨빙(webbing), 혹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에 의해 벨트 버클을 차량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7-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3-5에 대응하는 형태로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벨트 버클을 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개방구(31) 대신에, 단지 2개의 타원형 개방구(31')가 제공되며, 이 벨트 버클의 경우에서도 버클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개방구(31')를 통해 벨트 웨빙 혹은 케이블이 견인될 수 있다.
벨트 버클을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모든 실시예와 각각의 수단에 있어, 상부(21)와 하부(23)를 체결하기 위해 제공된 측방 연장 돌출부(13,13',17,17')들은 언제나 동일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 부착된 상부 및 하부는 스페이서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예시된 모든 스탬핑 가공부의 상부 및 하부는 동일한 조립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한 버클 하우징에 통합될 수 있음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준화된 단일 요소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모듈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0)

  1. 긴 길이의 판형 요소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21) 및 그에 나란한 하부(23)를 구비하는 하중 지지 프레임(3,3')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로 장착 요소인 삽입 설부가 수납될 수 있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에 있어서,
    상기 상부(21) 및 상기 하부(23)는 상기 상부(21)와 상기 하부(23)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이 2개의 측면 연부(27,29)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다른 부분(21,23)의 인접 부분 둘레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자유단 영역에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길이의 판형 요소는 스탬핑 가공부(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3')은 파스너 장착부와 파스너 벨트 중 하나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21,23)의 자유단 영역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31)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21,23)를 상기 자유단의 대향 단부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웨브(25)는 상기 삽입 설부의 수납을 위해 중심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면 연부(27,29)상의 상기 하부(21) 중 일부와, 반대쪽 측면(29,27)상의 상부(23) 중 일부는 상기 대응하는 다른 부분(21,23) 둘레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연부(27,29) 둘레로 절곡된 상기 일부분은 측방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13,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21)와 상기 하부(23)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상기 제1 돌출부(13,13')는 다른쪽 부분(21,23)에 제공된 제2 돌출부(17,17') 둘레로 절곡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측방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돌출부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21,23)의 사이에는 그 양 부분(21,23) 중 적어도 한 부분에 대해 성형된 다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는 반대쪽 부분(21,23)을 향해 기울어지는 상기 2개의 돌출부(13,13',17,17') 중 하나 이상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21)는 일 측면 연부(27,29)에 제1 돌출부(13)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23)는 그 반대쪽 측면 연부(27)에 제1 돌출부(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10. 제5항에 따른 벨트 버클(5)용 프레임(3,3')을 제조하기 위한 스탬핑 가공부로서,
    가교 요소(7,9)를 형성하는 상기 돌출부(13,13',17,1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레임(3,3')의 형태로 스탬핑 가공된 블랭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가공부.
KR1019970053894A 1996-10-23 1997-10-21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KR19980033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18509U DE29618509U1 (de) 1996-10-23 1996-10-23 Gurtschloß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29618509.4 1996-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006A true KR19980033006A (ko) 1998-07-25

Family

ID=803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894A KR19980033006A (ko) 1996-10-23 1997-10-21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78469A (ko)
EP (1) EP0838173B1 (ko)
JP (1) JPH10127310A (ko)
KR (1) KR19980033006A (ko)
DE (2) DE29618509U1 (ko)
ES (1) ES211761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1175U1 (de) * 1997-01-24 1997-05-22 Trw Repa Gmbh Lasttragender Rahmen aus Metall für ein Gurtschloß eines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s
KR100437701B1 (ko) * 2002-02-08 2004-06-30 강진희 버클
KR100437703B1 (ko) * 2002-02-08 2004-06-30 강진희 버클
KR20030067295A (ko) * 2002-02-08 2003-08-14 강진희 버클
KR20030067443A (ko) * 2002-02-08 2003-08-14 강진희 버클
ITTO20060492A1 (it) * 2006-07-04 2008-01-05 Novarace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per cinture di ritenuta, particolarmente per seggiolini di sicurezza automobilistici per bambini
CN108289531A (zh) * 2015-10-02 2018-07-17 谢尔德约束系统公司 用于个人约束系统的负载指示器以及相关联的系统和方法
DE102018131439A1 (de) 2018-05-04 2019-11-07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Modulares Kabelverarbeitungscenter
DE102021101497A1 (de) 2020-10-14 2022-04-14 Zoller & Fröhlich GmbH Kabelverarbeitungscenter
EP4211758A1 (de) 2020-10-14 2023-07-19 Zoller & Fröhlich GmbH Kabelverarbeitungscen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895A (en) * 1971-10-27 1973-02-20 Allied Chem Unitary seat belt buckle
DE2557234C3 (de) * 1975-12-19 1979-09-06 Carl-Juergen 5760 Arnsberg Schroth Verschlußschnalle für Sicherheitsgurte
US4377888A (en) * 1979-12-19 1983-03-29 Nsk-Warner K. K. Buckle of a seat belt for a vehicle
US4566160A (en) * 1981-04-13 1986-01-28 Irvin Industries, Inc. End release inverse clevis buckle
DE3331435C2 (de) * 1983-08-31 1985-10-31 TRW Repa GmbH, 7071 Alfdorf Aus Drucktaste und Funktionsteil bestehende Baugruppe für einen Sicherheitsgurtverschluß
JPS6193113U (ko) * 1984-11-22 1986-06-16
US4945617A (en) * 1989-03-20 1990-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belt buckle
US5067212A (en) * 1990-08-27 1991-11-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DE69223513T2 (de) * 1992-09-28 1998-06-04 Tarmo Co Verschluss
JPH06217807A (ja) * 1993-01-26 1994-08-09 Takata Kk 自動バックル装置
US5438492A (en) * 1993-03-26 1995-08-01 Alliedsignal Inc. End release seat belt buckle
US5377393A (en) * 1993-09-03 1995-01-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8173A3 (de) 1999-01-07
ES2117612T3 (es) 2003-02-01
US5878469A (en) 1999-03-09
DE29618509U1 (de) 1997-02-20
DE59707680D1 (de) 2002-08-14
ES2117612T1 (es) 1998-08-16
JPH10127310A (ja) 1998-05-19
EP0838173A2 (de) 1998-04-29
EP0838173B1 (de)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006A (ko) 좌석 벨트용 벨트 버클
US6082690A (en) Bracket for conduit carriers
US4519016A (en) Printed circuit board card cage
US5576513A (en) HF-tight component carrier
US5954300A (en) Holding element for fastening at least one tubular component on a carrier
US6405494B1 (en) Fixing device for solar modules
JPH0530037B2 (ko)
US20040144898A1 (en) System for fastening cable mesh trays on support sections
KR940011372B1 (ko) 분리 가능한 스트랩을 구비한 동력 공급 라인용 안내 체인
US20060208146A1 (en) Mounting bracket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H05193429A (ja) ガスバッグ拘束システム組立体
US5893249A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sections
US6145173A (en) Article attaching device
KR970003284A (ko) 부착 스프링을 포함하는 원자로용 연료 조립체의 스페이셔 그리드
JP3150704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6446945B1 (en) Spring recoil stamping for biasing a vehicle seat bottom
US6378268B1 (en)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especially front-face support for a vehicle
RU2486081C2 (ru) Рамочная часть замка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US6098792A (en) Conveyor belt
US20210381290A1 (en) Suspension holder and frame unit thereof
US2967337A (en) Louver construction
US5575687A (en) Edge board connector
JPH0773945A (ja) 接続装置
CN218627093U (zh) 壳体组件及移动空调
EP0165809A2 (en) Panel c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