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774A -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 Google Patents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774A
KR19980031774A KR1019960051336A KR19960051336A KR19980031774A KR 19980031774 A KR19980031774 A KR 19980031774A KR 1019960051336 A KR1019960051336 A KR 1019960051336A KR 19960051336 A KR19960051336 A KR 19960051336A KR 19980031774 A KR19980031774 A KR 1998003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hinge
lead
console box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774A/ko
Publication of KR1998003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74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운행에 필요한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운전석 시트 및 조수석 시트 사이의 차체 바닥면에 설치되는 콘솔 박스의 콘솔 리드를 전1W후1W좌1W우 방향으로 각각 개방할 수 있게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콘솔 박스(10)의 콘솔 리드(12) 저면의 전1W후1W좌1W우면에 하향되게 돌출되는 힌지부(21,22,23,24)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힌지부(21,22,23,24)의 좌우측면에 반구형상을 구비하는 힌지홈(20)을 수평 되게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21,22,23,24)와 대응하게 콘솔 몸체(14)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부(31,32,33,34)를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측면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구(3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본 발명은 자동차 운행에 필요한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운전석 시트 및 조수석 시트 사이의 차체 바닥면에 설치되는 콘솔 박스의 콘솔 리드를 전1W후1W좌1W우 방향으로 각각 개방할 수 있게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솔 리드 저면의 전1W후1W좌1W우면에 힌지부를 일체로 돌출 형성함과 동시에 이 힌지부와 대응하게 콘솔 몸체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힌지부 좌우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반구형의 힌지홈을 형성하며, 상기 콘솔 몸체의 결합부 좌우측면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구를 설치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콘솔 리드를 개방할 시 한 부분의 힌지부는 힌지홈에 힌지구가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부분의 힌지부는 힌지구가 힌지홈에서 이탈되어 분리되도록 하여서, 운전석 및 조수석 그리고 리어 시트의 탑승객이 콘솔 박스의 콘솔 리드를 원하는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탑승자를 위해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이 구비되어 운전에 필요한 서류 및 도구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콘솔 박스와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의 후면 및 도어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어 탑승객이 음료 등을 취식할시 일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컵 홀더가 있으며, 또한 자동차의 운행중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유지하기 위한 차양인 선 바이저 및 조수석의 전방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잔 물건 등을 넣을 수 있는 글로브 박스, 주행중 탑승객의 신체 안정 유지를 위해 각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인 어시스트 그립 및 탑승객이 차 실내에서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설치한 팔 거리 모양의 편의 시설인 암 레스트 등이 있다.
종래의 콘솔 박스는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사이의 차체 바닥면에 설치되는 상자형상으로 변속 레버를 덮는 것에서부터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일부로되어 오디오 시스템이나 에어컨의 조정 장치등이 설치되며, 후면에는 재떨이등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행에 필요한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솔 박스의 콘솔 리드는 제품 규격상 또는 제조단가의 절감으로 인해 프런트 시트(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객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리어 시트의 탑승객이 사용하기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더욱이 콘솔 박스는 통상적인 관념에서 운전자만이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콘솔 리드가 개방되는 방향도 운전석의 탑승객에 맞추어 놓음으로써, 조수석의 탑승객이나 또는 리어 시트의 탑승객들은 콘솔 박스의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지속적인 콘솔 박스의 개발로 여러용도(예:온1W냉장고 및 CD 카세트 테이프 보관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콘솔 리드가 개방되는 방향이 운전자의 편의를 의해 열리게 됨으로써 리어 시트의 탑승객은 불편하게 상기 콘솔 리드를 개방함과 동시에 불편한 자세로 내용물을 꺼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콘솔 박스의 콘솔 리드를 전1W후1W좌1W우 방향으로 각각 개방할 수 있게하여 프런트 시트의 탑승객 뿐만 아니라 리어 시트의 탑승객들도 편리하게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하여 탑승객 전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콘솔 박스의 콘솔 리드 저면의 전1W후1W좌1W우면에 하향되게 돌출 되는 힌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힌지부의 좌우측면에 반구형상을 구비하는 힌지홈을 수평 되게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와 대응하게 콘솔 몸체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측면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구를 설치하여서 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실내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 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 박스를 프런트 시트의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게
콘솔 리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 박스를 리어 시트의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게
콘솔 리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 박스를 조수석의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게 콘솔
리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 박스를 운전석의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게 콘솔
리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예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솔 박스 (12) : 콘솔 리드
(14) : 콘솔 몸체 (16) : 수납 공간
(20) : 힌지홈 (21) : 제 1 힌지부
(22) : 제 2 힌지부 (23) : 제 3 힌지부
(24) : 제 4 힌지부 (30) : 힌지구
(30-1) : 작동홈 (30-2) : 스프링
(31) : 제 1 결합부 (32) : 제 2 결합부
(33) : 제 3 결합부 (34) : 제 4 결합부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10)는 콘솔 리드(12)와, 내부에 수납 공간(16)이 구비되는 콘솔 몸체(14)로 구성되고, 상기 콘솔 리드(12)의 저면에는 제 1 내지 제 4 힌지부(21,22,23,24)가 상기 콘솔 몸체(14)의 상부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결합부(31,32,33,34)가 형성된다.
상기 콘솔 리드(12)의 저면에 하향되게 돌출 되어 형성되는 힌지부(21,22,23,24)는 각각 콘솔 리드(12)의 각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각각의 힌지부(21,22,23,24)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21,22,23,24)의 좌우측면은 콘솔 리드(12)의 각면과 대응하게 직교하는 수직면이 구비되고, 내부로 반원호형상의 힌지홈(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힌지부(21,22,23,24)는 상부면이 수평면을 유지하며 콘솔 리드(12)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설치되고, 하부면은 반원호상의 형상을 구비하며, 외측면과 내측면은 수직면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21,22,23,24)의 좌우측면은 각면에 대해 직교하는 수직면을 구비하고, 일측에서 보았을 때와 단면 형상은 하부면이 반원호상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힌지홈(20)은 반원호와 동심원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힌지부(21)와 제 2 힌지부(22)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콘솔 리드(12)의 전방과 후방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힌지부(23)와 제 4 힌지부(24)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콘솔 리드(12)의 좌우측면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콘솔 몸체(14)의 상부면에 상기 힌지부(21,22,23,24)와 대응하게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4 결합부(31,32,33,34)는 콘솔 몸체(14)의 각 모서리부에 대체적으로 ㄱ 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최외측면은 콘솔 몸체(14)의 외측면과 동일한 수직면을 구비하며, 좌우측의 끝면은 수직면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31,32)의 사이(콘솔 몸체(14)의 전방부)에는 상기 콘솔 리드(12)의 제 1 힌지부(21)가 결합되고, 제 3 및 제 4 결합부(33,34)의 사이(콘솔 몸체(14)의 후방부)에는 상기 콘솔 리드(12)의 제 2 힌지부(22)가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4 결합부(31,34)의 사이에는 상기 콘솔 리드(12)의 제 3 힌지부(23)가 상기 제 2 및 제 3 결합부(32,33)의 사이에는 상기 콘솔 리드(12)의 제 4 힌지부(24)가 결합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결합부(31,32,33,34)의 양끝면에는 힌지부(21,22,23,24)의 양끝면에 구비되는 힌지홈(20)과 대응하는 힌지구(30)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구(30)는 각각의 결합부(31,32,33,34)의 양끝면 내부에 형성된 작동홈(30-1)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단부는 외부면으로 돌출 되어 설치되며, 돌출되는 면은 반구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홈(30-1)의 내부에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스프링(30-2)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힌지구(30)는 스프링(30-2)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가 항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더 이상 돌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형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30)는 상기 콘솔 리드(12)의 제 1 내지 제 4 힌지부(21,22,23,24) 좌우측면에 면접되어 스프링(30-2)의 탄성에 의해 출몰한다.
상기 콘솔 리드(12)의 개방은 어느 하나의 힌지부가 대응하는 결합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부에서 출몰하는 힌지구(30)의 선단부가 힌지홈(20)에 삽입되어 이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개방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콘솔 박스(10)의 콘솔 리드(12) 저면의 전1W후1W좌1W우면에 하향되게 돌출되는 힌지부(21,22,23,24)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힌지부(21,22,23,24)의 좌우측면에 반구형상을 구비하는 힌지홈(20)을 수평 되게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21,22,23,24)와 대응하게 콘솔 몸체(14)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부(31,32,33,34)를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측면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구(3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기 콘솔 리드(12)는 어느 하나의 힌지부가 대응하는 결합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부에서 출몰하는 힌지구(30)의 선단부가 힌지홈(20)에 삽입되어 이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개방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구(30)는 선단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31,32,33,34)의 양끝면 내부에 형성된 작동홈(30-1)내에 일단부가 스프링(30-2)과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며, 힌지부(21,22,23,24) 좌우측면의 간섭에 의해 출몰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 4 에서와 같이 콘솔 리드(12)의 전방부가 들려서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콘솔 리드(12)의 전방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제 1 힌지부(21), 제 3 힌지부(23), 제 4 힌지부(24) 각각의 좌우측 수직면이 제 1 결합부(31), 제 2 결합부(32), 제 3 및 제 4 결합부(33,34)의 힌지구(30)를 밀치면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제 3 및 제 4 결합부(33,34)에 결합된 제 2 힌지부(22)의 힌지홈(20)에 힌지구(30)가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콘솔 리드(12)는 제 2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부(21,22,23)의 좌우측 수직면에 의해 작동홈(30-1)의 방향으로 밀려들어가는 힌지구(30)는 스프링(30-2)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되며, 개방 이후 다시 닫게 되면 밀림에 의해 작동홈(30-1)의 방향으로 밀려들어갔다가 스프링(30-2)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각각의 힌지부(21,22,23)에 구비되는 힌지홈(20)에 선단부가 삽입되어 콘솔 리드(12)가 전1W후1W좌1W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에서와 같이 콘솔 리드(12)의 후방부(리어 시트 탑승객이 사용할 때)가 들려서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콘솔 리드(12)의 후방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제 2 힌지부(22), 제 3 힌지부(23), 제 4 힌지부(24) 각각의 좌우측 수직면이 제 4 결합부(34), 제 3 결합부(33), 제 1 및 제 2 결합부(31,32)의 힌지구(30)를 밀치면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결합부(31,32)에 결합된 제 1 힌지부(21)의 힌지홈(20)에 힌지구(30)가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콘솔 리드(12)는 제 1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6 에서와 같이 콘솔 리드(12)의 일측부(조수석 탑승객이 사용할 때)가 들려서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콘솔 리드(12)의 일측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제 3 힌지부(23), 제 1 힌지부(21), 제 2 힌지부(22) 각각의 좌우측 수직면이 제 1 결합부(31), 제 4 결합부(34), 제 2 및 제 3 결합부(32,33)의 힌지구(30)를 밀치면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제 2 및 제 3 결합부(32,33)에 결합된 제 4 힌지부(24)의 힌지홈(20)에 힌지구(30)가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콘솔 리드(12)는 제 4 힌지부(2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7 에서와 같이 콘솔 리드(12)의 일측부(운전자가 사용할 때)가 들려서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콘솔 리드(12)의 일측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제 4 힌지부(24), 제 1 힌지부(21), 제 2 힌지부(22) 각각의 좌우측 수직면이 제 1 결합부(31), 제 4 결합부(34), 제 2 및 제 3 결합부(32,33)의 힌지구(30)를 밀치면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제 1 및 제 4 결합부(31,34)에 결합된 제 3 힌지부(24)의 힌지홈(20)에 힌지구(30)가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콘솔 리드(12)는 제 3 힌지부(2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 박스(10)의 콘솔 리드(12)를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탑승객 그리고 리어 시트의 탑승객이 자기가 편리한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 탑승객 전원이 편리하게 콘솔 박스의 수납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운전석 시트 및 조수석 시트 사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운행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 공간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콘솔 박스에 있어서;
    상기 콘솔 박스(10)의 콘솔 리드(12) 저면의 전1W후1W좌1W우면에 하향되게 돌출되는 힌지부(21,22,23,24)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힌지부(21,22,23,24)의 좌우측면에 반구형상을 구비하는 힌지홈(20)을 수평되게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21,22,23,24)와 대응하게 콘솔 몸체(14)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부(31,32,33,34)를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측면에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구(3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리드(12)는 어느 하나의 힌지부가 대응하는 결합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부에서 출몰하는 힌지구(30)의 선단부가 힌지홈(20)에 삽입되어 이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30)는 선단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31,32,33,34)의 양끝면 내부에 형성된 작동홈(30-1)내에 일단부가 스프링(30-2)과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며, 힌지부(21,22,23,24) 좌우측면의 간섭에 의해 출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KR1019960051336A 1996-10-31 1996-10-31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KR19980031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36A KR19980031774A (ko) 1996-10-31 1996-10-31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36A KR19980031774A (ko) 1996-10-31 1996-10-31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74A true KR19980031774A (ko) 1998-07-25

Family

ID=6651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336A KR19980031774A (ko) 1996-10-31 1996-10-31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7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170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having movable storage compartment
US10315545B2 (en) Center console armrest for vehicle
US20040135391A1 (en) Driver-accessible storage compartments for passenger vehicles
US20040113447A1 (en) Console Box
KR19980031774A (ko) 네 방향으로 콘솔 리드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콘솔 박스
KR100350274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100212814B1 (ko) 자동차용 물품 보관 장치
KR200197395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477253B1 (ko) 다용도 글로브박스
KR0137291Y1 (ko) 신장가능한 자동차의 콘솔박스
KR0118848Y1 (ko) 자동차의 다용도 콘솔 박스
KR19990006441U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
JPH0629122Y2 (ja) 車両の小物入れ装置
KR10036521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H08230568A (ja) 車両のヘッドライニング構造
KR200152936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구조
KR19980022795A (ko) 자동차 리어 시트용 물품 보관함
KR950009726B1 (ko) 자동차의 에어백(Air Bag) 수납실용 보조박스
KR19990019601U (ko) 양방향 개폐가능한 콘솔 박스
JP200112203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S5923636Y2 (ja) 車両用小物入れ
KR19980029926U (ko) 사물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H0593998U (ja) 物入れリッドの開閉構造
KR20070035826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2005153658A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