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328U -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 Google Patents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328U
KR19980032328U KR2019960045102U KR19960045102U KR19980032328U KR 19980032328 U KR19980032328 U KR 19980032328U KR 2019960045102 U KR2019960045102 U KR 2019960045102U KR 19960045102 U KR19960045102 U KR 19960045102U KR 19980032328 U KR19980032328 U KR 199800323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rying
heating
cabinet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오
김승호
Original Assignee
김경오
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오, 김승호 filed Critical 김경오
Priority to KR2019960045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328U/ko
Publication of KR19980032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32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난방기기에 설치되어 각종 젖은 음식찌꺼기를 건조시키는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난방기기에 주방에서 배출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를 폐열로서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물건조장치를 설치하므로서, 난방기기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음식물찌꺼기를 일일이 손으로 짜서 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한 음식물 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 적소에 음식물건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건조장치가 캐비넷 외부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음식물건조장치는 건조실과, 이 건조함에 음식물찌꺼기를 담아 넣을 수 있는 그물바구니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건조실 하부에 연소장치와 독립된 별도의 건조발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본 고안은 난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난방기기에 설치되어 각종 젖은 음식찌꺼기를 건조시키는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난방기기(가스보일러와 기름보일러를 모두 칭함)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제 1 도와 같이 배기 및 흡기를 수행하는 연통관(11)이 상부에 설치되고, 급수밸브(12) 및 난방밸브(13)가 하부에 설치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설치되어 냉수가 유통되는 방열수단(21)을 가열시키는 연소장치(20)와; 상기 캐비넷(10)에 설치되어 연료의 공급 및 연소장치(20)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난방기기(1)는 본래의 목적인 난방을 수행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상기 난방기기(1)를 작동시킬 때 발생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므로서, 난방기기(1)의 열손실을 초래함은 물론이고,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상기 난방기기에 주방에서 배출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를 폐열로서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물 건조장치를 설치하므로서, 난방기기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음식물찌꺼기를 일일이 손으로 짜서 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한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난방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건조장치가 설치된 난방기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난방기기10:캐비넷
20:연소장치30:음식물건조장치
31:출입공32:가이드
33:건조실35:그물낭
36:건조발열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난방기기에 있어서, 상시 캐비넷의 내부 적소에 음식물건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건조장치가 캐비넷 외부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음식물건조장치는 건조실과, 이 건조함에 음식물찌꺼기를 담아 넣을 수 있는 그물바구니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건조실 하부에 연소장치와 독립된 별도의 건조발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건조장치가 설치된 난방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배기 및 흡기를 수행하는 연통관(11)이 상부에 설치되고, 급수밸브(12) 및 난방밸브(13)가 하부에 설치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설치되어 냉수가 유통되는 열교환기(21)을 가열시키는 연소장치(20)와; 상기 캐비넷(10)에 설치되어 연료의 공급 및 연소장치(20)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 등으로 구성된 난방기기(1)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20)와 근접된 캐비넷(10)의 전방 적소에 음식물건조장치(30)를 설치하되, 먼저 상기 캐비넷(10) 전면에 소정 크기의 출입공(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출입공(31)의 양측 하부에서 그 내측으로 가이드(32)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이드(32)에 음식물찌꺼기가 소정량 적재되는 건조실(33)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상기 연소장치(20)와 근접되는 건조실(33)의 후벽은 스테인레스와 같이 열전도가 양호한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34)가 형성된 건조실(33) 전면은 열전도가 낮은 금속재질이나 내열성 합성수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건조실(33) 내에는 젖은 음식물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그물바구니(35)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이는 사각, 또는 원형상의 지지링체(35a)에 그물로 된 망사(35b)를 결합시킨 것이며, 상기 망사(35b)는 내열성재질로 형성하는 동시에 건조된 음식물찌꺼기의 탈락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한 그물바구니(35)는 한개를 더 여분으로 두어 하나의 그물바구니(35)는 건조실(33)내에 설치하고, 또 다른 그물바구니(35)는 주방의 싱크대 일측에 설치하여 젖은 음식물찌꺼기로 부터 최소한의 물기를 탈수시킨 다음 이를 건조실(33) 내에 설치하므로서 연소장치(20)의 적은 열로서 음식물찌꺼기의 건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난방기기(1)를 사용하지 않는 여름철에도 상기 음식물건조장치(30)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건조실(33)과 근접된 예컨대, 건조실(33) 하방에 난방용 연소장치(20)와는 별도로 버너와 같은 건조발열수단(36)을 설치하는데, 상기 건조발열수단(36)이 작동되는 중에는 전장부의 마이콤이 난방밸브(13)를 모두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3)에 습도감지센서(33a)를 설치한 다음, 상기 건조실(33)의 바닥면 일측에 습도감지센서(33a)와 연결되는 전극부(33b)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32)에 마이콤과 연결된 전극부(33c)를 설치하여 예컨대, 건조실(33)내의 음식물찌꺼기 습도가 높을 시에는 마이콤이 상기 건조발열수단(36)을 가동시키게 하고, 건조실(33)내의 습도가 낮을 시에는 마이콤이 상기 건조발열수단(36)을 중지시키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본 고안의 구성요지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방에서 물에 젖은 음식물찌꺼기가 적정량 집적되면, 제 2 도와 같이 상기 난방기기(1)의 캐비넷(10) 전면에 설치된 건조실(33)을 빼낸 다음, 상기 건조실(33) 상단부에 음식물찌꺼기가 집적된 그물바구니(35)를 안착시키고, 상기 건조실(33)을 캐비넷(10) 내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때, 상기 그물바구니(35) 속의 음식물찌꺼기에서 배출되는 액체는 건조실(33) 바닥에 저장된다.
상기 캐비넷(10) 속에 위치한 건조실(33)은 작동중인 연소장치(20)의 열에 의해 서서히 가열되면서 건조실(33) 바닥에 저장된 액체가 증발됨과 동시에 그물바구니(35) 속의 음식물찌꺼기로 부터 수분이 증발한 다음 캐비넷(10) 상부의 연통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건조실(33) 내의 음식물찌꺼기로 부터 수분이 모두 증발하고 나면, 상기 건조실(33)을 인출한 다음, 그 내부의 그물바구니(35)를 분리하여 쓰레기봉투에 털어버리고, 상기 건조실(33)에는 젖은 음식물찌꺼기가 든 그물바구니(35)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건조를 수행한다.
그리고, 난방을 하지 않는 여름철에는 난방밸브(13)를 모두 폐쇄시킨 상태에서 하루에 임의의 시간동안 연소장치(20)가 동작되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건조방법으로는 제 4도와 같이 건조실(33) 하방에 설치된 건조발열수단(36)을 이용하여 젖은 음식물찌꺼기를 건조시키게 되는데, 상기 건조실(33)에 젖은 음식물찌꺼기가 든 그물바구니(35)를 안착시킨 다음, 캐비넷(10) 전면의 건조버턴(미도시)을 눌러 건조발열수단(36)을 점화시킨다.
상기 건조발열수단(36)이 점화되면, 상기 건조실(33) 내의 음식물찌꺼기로 부터 수분이 모두 증발되는데, 이때 건조실(33)에 설치된 습도감지센서가 습도량을 감지하여 지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마이콤에 신호를 보내어 건조발열 수단(36)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33)을 인출한 다음, 그 내부의 그물바구니(35)를 분리하여 쓰레기봉투에 건조된 음식찌꺼기를 털어버리고, 상기 건조실(33)에는 젖은 음식물찌꺼기가 든 그물바구니(35)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를 수행한다.
본 고안은 상기 난방기기(1)에 주방에서 배출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를 폐열로서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물건조장치(30)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난방기기(1)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음식물찌꺼기를 일일이 손으로 짜서 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배기 및 흡기를 수행하는 연통관(11)이 상부에 설치되고, 급수밸브(12) 및 난방밸브(13)가 하부에 설치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설치되어 냉수가 유통되는 열교환기(21)을 가열시키는 연소장치(20)와; 상기 캐비넷(10)에 설치되어 연료의 공급 및 연소장치(20)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 등으로 구성된 난방기기(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0)의 내부 적소에 음식물건조장치(30)를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건조장치(0)가 캐비넷(10) 외부와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건조장치(30)는 건조실(33)과, 이 건조함(33)에 음식물찌꺼기를 담아 넣을 수 있는 그물바구니(35)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33) 하부에 연소장치(20)와 독립된 별도의 건조발열수단(3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의 음식물건조장치.
KR2019960045102U 1996-12-02 1996-12-02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KR199800323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102U KR19980032328U (ko) 1996-12-02 1996-12-02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102U KR19980032328U (ko) 1996-12-02 1996-12-02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328U true KR19980032328U (ko) 1998-09-05

Family

ID=5398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102U KR19980032328U (ko) 1996-12-02 1996-12-02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3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477B1 (ko) * 2009-01-14 2011-05-18 강태암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477B1 (ko) * 2009-01-14 2011-05-18 강태암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946A (en) Steamer apparatus
US4817582A (en) Gas combination oven
CN210043758U (zh) 一种集成灶与蒸箱一体机
KR20060091393A (ko)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EP0156783A2 (en) Heating appliance
KR10073190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9980032328U (ko) 음식물건조장치가 부설된 난방기기
KR200404971Y1 (ko) 다기능 벽난로
KR200215927Y1 (ko) 목재용 보일러의 연소구조
KR19990034427U (ko) 장작보일러
KR100681342B1 (ko)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0181273B1 (ko) 가정용 소형 폐기물 건조기
KR100247490B1 (ko) 조리용가열기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쓰레기 건조장치
KR200432505Y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9980043569A (ko) 건조기
KR20100083574A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200156316Y1 (ko) 난방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숯불 점화기
JPH0616274Y2 (ja) 厨芥処理装置付コンロ台
ATE345074T1 (de) Dampfgargerät
JP3006982U (ja) ごみ焼却炉
US5796915A (en) Hot water heater with refuse incinerator
KR910007582Y1 (ko) 구멍탄 온수 보일러
KR890002764Y1 (ko) 전기 온수 보일러
JPH10248723A (ja) 焜炉用排煙装置
JPH08327231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