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64Y1 -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64Y1
KR950000564Y1 KR2019900006215U KR900006215U KR950000564Y1 KR 950000564 Y1 KR950000564 Y1 KR 950000564Y1 KR 2019900006215 U KR2019900006215 U KR 2019900006215U KR 900006215 U KR900006215 U KR 900006215U KR 950000564 Y1 KR950000564 Y1 KR 950000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terminal
casing
holes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476U (ko
Inventor
석윤기
Original Assignee
석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윤기 filed Critical 석윤기
Priority to KR201990000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564Y1/ko
Publication of KR910020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0Hazard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부몸체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상부몸체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선도.
제5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원공급 어댑터의 참고측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원공급 어댑터에 따라 각기 사용되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무색투명상부
3 : 유색투명측면부 4 : 삽입구
7 : 기판 8 : 활형요홈
9 : 활형손잡이 13, 14, 15, 16, 17 : 전구베이스삽입공
18 : 원통형단자 19, 20, 21, 22, 158 : 구멍
23, 24, 25, 26 : 반사판 27 : 조명반사판
28, 29, 30, 31, 32 : 전구 34 :단자
35 :단자 36 : 나사부
37 : 삽입봉 38 : 잭공
40 : 어댑터
본 고안은 자동차에 휴대하였다가 위급상황을 알리거나 고장으로 인해 도로상에서 자동차를 수리할때 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계용 점멸등 또는 야간에 후레쉬, 전등 등으로 사용가능한 조명 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상에서 자동차의 고장으로 인해 이를 수리 해야하는 경우에 안전을 위하여 안전표시판을 전, 후 방에 설치하였으나, 이는 설치에 비해 주의의 시선을 끌기에는 불충분하고 특히 야간에는 그 사용에 비해 주의인식이 거의 불가능하여 순식간에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돔(DOME)형의 외형케이싱의 내부 중앙에 램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 구동방식에 따라 램프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는 듯한 한쌍의 반사판을 회전하게 하여 상기 램프가 회동하는 듯한 효과를 내도록하여 이 불빛에 의해서 시각적효과를 기대하고자 한 경보용 램프가 그 목적에 따라 공사장을 비롯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나, 상기한 종래의 경보용 램프는 기어구동 방식에 의해 반사판을 회전시켰기 때문에 기계적 고장이 빈번하고, 또한 이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전력이 많아 원래의 목적하는 바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특히 사용하고자 하는 전원 어댑터의 교환사용이 가능하여서 자동차 전원 뿐만 아니라 건전지 또는 가정용 전원을 채택하여 경보용 또는 조명용으로써 그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명의 상부(2)와 유색투명의 측면부(3)로 구획되는 돔(DOME)형의 케이싱(1)의 하부 내주연에는 나사부(4')가 형성된 삽입구(4)와 ON/OFF스위치 조작공(5)및 선택스위치 조작공(6)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 활형요홈(8)을 형성시키고 양끝에 활형의 손잡이(9)양단을 회동 가능케 착설한 기판(7)을 고정하고, 상기 기판(7)의 상부에는 공지의 순차 점멸회로(Ring Counter)(10)를 내장한 피씨비(PCB)(11)가 고정되어지되 그 중앙 일측에 상기 기판(7)의 삽입구(4)에 삽입되는 어댑터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단자(10')와단자(11')가 각각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기판(7)의 On/OFF스위치 조작공(5)과 선택스위치 조작공(6)내에 설치된 각각의 조작스위치(5')(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씨비(11)의 상부에는 원통공단자(12)와,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그 일부가 연장되어 내향절곡되어 형성된 전구 베이스 삽입공(13)(14)(15)(16)과 그 상면 중앙에 하향절곡 형성된 조명전구 베이스 삽입공(17)이 형성된 원통형단자(18)가 형성 되어지되 상기 원통형단자(18)의 외주연에는 중앙에 구멍(19)(20)(21)(22)이 형성된 반구형의 반사판(23)(24)(25)(26)이 반사면이 외향되도록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중앙에 구멍(58)이 천설된 상향하는 반사면을 가진 반구형의 조명 반사판(27)이 형성되어서 상기 반사판(23)(24)(25)(26)의 상부면(23')(24')(25')(26')에 의해 상기 케이싱(1)의 투명의 상부(2)와 유색투명의 측면부(3)로 구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구멍(19)(20)(21)(22)(58)을 통하여 각각의 전구(28)(29)(30)(31)(32)의 전구 베이스면이 전구 베이스 삽입공(13)(14)(15)(16)(17)에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고 그 베이스 끝단은 원통형단자(12)의 외주연을 따라 접속되어서 상기 원통형단자(12)와 원통형단자(18)는 상기 피씨비(11)에 형성된 회로 접점편(미도시)에 각각 결선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3은 케이싱(1)에 기판(7)을 고정시키는 체결구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구를 열어 케이싱(1)상에서 기판(7)을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4)를 통하여 피씨비(11)저면상에 설치된단자(10')와단자(11')에 각각 필요에 따라 결속되는단자(34)단자(35)가 그 외주연에 나사부(36)이 형성된 삽입봉(37)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 측면에 잭공(38)이 천공되고 그 저면 내부에 자석(39)을 내장한 어댑터(40)가 별도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호환사용이 가능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케이싱(1)의 저면에 내장 고정된 기판(7)상에 형성된 삽입구(4)에 삽입봉(37)을 나합식으로 삽입하여 어댑터(40)을 고정한후, 상기 어댑퍼(40)에 형성된 잭공(38)에 자동차의 전원에 연결된 잭을 고착하여 통전시킨 상태에서 첨부한 도면 제4도 에서와 같이 ON/OFF 조작 스위치(5')를 ON 한 상태로 조작한 다음 다시 선택스위치(6')를 전구(32)와 결선된 접점(a)에 전환시켜 전구(32)를 점등하면 반사판(27)에 의해 그 빛이 반사되어 케이싱(1)의 투명의 상부(2)를 통하여 외부로 비추어지므로 첨부한 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자동차 본네트(D)저면에 어댑터(40)에 내장된 자석(39)에 의해 이를 고정시켜 자동차 정비용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를 이용한 카레저 시에도 야간에 전등으로 그 사용이 가능하다 하겠다.
한편 본 고안은 경계, 경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ON/OFF 스위치(5')를 ON한 상태에서 선택스위치(6')을 조작하여 공지의 순차 점멸회로(10)에 결선된 접점(b)에 전환시키면 상기 순차점멸회로(10)에 결선된 전구(28)(29)(30)(31)가 상기 순차점멸회로(10)에 의하여 순차적 점, 소등하게 하므로써 상기 전구(28)(29)(30)(31)의 빛이 반사판(23)(24)(25)(26)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의 유색투명의 측면부(3)를 따라 순차적으로 점, 소등 되면서 외부로 비추어주게 되므로 주위의 주의인식을 환기시키는 경계, 경보용신호 후레쉬로써 그 사용이 가능하여 첨부한 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자동차의루-프(R)에 자석(39)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자동차 전, 후방에 설치하여 본래의 목적에 따라 선택사용하면 되겠다.
또한 상기 자동차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어댑터(40) 대신에 첨부한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그 상부에,단자(50)(51)과 그 외주면에 나사부(52)가 형성된 소켓형 어댑터(53)에 케이블(54)의 한단을 상기,단자(50)(51)에 각각 결선하고 타단은 종래의 잭플러그(미도시)에 결선하여 상기 어댑터(53)를 삽입구(4)에 삽입한후 잭플러그를 플러그에 꽂아 전기를 통전시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전구(32)를 점등하여 첨부한 도면 제9도에서와 같이 상기 기판(7)의 저면에 형성된 손잡이(9)를 고정구(55)에 걸어 전등으로도 그 사용이 가능하겠으며, 또한 첨부한 도면 제6도에서와 같이 종래의 후레쉬몸체(60)의 상부에 상기 소켓형 어댑터(53)를 착설하여 상기 후레쉬몸체(60)내에 건전지(61)를 삽입하여 상기 어댑터(53)를 상기 삽입구(4)에 삽입한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구(32)를 점등하여 후레쉬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전구(28)(29)(30)(31)을 순차적으로 점, 소등시켜 휴대용 즉 야간 교통정리, 공사장 교통정리용 신호등 기능을 가진 후레쉬로서도 그 사용이 가능하다 하겠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조멸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는 다수의 전구를 순차적 점, 소등방법에 의하여 경계, 경보용 후레쉬로 사용하거나 조명용 후레쉬로서 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되는 전원에 따라 선택적 사용 가능한 동시에 기계적인 구동부를 배제함으로써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고장의 염려가 없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3)

  1. 케이싱(1)의 유색투명의 측면부(3)내에 4방향으로 구멍(19)(20)(21)(22)을 갖는 통상의 반구형의 반사판(23)(24)(25)(26)이 설치되고, 구멍(58)을 갖는 조명 반사판(27)이 상기 케이싱(1) 상부측의 무색 투명상부(2)를 향해 설치되되 상기 구멍(19)(20)(21)(22)(58)과 일치되도록 전구베이스 삽입공(13)(14)(15)(16)(17)이 내향 절곡된 원통형단자(18)가 상기 반사판(23)(24)(25)(26)의 중앙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고, 상기 원통형단자 내부에는 원통형단자(12)가 설치되어서 상기 구멍(19)(20)(21)(22)(28)을 통하여 통상의 전구(28)(29)(30)(31)(32)가 상기 전구베이스 삽입공(13)(14)(15)(16)(17)에 삽입설치되어 이루며, 상기 케이싱(1)의 하부에는 중앙에 나사부(4')가 형성된 삽입부(4)와 활형요홈(8)이 형성되어서 활형손잡이(9)가 회동가능토록 착설된 기판(7)이 고정되어 이루되,단자(34)단자(35)가 상면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부(36)가 형성된 삽입공(37)을 갖되 하부 일측에 잭공(38)이 형성된 어댑터(40)가 상기 기판(7)의 삽입부(4)에 상기 삽입봉(37)으로 나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0)가 외주면에 나사부(52)가 형성되고 통상의 케이블(54)에 접속된,,단자(50)(51)를 갖는 소켓형 어댑터(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50)가 후레쉬 몸체(60)로 일체 고정된 소켓형 어댑터(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KR2019900006215U 1990-05-11 1990-05-11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KR950000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215U KR950000564Y1 (ko) 1990-05-11 1990-05-11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215U KR950000564Y1 (ko) 1990-05-11 1990-05-11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476U KR910020476U (ko) 1991-12-20
KR950000564Y1 true KR950000564Y1 (ko) 1995-02-04

Family

ID=1929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215U KR950000564Y1 (ko) 1990-05-11 1990-05-11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5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77A1 (ko) * 2009-12-02 2011-06-09 금호전기주식회사 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277A1 (ko) * 2009-12-02 2011-06-09 금호전기주식회사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476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021B2 (en) Triangular light assembly with flashing and non-flashing lights
US4791401A (en) High level rear brake lamp and alternating directional lamps
KR950000564Y1 (ko) 조명기능을 겸한 경보용 후레쉬
CN1183351C (zh) 闪光、调光与电量显示手电筒
JP3002131U (ja) 携帯用電灯
US3242481A (en) Distress and code signaling device
KR0124413Y1 (ko) 점멸신호봉
US2780802A (en) Portable self contained signal and warning light
KR200170856Y1 (ko) 경광등
KR100311953B1 (ko) 차량의주행방향보조조명등
KR200177991Y1 (ko) 점멸신호 기능을 가진 회중전등
KR19990026705U (ko) 전조등의 비상등 장치
KR200232776Y1 (ko) 마그네틱 스위치 플래쉬
KR100757122B1 (ko) 차량 후진등 스위치
KR200170798Y1 (ko) 브레이크 등을 겸한 차폭등
KR200273626Y1 (ko) 자동차 외부후사경 장착용 보조점등구
US2431129A (en) Traffic signal for motor vehicles
JP3086483U (ja) 工事用保安灯
KR200154702Y1 (ko) 다기능스톱램프의구조
KR200353022Y1 (ko) 비상점멸등을 갖는 양방향 랜턴
KR200191649Y1 (ko) 긴급 구조차량의 2중색 경광등
KR0127830Y1 (ko) 반사경을 갖는 회전경보등
KR200216006Y1 (ko) 비상신호 알림 및 후방시야 확보용 램프
KR100316336B1 (ko) 경고램프의 표시장치
KR920001860Y1 (ko) 자기양보 및 우선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