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333U - 엔진룸램프 - Google Patents

엔진룸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333U
KR19980031333U KR2019960044482U KR19960044482U KR19980031333U KR 19980031333 U KR19980031333 U KR 19980031333U KR 2019960044482 U KR2019960044482 U KR 2019960044482U KR 19960044482 U KR19960044482 U KR 19960044482U KR 19980031333 U KR19980031333 U KR 199800313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warning light
warning
room lamp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333U/ko
Publication of KR19980031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33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전기배선에 접속되어지는 엔진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경고등을 점멸시켜주도록 구성된 경고회로(26)를 단속시켜주는 경고등스위치(20)가 구비된 엔진룸램프를 제공하여 차량외부에서 엔진의 관찰이나 경정비중 간편하게 경고등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룸램프(An engine room ramp)
본 고안은 차량의 전기배선에 접속되어지는 엔진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후드에 부착된 전구가 후드의 개방과 동시에 점등되어 야간에 빛이 없는 곳에서 엔진정비에 도움을 주고 정비후 후드를 닫았을 때 꺼지게 되어 있고, 정비중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경고등과 연계되는 엔진룸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기배선에 접속되는 엔진룸램프는 후드의 개폐동작에 따라 점멸되어 후드를 개방했을 때 점등되어 간단한 정비를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고등은 주행중 긴급하거나 위급한 일이 발생했을 때 경고회로와 전기배선에 접속되는 방향지시등과 접속되어 전후방의 방향지시등을 반복하여 점멸되게 하여 외부에 경고신호를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경고등은 운전석 전면의 대쉬패널에 구비된 누름식의 경고등스위치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접속, 차단하는 스위칭동작을 하는 경고회로, 밧데리, 전후방 방향지시등과 직렬접속되어, 비상시에 운전자가 상기 경고등스위치를 누르면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전후방 방향지시등에 경고회로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못하거나 하여 점멸되어 경고신호를 외부에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고등은 차량내부의 경고등스위치만으로 동작하게 되어, 엔진룸의 관찰이나 경정비를 하는중에 차량밖에서 경고등을 작동하려 할 때 차량내부로 돌아가 경고등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엔진룸내의 관찰이나 경정비중 경고등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엔진룸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엔진룸램프는, 차량의 경고등을 점멸시켜주도록 구성된 경고회로를 단속시켜주는 경고등스위치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경고등스위치는 공지된 것을 이용하면 되는데 온오프기능을 하는 버튼식이 바람직하다.
구조의 엔진룸램프는 후드개폐동작에 따라 점멸하는 본래의 기능과, 엔진룸의 관찰이나 경정비중 경고등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간단하게 엔진룸램프 하우징에 부착된 상기 경고등스위치를 조작하여 경고등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램프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램프부
14 : 활주홈 16 : 버튼
18 : 램프스위치 20 : 경고등스위치
22 : 후드개폐스위치 24 : 전구
26 : 경고회로 28 : 방향지시등 전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엔진룸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내면에 설치된 하우징(10)에 전구가 내장된 램프부(12)와 이 램프부(12) 측면 하우징(10)에 구비된 활주홈(14), 이 활주홈(14)을 왕복하는 버튼(16)으로 구성된 램프스위치(18), 이 램프스위치(18) 하부 하우징(10)에 구비된 누름식 경고등스위치(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고등스위치(20)는 두가지 동작을 하게끔 되어 있어 스위치의 일측단부의 돌출된 부분을 눌러주면 타단부가 돌출되고 이를 다시 누르면 반대쪽이 돌출되어 스위칭동작을 하게 되는데 돌출되는 한쪽에 온, 오프표시를 하게되면 눈으로 식별할 수 있어 그 조작이 간편해진다.
상기 구조의 엔진룸램프의 회로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 전원과 후드개폐스위치(22)가 램프스위치(18), 전구(24)와 연결되는 한편, 경고등스위치(20), 경고회로(26), 전후방 방향지시등 전구(28)와도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엔진룸램프는 경고등스위치(20)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엔진룸램프의 작용과 동일하여 엔진룸의 후드를 개방하면 밧데리 전원이 엔진룸램프에 접속되어 램프스위치(18)의 동작에 따라 전구(24)가 점멸된다.
또한, 후드를 개방하면 경고등스위치(20)와도 밧데리 전원이 접속되어 경고등스위치(20)의 동작에 따라 경고등이 점멸되게 된다.
즉, 엔진룸의 후드를 개방하고 엔진의 관찰이나 정비중에 경고등을 켜고자 하면 엔진룸램프의 경고등스위치(20)를 누르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엔진룸의 정비를 하는 중 경고등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차량내부로 돌아가지 않고도 간편하게 정비하는 위치에서 바로 경고등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차량의 경고등을 점멸시켜주도록 구성된 경고회로(26)를 단속시켜주는 경고등스위치(20)가 구비된 엔진룸램프.
KR2019960044482U 1996-11-30 1996-11-30 엔진룸램프 KR199800313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482U KR19980031333U (ko) 1996-11-30 1996-11-30 엔진룸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482U KR19980031333U (ko) 1996-11-30 1996-11-30 엔진룸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333U true KR19980031333U (ko) 1998-08-17

Family

ID=5398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482U KR19980031333U (ko) 1996-11-30 1996-11-30 엔진룸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33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134A (en) Interior automobile light
US4791401A (en) High level rear brake lamp and alternating directional lamps
US3982119A (en) Combination dome and cargo lamp
KR19980031333U (ko) 엔진룸램프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KR100210779B1 (ko) 이동식 엔진룸램프
KR200177991Y1 (ko) 점멸신호 기능을 가진 회중전등
US3425034A (en) Vehicle signal lamp system
KR200154702Y1 (ko) 다기능스톱램프의구조
KR200216006Y1 (ko) 비상신호 알림 및 후방시야 확보용 램프
KR950000564Y1 (ko)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KR0122579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970006285Y1 (ko) 방향지시등 점등회로
KR970002497Y1 (ko) 키꽂이 주변을 위한 실내 램프
JPH0544983Y2 (ko)
KR200341385Y1 (ko) 네온등 과 마크등이 구비된 사이드미러
KR20000006525U (ko) 차량용 실내등의 제어 장치
KR0120293Y1 (ko)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970000871A (ko) 비상점멸등의 동작시에 표시되는 방향지시등
GB1596256A (en) Signalling equipment for motor road vehicles
JPS63141847A (ja) ドア補助方向指示器
KR19980042870U (ko) 착탈식 승용차용 도어 열림 경고등
KR19990012821U (ko) 자동차의 트렁크등 점등장치
JPH03128734A (ja) 車載用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