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940Y1 - 차량용 서류 보관함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류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940Y1
KR200140940Y1 KR2019960058217U KR19960058217U KR200140940Y1 KR 200140940 Y1 KR200140940 Y1 KR 200140940Y1 KR 2019960058217 U KR2019960058217 U KR 2019960058217U KR 19960058217 U KR19960058217 U KR 19960058217U KR 200140940 Y1 KR200140940 Y1 KR 200140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ocuments
loop
vehicl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077U (ko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8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94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이 큰 서류를 손상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운전자와 근접한 거리에서 서류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차체에 루프가 형성되는데, 상기 루프에 서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수납함을 설치하되, 선단부와 좌, 우측은 상기 루프에 접착제로 부착하고, 후미는 오픈되어 있는 입구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수납함 후미에 홀을 형성한 홀더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이 홀더를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된 후크가 상기 루프에 설치된 차량용 서류 보관함을 제공 하는데에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서류 보관함
본 고안은 차량용 서류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루프 전면에 서류를 보관하도록 된 수납함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서류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류 보관함은 자동차의 실내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대체적으로 글루브 박스나 시트 배면에 형성된 포켓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면서 이용하였다.
종래의 기술은 운전자가 갖고 있는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운전자는 서류를 시트에 일시적으로 놓아 두거나 시트 배면에 형성된 포켓에 상기 서류 등을 꽂아 둔다.
다른 수단으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에 서류를 넣어 보관 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운전자가 취하고 있는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에 넣을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보관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시트에 형성된 포켓에 넣게 되면 중요 서류의 경우 손상의 우려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폭이 큰 서류를 손상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운전자와 근접한 거리에서 서류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를 구성하는 차체에 루프가 형성되는데, 상기 루프에 서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수납함을 설치하되, 선단부와 좌, 우측은 상기 루프에 접착제로 부착하고, 후미는 오픈되어 있는 입구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수납함 후미에 홀을 형성한 홀더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이 홀더를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된 후크가 상기 루프에 설치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차량 내부의 저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루프 4:수납함 6:입구
8:홀 10:홀더 12:후크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를 구성하는 차체에 형성되는 루프(2) 전면에 수납함(4)이 설치되는데, 그 구조를 도 2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기 루프(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수납함(4)은, 좌, 우측과 선단부는 접착제에 의하여 루프(2) 전면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설치되고, 후미는 개, 페되게 입구(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4)의 입구(6)에 홀(8)을 형성하고 있는 홀더(1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10)의 홀(8)에 삽입되어 고정역할을 하는 후크(12)가 루프(2)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류가 수납함(4)에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홀더(10)에 형성된 홀(8)이 후크(12)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수납함(4)의 입구(6)는 닫쳐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류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홀더(10)를 후크(12)로부터 분리하여 수납함(4)의 입구(6)를 오픈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4)에 서류를 펼친 상태에서 입구(6)를 통하여 넣고, 동시에 홀더(10)를 후크(12)에 결합하여 상기 수납함(4)의 입구(6)가 클로즈 상태로 되게 한다.
따라서 서류는 루프(2)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수납함(4)에 보관된 서류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홀더(10)를 후크(12)로부터 분리하여 수납함(4)의 입구(6)를 오픈한 다음, 서류를 인출한다.
본 고안은 폭이 큰 서류를 손상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운전자와 근접한 거리에서 서류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를 구성하는 차체에 루프(2)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루프(2)에 서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수납함(4)을 설치하되, 선단부와 좌, 우측은 상기 루프(2)에 접착제로 부착하고, 후미는 오픈되어 있는 입구(6)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수납함(4) 후미에 홀(8)을 형성한 홀더(10)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이 홀더(10)를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된 후크(12)를 상기 루프(2)에 설치한 차량용 서류 보관함.
KR2019960058217U 1996-12-27 1996-12-27 차량용 서류 보관함 KR200140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217U KR200140940Y1 (ko) 1996-12-27 1996-12-27 차량용 서류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217U KR200140940Y1 (ko) 1996-12-27 1996-12-27 차량용 서류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77U KR19980045077U (ko) 1998-09-25
KR200140940Y1 true KR200140940Y1 (ko) 1999-05-01

Family

ID=1948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217U KR200140940Y1 (ko) 1996-12-27 1996-12-27 차량용 서류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9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77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0940Y1 (ko) 차량용 서류 보관함
US5316211A (en) Hand carrying case
KR200161099Y1 (ko) 차량용 매표 홀더
KR940006738Y1 (ko) 자동차용 시트빽 포켓
JP3057151U (ja) 自動車の小物入れ兼用カードホルダー
KR0134344Y1 (ko) 서류보관함이 형성된 자동차의 루프판넬
KR19980052666U (ko) 필기구 보관용 트레이 장치
JP2000016183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330812B1 (ko) 자동차의 패키지 트레이 구조
KR19980016990U (ko) 자동차용 카드 케이스
KR0118588Y1 (ko) 티켓 보관이 가능한 선바이저 홀더
KR970010320A (ko) 수납함이 형성된 자동차용 팔걸이대
KR19980034529U (ko) 서류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970001472Y1 (ko) 필기구 케이스가 설치된 도어 아암레스트
KR960022136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KR970034937A (ko) 메모지 함 및 거울을 구비한 햇빛 가리개
KR970041977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KR970038671A (ko)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KR19980062182A (ko) 글로브박스 구조
KR970042011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KR980001403A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KR19980039464U (ko) 동전거치함 겸용 컵홀더
KR19980041036U (ko) 차량용 다용도 서류함
KR970041568A (ko) 자동차용 수납식 트렁크
KR970038652A (ko) 착탈 가능한 동전 보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