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848U - 자동차 도어트림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848U
KR19980032848U KR2019960045747U KR19960045747U KR19980032848U KR 19980032848 U KR19980032848 U KR 19980032848U KR 2019960045747 U KR2019960045747 U KR 2019960045747U KR 19960045747 U KR19960045747 U KR 19960045747U KR 19980032848 U KR19980032848 U KR 199800328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bar
storage unit
door trim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5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848U/ko
Publication of KR19980032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84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수납부(10)의 내측벽(11,12) 상단의 대향된 위치에 슬로트(13)가 형성되고, 상기 슬로트(13)에 양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바(14)가 배치되며, 상기 바(14)에는 수납부 속으로 연장되어 수납부에 수용할 휴대품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을 임의 크기로 조절하도록 격벽(1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로트(13) 저면에는 바(14)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수단(16)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트림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림판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자동차 탑승자의 소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의 구조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에 트림판넬(1)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트림판넬(1)에는 수납부(2)가 일체로 형성되어 탑승자 편의를 위해 소지하는 책이나 휴대폰과 같은 작은 휴대품을 넣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트림판넬(1)의 수납부(2)는 차량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너비가 깊이게 비하여 매우 좁게 형성되어 휴대품을 넣는 경우 옆으로 넘어지게 되면 탑승자가 수납부(2)에 손을 넣어 꺼내야 하는데 수납부(2)가 깊어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납부(2)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여유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매우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도어 트림의 문제를 해소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수납부의 너비를 증대시켜 차량 실내공간의 축소 문제를 야기 시키지 않고 수납되는 휴대품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휴대품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개선된 도어트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수납부가 구비된 도어트림을 보여주는 도의어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도어트림에 형성된 수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A-A에 의한 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수납부 11.12: 내측벽 13: 슬로트 14: 바 15: 격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트림은 수납부 양측벽 상단부에 슬로트를 형성하고 그 슬로트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바가 배치되며 상기 바에는격벽이 고정되어 수납공간에 수납된 휴대품이 추후 다시 꺼내기 용이하게 넘어지지 않도록 격벽위치를 임의로 변경시켜 휴대품 크기에 따라 수납 공간을 선택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라 도어 트림판넬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부(10)는 그 내측벽(11,12) 상단의 대향된 위치에 슬로트(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로트(13)에서 양단부가 가이드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바(1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14)에는 수납부(1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격벽(15)이 하향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격벽(15)을 슬로트(13)에서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납부(10)의 내부공간이 필요에 따른 크기로 간편하게 분할된다. 또한, 상기 격벽(15)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측벽에 형성된 슬로트(13)가 일단부에서 상향으로 개방되어 그곳을 통해 바(14)를 제거하거나 삽입하여 격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도어 트림에 형성된 수납부에 탑승자가 소지하는 휴대품을 임시보관하기 위하여 그 휴대품의 크기를 감안하여 자동차 주행중 진동, 급정거 또는 급출발시 휴대품이 수납부내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을 이동시켜 배치한다. 또한 격벽(15)이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이동되지 않도록 슬로트(13)의 저면에 복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거나 요홈과 같은 고정수단(1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납부에 수용된 휴대품이 넘어져 수납부 속으로 눕혀져 탑승자가 꺼내는데 따른 불편이 제거되며, 휴대품의 크기에 따라 격벽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트림판넬에 형성된 휴대품 보관용의 수납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격벽을 설치하여 탑승자가 수용시키려는 휴대품의 크기에 따라 격벽을 이동시켜 휴대품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간편하게 다시 꺼낼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수납부(10)의 내측벽(11,12) 상단의 대향된 위치에 슬로트(13)가 형성되고, 상기 슬로트(13)에 양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바(14)가 배치되며, 상기 바(14)에는 수납부 속으로 연장되어 수납부에 수용할 휴대품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을 임의 크기로 조절하도록 격벽(1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로트(13) 저면에는 바(14)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수단(16)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자동차 도어트림.
KR2019960045747U 1996-12-05 1996-12-05 자동차 도어트림 KR199800328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747U KR19980032848U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 도어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747U KR19980032848U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 도어트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848U true KR19980032848U (ko) 1998-09-05

Family

ID=5398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747U KR19980032848U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 도어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8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3795B1 (en) Luggage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2059985B (zh) 用于汽车内的导轨系统的可伸缩式安全盖板
US6820909B2 (en) Artic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s
KR19980032848U (ko) 자동차 도어트림
KR100520765B1 (ko) 자동차의 도어 포켓의 구조
KR19980032849U (ko) 자동차 도어트림
CN220720946U (zh) 一种车门储物盒
KR100387884B1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20020033306A (ko) 차량의 미드게이트 글래스 수납장치
KR19980029267U (ko) 절첩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의 수납대
KR0132241Y1 (ko) 자동차용 글루브박스
KR19980030635U (ko)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된 수납함
KR0115705Y1 (ko) 차량의 콘솔박스
KR200194102Y1 (ko) 트렁크용 가변적재함
JP2000016183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0139956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디포지트 박스장치
KR200146040Y1 (ko) Cd 및 카셋트테입 겸용 보관구조
KR200195862Y1 (ko) 차량용 수납식 물건 받침 기구
KR200156645Y1 (ko) 자동차용 서류함 구조
JPH05338498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195567Y1 (ko) 소형 화물차량 장착용 착탈식 물품 보관함
KR200143424Y1 (ko) 자동차용 물품보관 장치
KR200404898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22939Y1 (ko) 동전수납함 기능을 가진 차량용 재떨이
KR200140940Y1 (ko) 차량용 서류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